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눔은 그동안 CDC의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제공 가능 업체로 승인되어 당뇨병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공식 인증을 통해 달라진 점은 눔이 앞으로 미국의 의료보장제도를 담당하는 CMS(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에서 수가를 받을 수 있는 필수 요건을 확보했다는 점이다. 미국 내 65세 이상 인구 중 전당뇨인 사람은 CDC의 공식 인증을 받은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고 CMS에서 해당 업체에 수가를 지불한다. 이번 CDC의 눔 공식인증 부여는 기존에 오프라인 위주의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확대 전략을 모바일로 확장한 첫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눔에 따르면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사람의 84%가 프로그램을 완주 하였고 이 중 64%에서 기존 체중의 5%이상의 체중 감량치를 보였다. 기존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 5%이상 체중을 감량한 사람의 경우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58% 낮출 수 있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의미있는 결과란게 회사측 설명이다. 눔의 김영인 메디컬 디렉터(의사)는 “CDC를
[첨단 헬로티] 포스코ICT(대표 최두환)가 포스코 그룹차원의 역량을 모아 해외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 사업 첫 단계로 포스코ICT는 쿠웨이트에서 추진 중인 압둘라 신도시 건설을 위한 설계 사업에 참여해 중동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포스코ICT에 따르면 이 사업은 쿠웨이트 수도 쿠웨이트시티에서 서쪽으로 30km 떨어진 알 압둘라 지역에 한국의 분당 3배 크기(약 64.4km2) 신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마스트플랜을 세우고,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다. 시공까지 약 4.4조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에서 포스코ICT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중심으로 하는 '코리아 컨소시엄'에 속해 내년 6월까지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기 위한 도시통합운영센터를 비롯한 ICT 인프라에 대한 설계를 담당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사업은 포스코 계열사의 역량을 통합해 그룹차원에서 준비되고 있다는게 회사측 설명. 포스코ICT는 2015년부터 포스코,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과 협력해 ‘Smart Solution Council(SSC)’을 운영함으로써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에너지 분야의 기술과 솔루션을 확보하는 노력을 진행해왔
[첨단 헬로티] ASUS(이하 에이수스)가 그래픽카드 공식 수입사로 ㈜코잇을 채택한다고 발표했다. 코잇은 이번 정식 판매 계약을 통해 에이수스 그래픽카드의 국내 공급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에이수스와 코잇은 ASUS DUAL GTX1060 O3G 제품 런칭부터 함께한다. 에이수스의 메인보드 공식 총판이기도 한 코잇은 지금까지 일반 리테일 시장에서 에이수스의 다른 제품들도 함께 유통을 도맡아왔다. 또한 코잇은 삼성, ECS, ADATA 등의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해온 바 있다. 메인보드에 이어 그래픽카드까지 코잇과 함께하게 된 에이수스는 기존 코잇의 유통 제품이었던 인텔 CPU, ADATA SSD 등의 하이엔드 PC 구성품과 다양한 시너지를 내보일 전망이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에이수스는 컨슈머 시장뿐만 아니라 시스템 통합(SI), 산업용 시장을 비롯하여 PC방 등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제품 유통망을 다각화할 계획이다. 에이수스의 마케팅 담당자는 “인텍앤컴퍼니에 이어 코잇까지 에이수스 그래픽카드를 국내 굴지의 IT 유통사를 통해 소비자에게 선보일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두 곳의 유통사를 통해 에이수스 그래픽카드를 소개하는만큼
[첨단 헬로티] ams와 FILL이 CES 2017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수상한 FILL Diva Pro 하이엔드 헤드폰에 ams의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핵심 부품으로 쓰였다고 발표했다. ▲ams AS3435 ANC IC를 기반으로 한 FILL의 Diva Pro FILL의 Diva Pro 헤드폰은 터치 컨트롤, 모션 감지, My AudioFilter 맞춤화 및 오디오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지 용량 등을 포함한 기능을 제공한다. Diva Pro는 노이즈 캔슬레이션 성능이 우수한 편이라 주변의 소음 수준이 높은 환경에서도 깨끗한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서는 Diva Pro가 탁월한 오디오 성능과 첨단 설계를 높이 평가 받아 수상의 영광을 거머쥐게 됐다. CES 혁신상은 탁월한 제품 설계, 공학기술, 세련된 기능, 독창적인 소비가전 기술, 제품의 사용 가치 등을 평가해 수여되는 상이다. ams와 FILL의 이번 발표에 따르면 CES 혁신상을 수상한 Diva Pro의 설계에 ams AS3435 아날로그 액티브 노이즈 캔슬레이션(ANC) IC에 기반한 스테레오 헤드셋용 노이즈 캔슬레이션 시스템이 포
