[첨단 헬로티] 차세대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지 컴퓨팅 시장이 오는 2022년 18조2000억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미국 시장 조사 기관 BCC 리서치가 오는 12월 공개할 신규 보고서 ‘Cognitiv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Market in Healthcare’에 따르면, 2017년 24억 달러(약 2조7000억원) 수준인 글로벌 헬스케어 AI 시장은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3.9%를 기록하며, 오는 2022년 161억 달러(약 18조2000억원) 수준까지 확장될 전망이다. 해당 보고서는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헬스케어 AI 시장이 2017년 320만 달러(약 36억2000만원) 규모에서 오는 2022년 32억 달러(약 3조6000억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 봤다. 이렇듯 헬스케어와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와 AI 서비스가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휴먼스케이프,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커뮤니티 구축 프로젝트 추진 휴먼스케이프는 국내 의료 시장에서 병
[첨단 헬로티] 일본의 연마기술자는 40년 전에 비하면 대폭으로 감소해, 금속가공 메이커는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도 연마작업의 대부분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재 확보가 어려운 요인으로서 ‘저출산 고령화에 의한 후계자 부족’, ‘3K 작업으로 인한 젊은 사람들의 공장 근무 회피’, ‘기술 습득에 장기간 필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편차가 있으며, 일정한 품질로 만들고 싶다는 요망도 듣게 된다. 더구나 인재가 적기 때문에 많은 작업량을 소화할 수 없어 저렴하고 인재가 많은 중국으로 일을 넘기고 있는데, 최근에는 신흥국의 인건비 상승도 과제가 되고 있다. 앞에서 말한 인재 부족과 품질 편차,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로봇화의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로봇화에도 연마 동작을 철저히 가르치는 것은 어렵고, 공수가 걸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일부 로봇화를 추진하고 있는 메이커도 있는데, 교시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다품종에 대응하는 것은 어렵다. 교시자는 그림 1 (a)의 프로그래밍 펜던트를 사용해, 그림 1 (b)와 같
[첨단 헬로티] B&R의 머신 비전 시장 진출은 Smart Sensor(스마트 센서)와 Smart Camera(스마트 카메라)로 두 가지 카메라 모델이 주도하고 있다. 이 카메라들은 자동화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초 단위의 정밀함으로 기계의 기능과 동기화될 수 있다. ▲ B&R카메라는 통합형 조명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Smart Sensor는 QR 코드 판독 또는 위치 감지와 같은 단일 머신 비전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제품들과는 달리 각 기능에 전용 하드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사용자는 Automation Studio 개발 환경에서 원하는 Smart Sensor 기능을 구성하기만 하면 된다. OEM은 카메라 하나만 구입하고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SmartSensor와 Smart Camera에는 각각 1.3~5MP(메가픽셀)의 세 가지 이미지 센서 중 하나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센서는 모두 큰 픽셀 크기, 높은 조감도 및 노이즈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고속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최적의 영상 화질을 보장한다. 조명은 통합형 LED, 외부 조명 또는 백라이트의
[첨단 헬로티] 최첨단 엣지 컴퓨팅 솔루션의 글로벌 공급 업체인 에이디링크에서 2개의 새로운 CompactPCI 2.0 프로세서 블레이드인 cPCI-3630와 cPCI-6636을 출시했다. ▲ 에이디링크의 cPCI-3630(왼쪽)와 cPCI-6636. 에이디링크의 cPCI-3630은 64비트 인텔 아톰 프로세서 X 시리즈 SoC (이전 코드명 : Apollo Lake-I) 및 최대 8GB의 납땜형 DDR3L-1600 MHz ECC 메모리를 탑재한 3U CompactPCI 프로세서 블레이드이다. 인텔 아톰 프로세서 X 시리즈는 저전력 9세대 그래픽 엔진을 통합하고 뛰어난 그래픽과 미디어 및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싱글 슬롯(4HP) 또는 듀얼 슬롯(8HP) 폼팩터로 제공되는 cPCI-3630은 다양한 도터 보드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I/O를 지원한다. 듀얼 슬롯 버전 중 하나는 레이어 2의 XMC 사이트를 지원한다. 스토리지 옵션으로는 온보드 32GB SSD, CFast 또는 mSATA 소켓 및 레이어 2 라이저 카드의 2.5" SATA 드라이브 공간이 있다. 에이디링크의 cPCI-6636은 6/7 세대 인텔 제온 E3 및 인텔 코어TM i3/i5/i70 (인텔
