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글로벌 전자 서플라이 체인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는 2020년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2019년 4분기의 28억 4400만 제곱인치 대비 2.7% 상승한 29억 2000만 제곱인치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전년 동기인 2019년 1분기 대비해서는 4.3% 하락한 수치이다. ▲2020년 1분기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자료: SEMI, 2020년 4월) SEMI의 실리콘 제조그룹(SMG)의 의장이자 신에츠 한도타이(Shin Etsu Handotai) 아메리카 제품 개발 및 어플리케이션 담당 이사인 닐 위버는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작년 한 해 지속적인 감소 후 2020년 1분기에 소폭 반등하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은 아직 만연하다”고 말했다. SEMI 실리콘 제조 그룹(SMG)가 발표하는 자료는 버진 테스트 웨이퍼(virgin test wafer) 및 에피택셜(Epitaxial) 실리콘 웨이퍼를 비롯하여 폴리시드(Polished) 실리콘 웨이퍼와 논폴리시드(Non-polished)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제작의 핵심 소재이기 때문에 컴퓨터
[첨단 헬로티] 2019년 북한무역 전년대비 11% 증가, 무역상대국은 115개국서 62개국으로 급감 지난해 북한의 중국 무역 의존도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가 6일 발표한 ‘2019년 북한 무역 10대 국가 10대 품목’에 따르면 2019년 북한의 무역액은 29억4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나 무역 상대국은 2018년 115개국에서 62개국으로 46%나 감소했다. 2001년 17.3%에 불과했던 북한의 중국 무역 의존도는 대북 제재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사상 최대인 95.2%를 기록했다. 북중 무역액도 전년보다 15.3% 증가한 28억437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어 러시아(1.6%), 브라질(0.7%), 인도(0.4%), 코스타리카(0.3%) 순이었고 인도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상위 10대 무역 상대국과 모두 전년보다 무역액이 증가했다. 2019년 북한의 주요 수출품은 시계(18.8%), 페로실리콘(11.3%), 가발(11.2%), 실험기구모형(6.3%), 텅스텐(4.8%) 순이었고 수입품은 대두유(4.5%), 직물(3.5%), 쌀(2.9%), 밀가루(2.9%), 시계부품(2.6%) 순이었다. 이 보고서는
[첨단 헬로티] SEMI의 최신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 보고서에 따르면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에 대한 팹 장비 투자액은 2020년 하반기에 반등한 후 2021년에는 올해 대비 59% 성장한 69억 달러로 역대 최대 투자액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투자액은 2019년 대비 약 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하반기에 코로나19가 회복세로 접어들면 감소치는 더욱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면서 서버, 컴퓨터 및 기타 전자 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24년까지의 자료를 포함하는 SEMI의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804개의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 생산 시설이 200mm 웨이퍼 기준으로 월 약 8백만장의 웨이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2024년까지 38개의 새로운 생산 시설이 운영을 시작하여 생산량은 약 20% 증가한 월 960만장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지역별로 보면 중국의 전력 반도체 팹 생산량은 50% 증가할 것
[첨단 헬로티] 2020년의 시작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가 발목을 잡았다. 미국, 일본 모두 2020년 시장 반등세를 기대했으나 코로나19로 중국발 공급망이 멈추면서, 하락세를 겪고 있다. 미국의 2020년 1월 수주량은 2억6937만 달러로 전월대비 32.4% 감소했다. 일본은 반짝 상승세 이후 다시 하락세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대만의 2020년 1월 수출량은 1억85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6.6% 감소했다. 1. 미국 2020년 1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2억6937만 달러로 전월(3억9875만 달러)대비 32.4% 감소했다. 전년동월(4억814만 달러)대비로는 34.0% 감소한 금액이다. 1월 수주량은 201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최저치 기록에도 불구하고 미국제조기술협회(이하 AMT) 측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더글라스 케이 우즈(Douglas K. Woods) AMT 회장은 “현재 경제 전망을 토대로 살펴보면, 2020년 미국 제조업은 여러 측면에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리고 올해 중반기에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제조업의 분위기 전환에 부정적인