[첨단 헬로티] 중국의 전자 전시회인 일렉스콘(ELEXCON)이 글로벌 전자 산업의 허브인 심천에서 올해 12월 21일부터 23일까지 다시 개최될 예정이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게 된 일렉스콘 2017은 임베디드 엑스포(Embedded Expo)와 함께 개최되며 약 6만 평방미터 규모의 전시장에 전 세계 800여 업체들과 5만 명 이상의 업계 전문가들이 초대된다. 일렉스콘 2017은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전자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최되는 종합 박람회이다. 일렉스콘 2017에서는 부품에서 완성 시스템, 그리고 디자인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혁신적인 새로운 기술들을 선보여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의 개발 및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일렉스콘 2017은 최근 참가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한 디자인 및 혁신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 포럼의 주제는 전기 자동차를 비롯해 임베디드, IoT, 의료기기, 센서, 스마트 홈, 스마트 제조 등이다. 한편 일렉스콘 2017은 추가 세미나 및 부가적인 정보 습득 기회를 제공하는 별도의 전시회(▲심천 첨단 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전시회▲심천 전기 자동차 기술 및 오토모티브 전자 전시회▲심천
[첨단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글로벌 연결 및 센서 기업 TE(TE Connectivity)로부터 4년 연속 우수 서비스 유통사로 선정됐다. ▲TE 글로벌 우수 서비스 유통사로 선정된 마우저의 경영진들 마우저는 최고 고객 성장 및 최고 NPI 유통사로도 선정됐으며 TE에서 최근 개최한 글로벌 유통 서밋에서는 마우저의 경영진에게 올해의 전자부품 유통사 상을 수여했다. TE의 전자부품 유통사 상은 매출 성장, 시장점유율 확대, 고객 성장, 사업게획 성과를 기준으로 성과가 가장 좋은 TE의 유통 파트너 사에 수여된다. 마우저는 TE 사업을 성공적으로 성장시키면서 매출뿐만 아니라 고객 수, 고객당 구매 제품 수 등 주요 카테고리에서 TE의 전체 성장률을 앞섰다. 이로 인해 TE는 상업용 커넥터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마우저는 재고 관리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SKU 숫자를 확대함으로써 엔지니어링 부문의 요구사항을 지원하도록 노력 중이다. TE의 채널 및 고객 경험 부문 조안 웨인라이트(Joan Wainwright) 사장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지속적으로 훌륭한 성과와 성장을 기록했기 때문에 TE가 선정하는 올해의 글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60V 입력 전압 범위(최대 65V abs)까지 지원하는 µModule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LTM8073을 출시했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LTM8073 이 디바이스는 제어되지 않았거나 변동적인 24V ~ 48V 입력 전압을 이용해 통신 인프라, 공장 자동화, 산업용 로보틱스, 항공 시스템 등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동작한다. 이 제품에 적용된 ADI 고유의 사일런트 스위처(Silent Switcher) 아키텍처는 EMC/EMI 방출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LTM8073이 CISPR 22 클래스 B 요건을 준수하여 이미징 및 RF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출력 전압은 한 개의 저항을 이용해 0.8V ~ 15V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이처럼 넓은 출력 전압 범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으로 3.3V, 5V, 12V, 15V의 일반적인 시스템 버스 전압 생성이 가능하다. 3A일 때 24VIN ~ 5VOUT 의 효율은 90%이다. LTM8073은 85℃의 주변 온도까지는 히트 싱크나 에어플로우 없이 3A의 출력 전류를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의료용 및 과학 이미징과 같은 저조도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더불어 보안이 필수적인 산업용 및 군사용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IT-EMCCD 이미지 센서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온세미컨덕터에서 새로 출시한 KAE-04471 새로 출시된 4 메가 필셀 KAE-04471은 기존의 IT-EMCCD 소자보다 더 큰 7.4 마이크론 픽셀을 사용해 빛을 두 배 더 많이 모아 낮은 조명 환경에서도 향상된 이미지 품질을 보장한다. KAE-04471은 기존의 8 메가 픽셀 KAE‑08151과 핀 및 패키지 호환이 가능하여 카메라 제조사들이 기존의 카메라 설계시에도 새로운 소자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KAE-02152는 기존의 KAE‑02150 과 동일한 1080p 화소와 2/3” 광학 포맷을 공유하면서도 근적외선 (NIR) 파장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향상된 픽셀 디자인을 통합했다. 이는 현미경 검사 및 안과 검사와 같은 정밀 애플리케이션에서 주요 기능을 발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라인 트랜스퍼 EMCCD 소자는 두 가지의 기존 이미징 기술을 고유한 출력 구조와 결합해 새로운 수준의 저소음 고동적범위 이미징