[첨단 헬로티] 주입형 몰딩 머신의 몰드는 손상과 마모에 취약해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균일한 감지 작업을 하기 위해 개별 작업자의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지식과 손수 쓴 노트에 종종 의지하고는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검사 및 유지 보수는 생산된 콤포넌트가 더 이상 요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몰드가 오작동을 할 때만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엄청난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예기치 못한 작업 중단을 야기한다. 그래서 여기, 발루프의 Mold ID가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제품은 조건을 기반으로 한 유지보수와 보다 투명한 몰드 작업을 제공한다. ▲ 발루프의 Mold ID. 이 시스템은 랜, 와이파이 혹은 파워라인을 통해 웹 서비스로 컨트롤 레벨, ERP 시스템 혹은 MES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어, 어디서든 데이터와 프로세스에 접근할 수 있다. 인더스트리4.9의 최적 솔루션 산업용 RFID를 통해 Mold ID는 주입 몰드를 추적 가능하게 만들고 최적의 활용을 보장한다. 최고는 제조자나 컨트롤러의 개입 없이 언제 어디서든 모든 기계에서 보강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Mold ID를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첨단 헬로티] ABB는 Relion 시리즈인 디지털 스위치기어의 보호 및 제어 계전기 계열의 신제품을 지난 11월8일부터 9일까지 진행한 DA On the Road 행사에서 국내 첫선을 보였다. 오랜 기술혁신의 산물인 REX640은 자유로운 구성이 가능한 다기능 계전기로서 사용자 맞춤 설계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 일체형 보호 계전기 ‘REX640’ 보호 및 제어 장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 REX640은 동일한 장치로 다양한 유틸리티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연하고 다양한 경제적인 보호 솔루션을 보장한다. 요컨대, REX640은 보호 및 제어 장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모듈성과 확장성을 통해 완벽한 사용자 맞춤설계가 가능하고, 제품 수명 주기 동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REX640은 변화하는 보호 관련 요구 사항에 대해 항시 적용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해 지속적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REX640은 최상의 자산 관리를 제공한다. ABB의 배전 솔루션 사업부 총괄 알레산드로 페일린은 &ldqu
[첨단 헬로티] 요꼬가와가 OpreX Analyzers 제품군에 FLXA402 4선식 액체 분석계와 SA11 SENCOM 스마트 어댑터 두 가지 새로운 솔루션을 추가했다. FLXA402로 다양한 측정이 가능하며 SA11은 데이터 변환, 전송, 교정 및 진단 기능을 제공한다. 이 두 제품은 SENCOM 4.0 시리즈의 일부로 제공되며, 교정 및 기타 유지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액체 분석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동적인 설계 및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개발 배경 액체 분석계는 센서와 데이터 변환 기능이 있는 송신기로 구성되며, 원료 및 완제품의 품질 및 폐수 처리 공정에서의 수질 등의 항목을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된다. 전력, 수도, 생활 폐수 및 산업 폐수 처리, 반도체, 식품, 의약품, 철강, 펄프 및 제지, 석유 화학 및 화학 제품을 포함한 광범위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송신기의 두 가지 기본 유형에는 전원 및 출력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한 4선식 장치와 전원 및 출력에 동일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2선식 장치가 있으며, 요꼬가와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요꼬가와의 4선식 전송기는 일반적으로 pH 측정과 같은 특정 용도에 사용되며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는 최근 단순 제조를 넘어서 공장 자동화의 통합 솔루션을 개발 및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오토닉스는 뛰어난 기술력과 업력, 그리고 다양한 제품들을 통하여 전선 제조공정에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선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성형법은 ‘압출성형(Extrusion Moulding)’이란 성형법이다. 이는, 원료를 압출성형기에 공급하고 금형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시키는 성형법이다. 다양한 고무 제조 공정 중에서도 현대의 전선 산업은 일상생활에서부터 특수 산업까지 우리 실생활에서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특히, 날이 갈수록 전력망과 통신망 등의 발전에 따라 가정용 전선, 소방용 케이블, 해저케이블, 초고압케이블 등 전선의 종류와 산업에서의 요구는 더욱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신선 공정 : 로터리 엔코더 전선 제조공정에서의 첫 번째 단계는 신선공정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일반적인 전선은 수많은 구리선 여러 가닥을 꼬아서 하나의 선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이 작업을 위해 구리선을 각 케이블의 사이즈에 맞게 늘려주고 배분