[첨단 헬로티] 2020년 국내 공작기계 산업의 시작은 그렇게 나쁘지 않은 편이다. 1월 수주가 소폭 감소했지만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기대해볼만한 부분은 베트남, 인도 등 신흥국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다. 당분간 이러한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1.3% 감소한 1503억원이다. 수출은 1억68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4.4% 감소했다. 수입은 72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3.2% 감소했다. 생산은 1575억원으로 전월대비 19.3% 증가했다. 출하는 1600억원으로 전월대비 18.2% 감소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2020년 1월 기준,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2억6937만 달러로 전월(3억9875만 달러)대비 32.4%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34.0% 감소했다. 일본은 807.7억 엔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5.6% 감소했다. 대만은 전월대비 26.6% 감소한 1억85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35.1% 감소했다.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20년 1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첨단 헬로티 = 서재창 기자] 3D프린팅 이용 의료기술이란 광의의 개념으로, 3D프린팅을 이용해 제작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이다. 이 가이드라인에는 해당 의료기술이 국내뿐 아니라 국외 외과수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기록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3D프린팅 기술의 허가 사항 의료 분야에 적용되는 3D프린팅 기술은 정부로부터 허가가 승인돼야 하는 사항이다. 3D프린팅 기술의 국가별 의료 허가 사항은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세부내용 미국(FTA) ·기존 제조공정을 사용한 의료기기와 동일한 규제기준 적용 ·2017년 Technical Considersations for Additive Manufactured Medical Devices-Guidance for Industr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발간 중국(CFDA) ·3D프린팅 이용 의료기기의 허가 및 심사 분류는 설계, 첨가물 제조 방법(재료, 공정), 사용목적 및 성능규격에 근거함 ·3D프린팅 기술로 제조된 맞춤형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검토 및 업계 관계자 및 CFDA 직원
[첨단 헬로티] 로봇산업은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 모든 산업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특히 로봇은 자동차 산업과 같은 제조업 분야에서 성장세를 보였으며, 기술이 성숙해지기 시작한 2006년부터는 물류, 의료 및 식품 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과거 조립생산과 제조공정에 주로 투입되던 로봇이 이제 농업은 물론 서비스업까지 확대되고 심지어는 금융, 의료 등 지식서비스업까지 진출하고 있다. ▲ 제조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협동로봇. <출처: 유니버설 로봇 홈페이지> 미국 벤처펀드인 루프 벤처스(Loup Ventures)는 2025년, 산업용 로봇 시장이 338억 달러(약 39조 원)로 성장, 2016년 대비 27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로봇이 증가하게 된 원인은 로봇을 활용한 제조 방식이 일관성 있는 제품 생산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전체 제조공정의 균일화를 이뤄,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의 활동 영역은 더 넓어지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그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협동로봇 기술 발전으로 로봇 도입 현실화 그 중에서도 최근 10년 사이 큰 성장세를
[첨단 헬로티] 중국 언택트 산업, 전연령층, 전산업으로 확대 전망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중국 비대면 비즈니스가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이용자도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발 빠른 참여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16일 발표한 ‘코로나19로 주목받는 중국의 언택트 산업’에 따르면 최근 중국 경기가 침체를 보이는 가운데 원격근무, 온라인교육, 원격진료,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등 비대면 기반의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유망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원격근무 이용률은 2018년 0.6%로 미국(18.9%), 영국(12.8%) 등에 크게 못 미쳤으나 코로나19 방역기간 중 재택근무가 늘면서 올해 시장 규모가 2018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3월 알리바바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딩톡은 하루 최대 1억명 이상이 2000만 건의 화상회의를 이용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약 1000명의 근로자를 추가 모집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에서는 춘절 연휴 이후 개학이 연기되고 학원들이 문을 닫으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
[첨단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산업연구원(KIET)은 국내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분기마다 ‘제조업 경기조사’(현 분기 평가 및 다음 분기 전망)를 수행하고 경기실사지수(BSI)를 집계 및 발표한다. 이 조사는 자동차, 조선 등의 금형과 관련한 주요 수요산업의 전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된다. 2020년, 국내 제조업의 흐름 2019년 4분기 제조업 경기조사는 지난해 12월 9일부터 20일까지 이뤄졌으며, 총 1134개의 제조업체가 응답했다. 조사 항목으로는 시황과 경영 실적(매출, 국내시장출하, 수출, 경상이익), 경영 활동(재고, 설비투자, 설비가동률, 고용), 외부 여건(원자재가격, 자금사정, 제품가격) 및 2020년도 연간 전망 등이 포함됐으며, 항목별 응답 결과는 0부터 200의 범위에서 지수(BSI)를 산출,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 대비 증가(개선),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를 의미한다. 2019년도 4분기 제조업 현황을 알아보자. 국내 제조업의 2019년 4분기 현황은 시황(84)과 매출(85) BSI가 모두 전 분기(시황 78, 매출 78) 대비 상승했다.