[첨단 헬로티] 텔릿이 자사의 deviceWISE 에셋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가 시스코의 IOx 엣지 컴퓨팅 게이트웨이에 인증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시스코 ISR809/829 산업용 통합 서비스 라우터 시스코 ISR809/829 산업용 통합 서비스 라우터와 시스코 산업용 이더넷 시리즈 스위치 IE4000에 인증을 획득한 텔릿의 deviceWISE 에셋 게이트웨이는 통합형 클라우드-레디 솔루션으로 산업용 IoT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텔릿과 시스코는 다방면의 고투마켓 협력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다각화함으로써 폭넓은 시장 기회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안전성과 견고함을 강화하여 인더스트리 4.0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양사의 통합 어플라이언스는 산업 자산 관리, 상태 기반 모니터링, 예측 정비 및 다양한 미션 크리티컬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엣지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이번 제품에 사용된 텔릿의 deviceWISE 에셋 게이트웨이는 방대한 산업용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스마트 에이전트로서 지난 수십여 년간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축적해온 개발 및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게이트웨이는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첨단 헬로티]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지난 4월 7일 판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관에서 필리핀 산토 토마스 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생 68명을 대상으로 반도체 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세미나에 참여한 산토 토마스대학의 전자공학도들 산토 토마스대학은 필리핀 4대 명문 대학 중 하나이며 406년의 역사를 지닌 아시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산토 토마스대학 측은 반도체 여러 기술 분야 중에서도 최첨단 미세구조 제작기술인 MEMS와 NEMS(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나노 정밀 제어기술) 세미나를 요청했다. 이에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김도현 명지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우리나라의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을 소개했다. 세미나에 참여한 산토 토마스대학 측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필리핀의 젊고 역량있는 공학도들이 반도체 분야 글로벌 인재로 거듭날 수 있는 강력한 동인(動因)을 얻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남기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보안 및 감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특화된 2.2 마이크로미터 후면 조사형 픽셀 기술 플랫폼 기반의 이미징 제품인 AR0521 CMOS 이미지 센서를 선보였다. ▲온세미컨덕터가 출시한 이미지 센서 AR0521 이 시리즈의 첫 번째 제품인 AR0521은 2592 (H) x 1944 (V)의 액티브 픽셀 어레이의 소형 광학 포맷 1/2.5인치, 5메가픽셀 디지털 이미지 센서이다. AR0521은 롤링 셔터 리드아웃을 통해 선형 혹은 HDR 모드로 이미지를 캡쳐하고 비닝, 윈도우잉 및 비디오나 싱글 프레임 모드와 같은 정교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이미지 솔루션은 8,10 혹은 12-비트 출력을 제공하며 16:9 비디오에 맞도록 1440p 모드로 5MP 6fps의 성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더 큰 선형 웰을 제공함과 동시에 작은 픽셀보다 더 낮은 소음을 만드는 2.2 μm의 BSI 픽셀은 보안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인 저조도 성능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 솔루션은 전자 롤링 셔터와 글로벌 리셋 릴리즈 기능도 탑재됐다. 이 기능은 고급 라인 동기화 제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멀티-카메라(스테레오)를 지원한다. 향상된 통합