[첨단 헬로티] 독일 슈바르젠펠트에 위치한 ‘Bechtel 낙농회사’에서 우유는 생명줄과 같다. 매일 150만 킬로그램에 달하는 ‘순백의 보석’이 여러 우유 관로를 따라 저장 탱크로 흘러 들어간다. 100년이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이 회사는 꾸준히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회사가 성장하는 동안, 제어 자동화 시스템의 종류도 역시 다양하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Bechtel은 통합/표준화된 단일 제어 시스템을 통한 생산 공정 현대화를 결정했다. ▲ 토마스 벅스 planemos GmbH 관리이사는 “우리는 SIMATIC WinCC를 기반으로 한 통합 솔루션을 구현해냈다. 이 솔루션은 MES에 등록된 공정 및 공장 데이터부터 일괄처리 관련 정보, 소비 자료, 재고 자료 및 유지관리 대 책까지 모든 관련 정보를 간단히 네트워크화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ERP)으로 연결해 준다. 따라서 고객의 생산 품질과 효율성을 현저히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생산과정 모니터링 Bechtel은 자사의 경영 이념인 ‘무결점 생산&rsqu
[첨단 헬로티] 시스코 코리아는 최근,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전략과 IT 기술 및 인프라의 준비도를 평가한 ‘시스코 아태지역 디지털 혁신 준비도 평가 리포트’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아태지역 11개국, 임직원 500명 이상 규모 기업의 IT 담당자 및 책임자 1,3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디지털 혁신에 대한 자신감과 우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96%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전략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태 지역 전체 수치인 92%와 비교할 때 다소 높은 수치다. 관련해 준비된 전략이 기업이 설정한 최종 목표 달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국내 기업의 89%가 디지털 혁신 전략에 자신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기업이 디지털 혁신 과정에 빅데이터·애널리틱스, 클라우드, 사이버 시큐리티 등 관련 기술을 적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묻는 질문에, 한국은 81%(아태지역 88%)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한편, 국내 기업의 42%는 새로운 기술 도입의 어려움을 주는 요인으로 예산 부족을 꼽았다. 디지털 혁신을 돕는 기술 디지털 혁신에 맞추어, 국내
[첨단 헬로티] 재생에너지 기반 ESS 기술 개발 동향과 비즈니스 모델 및 추진방향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밝히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총 63.8GW로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정부의 발표에 따라 앞으로 에너지가 재생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이에 따른 대비도 필요해졌다. 그중 하나가 에너지저장장치(ESS)다. 재생에너지 설비 시설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을 시간에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해주는 저장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 11월 6일에 열린 ‘신성장동력 확산을 위한 에너지·IoT분야 공개기술세미나’에서 ‘재생에너지 기반 ESS 기술 개발 동향과 비즈니스 모델 및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한 한전 전력연구원 조성민 박사의 강연내용을 정리했다. ▲ 한전 전력연구원 조성민 박사 <사진 : 김동원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많아지는 재생에너지 사용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2017년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200GW 수준까지 올라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에서 소비하는 전력 대부분은 화석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다. 1년간 전 세계가 소비