[첨단 헬로티] 2019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전체 출하량은 약 1706만대로 전년대비 5.9%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수급 차질과 수요 저하로 작년 대비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 19 사태 초기에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올해 -1.5% 역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전세계 대유행(펜데믹)으로 확산 및 장기화됨에 따라 출하량이 5~10% 가량 추가 하향조정 될 것으로 보고 있다.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은 국내 스마트폰 시장 분석 보고서를 이와 같이 발표했다. 한국IDC에 따르면 2019년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새롭게 출시된 5G 스마트폰과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대형 스크린 제품의 판매 증가가 시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작년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5G 네트워크 서비스가 본격 상용화 되면서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에서 시장 선점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과 판매 보조를 적극 추진하며 5G 스마트폰의 소비 진작에 기여했다. 5G 지원 스마트폰 시장 점유 본
[첨단 헬로티] 최신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보쉬 센서텍(Bosch Sensortec)의 최신 초저전력 스마트 센서 BHI260AB와 BHA260AB를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웨어러블, 히어러블 AR/VR 장치 및 스마트폰의 상시 작동 센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된 BHI260AB와 BHA260AB는 메인 프로세서의 센서 처리 작업을 덜어주기 위한 강력한 코프로세서를 통합하고 있어 전력 소모를 줄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마우저에서 공급하는 보쉬 센서텍의 BHI260AB 센서와 BHA260AB 센서에는 3축 MEMS 가속도계(BHA260AB)나 6축 자이로스코프/가속도계 관성 측정 장치(BHI260AB)가 장착되어 있다. 두 장치 모두 보쉬 센서텍의 32비트 부동 소수점 마이크로컨트롤러 Fuser2 코어와 256kBytes 온 칩 SRAM을 사용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Fuser2 코어는 효율적인 20MHz 롱런(Long Run) 모드에서 950µA의 전력을 소모하고, 고성능 50MHz 터보(Turbo) 모드에서 2.8mA를 소모한다. BHI260AB는 최대 25개의 GPIO(범용 입출력)를 제공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지난 10년간 100개 IC 웨이퍼 팹 폐쇄, 일본과 북미에서 70% 차지 IC 산업은 반도체 제조업체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제조시설인 팹을 축소하거나 팹리스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해 왔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9년에 많은 수의 팹이 폐쇄가 됐었다. 올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팹 폐쇄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주목된다. 최근 IC인사이츠가 발표한 전세계 웨이퍼 용량(Capacity) 2020-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이후 전세계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100개 IC의 웨이퍼 팹을 폐쇄하거나 용도를 변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0년 중반에 반도체 업체 간의 인수가 급증하고, 20나노(nm) 이하 공정 기술을 사용해 IC 장치를 생산하는 회사가 많아짐에 따라 공급업체가 비효율적인 웨이퍼 팹을 다수 축소했기 때문이다. [그림 1] 전세계 지역별 폐쇄된 팹의 수를 보면, 2009년 이래로 일본과 북미는 가장 많은 수의 웨이퍼 팹을 폐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팹은 비용 효율적인 시설로 개선하기 위해 폐쇄하거나, 팹 유지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일부 제조를 아웃소싱하는 팹 라이트 또는 패리스 비즈니스 모델을
[첨단 헬로티] 산업조사 전문기관인 IRS글로벌이 ‘자동차 경량화 글로벌 트렌드와 소재별 핵심기술 개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강력히 요구되고 있는 자동차 경량화 트렌드는 세계 각국의 환경 및 연비규제 강화에 의해 자동차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또 최근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을 비롯한 친환경자동차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관련 기술이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연비 향상 및 CO₂ 배출량 감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동차 중량이다. 완성차업체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오래전부터 경량화에 대처해 왔다. 최근 대기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배기가스 규제가 단계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은 이전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차체가 가벼워지면 가벼워질수록 소비 연료는 줄어들고, 연료가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공기는 깨끗해지고 고갈이 예정되어 있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 줄일 수 있다. 또, 연비 향상을 위해 가솔린 엔진에서 하이브리드, EV로 동력이 바뀌고 있지만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의 무게가 무겁고 첨단 부품과 기능이 추가되면서 자동차 중량이 증가하고 있어
[첨단 헬로티] ’14년 2월 전산업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 기록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3월 13일부터 20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4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 : Small Business Health Index,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60.6으로 전월보다 17.9p, 전년동월보다 25.1p 각각 하락했다. 이 같은 수치는 2014년 2월 전산업 통계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라고 중기중앙회는 밝히며, 경기부진이 깊어지는 가운데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내수와 수출 부진이 중첩되면서 중소기업 체감경기가 급격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고 전했다. 업황전망 SBHI (자료 : 중소기업중앙회) 이번 중기중앙회의 발표에서 제조업의 4월 경기전망은 전월보다 8.0p 하락한 71.6으로 2009년 3월(70.5)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역시 서비스업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전월보다 22.9p 하락한 55.0으로, 2014년 2월 조사
[첨단 헬로티] Ⅰ. 서언 1838년 영국의 Charles Wheatstone에 의해 처음 stereoscope가 고안된 이후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재의 real-3D 디스플레이 기반의 4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발전하여 왔다. 이처럼 기본적인 원리와 기술이 오래전에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눈의 피로 현상과 다수 시청자가 동시에 시청할 수 없는 한계점 등으로 인해 기존의 평면영상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TV 또는 모니터와 같은 대량 소비가 가능한 영역에서의 3D 디스플레이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평판 표시장치의 성능향상, 무안경식 시차 장벽 및 렌티큘라 기술의 완성도 향상, 눈의 피로현상을 최소화하는 경험적 기술의 축적을 통한 극장용 입체영상의 촬영, 생성, 디스플레이 및 투사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해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기기, 체적영상(Volumetric image) 표시장치, 홀로그래픽 비디오(Holographic video) 표시장치 등 첨단 신기술들이 개발되면서 기술적 성숙도를 높여가고 있다. 아울러 ICT 기술력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3D 영상재생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반이 마련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