[첨단 헬로티] 안리쓰 코퍼레이션(이하 안리쓰)이 새로운 측정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무선 테스트 세트 MT8870A를 출시했다. ▲안리쓰 MT8870A 이번 신제품은 최신 블루투스 5의 2 Mbps Low Energy PHY(이하 2LE) 및 Bluetooth Long Range(이하 BLR) 장치를 지원하는 새로운 측정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한다. 또한 Bluetooth 5는 미래의 스마트폰, 무선 모듈, 커넥티드 카 등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번 신제품 MT8870A는 생산 라인에서 셀룰러, 커넥티비티(connectivity), FM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을 테스트 하기 위한 멀티 플랫폼 세트로, 하나의 메인 프레임에 최대 4개의 고성능 테스트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각 유닛은 파라미터를 독립적이고 병렬로 측정할 수 있어 생산 라인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MT8870A는 현재의 블루투스 5 표준 이상으로 향후 업그레이드를 위한 확장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가현 기자(eled@hellot.net)
[첨단 헬로티] NXP가 GCL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NFC를 통합한 조작 방지 마개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와인 및 주류 업계에 특화된 것으로 향후 구알라의 IoC(Internet of Closures, IoT 마개) 스마트 제품군을 구성하게 될 예정이다. 구알라의 스마트 제품군은 NFC 조작 방지 기능을 갖춘 마개로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고, 위조를 방지하며, 조작이 불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기업들의 경우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NFC를 한 번 탭(Tab)함으로써 소비자들은 해당 주류 제품의 원산지와 칵테일 레피시, 후기 등의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주류를 개봉 후에도 대화의 내용을 확장하여 독점적인 VIP 제품 제안이나 로열티 보상 등의 제공이 가능하다. NFC 마개는 NTAG 213 태그 템퍼(Tag Tamper) 기술에 기반한다. NTAG 213 태그 템퍼는 ECC 기반 정품 인증 서명(브랜드 고유 서명 옵션 포함),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포함한 조작 방지 기능, 현재 상태에 기반한 이중 상태 애플리케이션, 칩 상의 고유 URL 생성 기능을 지니고 있다. 어떤 NFC 장치이던,
[첨단 헬로티] 애플이 폭스콘과 제휴해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에 참여하는 것을 검토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공영 방송인 NHK가 14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분사하는 도시바 반도체 사업 지분 2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수십억달러를 투자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이같은 시나리오에서 도시바는 매각하는 반도체 사업 일부 지분을 유지하면서 미국과 일본의 통제 아래 사업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이것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민감한 기술이 투자자들에게 넘어가는 것을 우려하는 일본 정부의 우려를 달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와 관련해 애플과 폭스콘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는 현재 4파전 양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로드컴은 사모펀드인 실버레이트파트너스과 손잡고 제휴전에 뛰어들었고 SK하이닉스, 폭스콘, 웹스턴 디지털도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첨단 헬로티] 네트워크 테스트, 가시성 및 보안 솔루션 업체인 익시아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as-a-Service) 클라우드렌즈 플랫폼을 공개한다고 14일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클라우드렌즈 퍼블릭은 지능적이고 자동화된 가시성 기능을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하며,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에 맞춰 확장성을 제공한다. 익시아는 보안 및 모니터링 도구로 업무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 보안성 및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에 저해가 되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보안 수준까지 저하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의 사각 지대를 피하려면 클라우드 트래픽에 대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익시아는 클라우드렌즈 플랫폼과 관련해 "고객들이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캡쳐하고 필터링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면서 "어렵고 힘든 작업을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처리해 가시성 관리 업무에 따른 부담을 덜어준다"고 설명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