[첨단 헬로티] 딜레마다. 러시아는 그간 소홀했던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워낙 인프라가 약해서 향후 몇 년 간은 해외 기술과 생산력에 의존해야 한다. 그런데 수입 대체 정책을 펼치고 있다. 사실상의 수입 제한이다. 공작기계 산업도 다르지 않다. 러시아 공작기계 시장은 90% 수입에 의존할 정도로 인프라가 약하다. 한국에게는 ‘기회의 시장’이지만 진출 공략법이 쉽지 않다. 다만 당분간은 해외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진출의 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번 호에는 현재 러시아 공작기계 산업 현황을 살펴본다. 시장 규모 2017년 러시아 내 공작기계 판매량은 1만9,430대로 2016년도 대비 14.1%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판매됐던 해는 2013년으로 2만170대가 판매됐으나, 경제 불황 및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기계 판매 수가 2014년 2.3%, 2015년 12.7%, 2016년 1%로 감소했다. 현재 러시아 기계 시장에는 금속 절삭가공용 기계가 공작기계 시장의 70 ~ 80%를 차지하며 드릴, 선삭, 연삭용 기계, 보링 및 밀링 머신 등이 포함된다. 판매액 기준으로 보면, 경
[첨단 헬로티] 폴란드는 기계 산업이 발달된 국가지만 공작기계 분야에서는 기술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더욱이 공작기계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독일, 중국, 미국에서의 수입량이 높지만 한국의 제품도 품질력에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수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 폴란드 기계산업의 역사적 배경 폴란드는 역사적으로 기계산업이 발달된 국가로, 특히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전 세계 공작기계 생산의 2.7%를 차지했다. 공산주의 시대에는 산업용 기계를 주력 생산해 동유럽 기계 수출국으로 명성을 유지해 왔다. 1970 ~ 1980년대에는 광산, 농업, 조선, 철도 등에 사용되는 공작기계 생산에 주력했다. 1989년 자본주의 경제체제 전환으로 국영기업들의 민영화가 급속화 됐고, 다른 동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폴란드에서도 많은 기계 제조업체들이 90년대 초 파산에 직면했다. 폴란드 기계산업 현황 폴란드 최대은행 PKO BP의 2018년도 분석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폴란드 내 기계 제조업체는 대기업, 중소기업, 영세기업의 모든 형태를 총합해 약 1,200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폴란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
[첨단 헬로티] 전자상거래 및 AIDC 기술과 융합 수요 많아지면서 AIDC 시장 가파른 성장 전망 2017년도 글로벌 AIDC 시장은 지브라 테크놀로지스가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위와의 매출 격차가 두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일본 AIDC 공급업체의 선전이다. VDC리서치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AIDC 기술과 타 기술과의 융합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글로벌 AIDC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폰 기술의 진보 덕분에 자동 데이터 수집 시장에서 라인이 모호해지고 있다. 단일 품목 풀필먼트 및 기타 전자상거래 관련 요구 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첨단 기술이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많은 기회가 열려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VDC리서치는 매년 자동인식 및 데이터 수집(AIDC) 솔루션 공급업체의 실적을 조사해 발표한다. VDC리서치에 따르면, 2017년도 AIDC 솔루션 공급업체의 실적에는 크게 두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하나는 AIDC 솔루션 개발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창고 및 유통환경에서 모바일의 가파른 성장이다. VDC 리서치 관계자는 "VDC가 핸드헬드 러기드 모바일 컴퓨터, 차량 탑재 컴퓨터
[첨단 헬로티]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이 판매량 점유율을 빠르게 올리고 있다. 2018년 3분기에만 해도 중국 화웨이는 판매량을 43% 끌어올렸다. 같은 시기에 삼성전자는 14% 하락했다.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발표한 ‘2018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최종 사용자 대상 스마트폰 판매량은 1.4% 성장한 3억8,900만 대를 기록했다. 2018년 3분기 7,336만대를 판매한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 18.9%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전년동기대비 3.4%포인트 하락했다. 화웨이는 5,221만대를 판매하며 전년동기대비 시장점유율 3.9%포인트 증가한 13.4%를 차지했다. 애플은 4,574만대를 판매한 애플은 11.8%라는 시장점유율을 동일하게 유지했다. 샤오미는 3,321만대를, 오포는 3,036만대를 판매했다. 가트너의 책임 연구원인 안슐 굽타(Anshul Gupta)는 “화웨이와 샤오미를 글로벌 스마트폰 공급업체 목록에서 제외시킨다면 최종 사용자 대상 스마트폰 판매는 5.2% 하락했을 것”이라며, “중국의 유수 휴대전화 제조사들은 저렴한 가격, 고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