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KT와 현대해상이 IoT 기반 보험융합상품을 공동 개발한다. 양사는 ▲ NB-IoT 및 LTE-M 기반 다양한 융합상품 공동 개발 및 출시, ▲ 양사가 보유 중인 기존 고객 대상 공동 마케팅을 통한 소물인터넷 시장 확대, ▲ 공동 개발 상품 확대를 위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발굴, ▲ 소물인터넷 전용 디바이스 공동 개발, ▲ 빅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한 타겟형 상품 개발 등을 추진한다. 우선, 양사는 NB-IoT 기반 트래커를 활용한 어린이 보호 관련 융합상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이후, LTE-M을 포함하여 소물인터넷을 활용한 IoT 블랙박스, 헬스, 여행 등 다양한 융합상품으로 확대한다. 보험 고객의 니즈에 맞춘 맞춤형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협업 외에도 장기적으로 양사 고객의 서비스 활용 실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보험료 할인이나 특정 고객을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KT 플랫폼사업기획실 김형욱 실장은 “IoT와 보험의 융합은 회선만 제공해왔던 기존 IoT 서비스 형태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라며, “고객이 필요한 추가 가치를 지속 개발하고 이를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함으
[첨단 헬로티] 보쉬전동공구사업부(대표 박진홍)는 2017년 7월 1일 구매건부터 적용되는 전문가용 블루 전동공구 제품과 리튬이온 배터리의 보증기간을 연장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시작한다. 전문가용 블루 유선/무선 전동공구(측정공구, 고주파 공구, 산업용 공구 및 에어공구 제외)는 기존 보증기간 1년에서 3년으로 연장된다. 또 무선(충전) 전동공구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기존 보증기간 6개월에서 2년으로 연장된다. 보증기간 연장은 제품 구매 후 4주 이내에 보쉬전동공구 공식 홈페이지에서 프리미엄 서비스 ‘보증기간 연장하기’를 클릭해 개인 계정 생성 후 해당 제품을 등록하면 된다. 이와 함께 올해 12월 31일까지 유선공구의 파워를 내는 18V 브러쉬리스 해머, 컷쏘, 그라인더 신제품 3종 구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 이벤트 참여 후 보증기간 연장 프리미엄 서비스까지 등록하여 이중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보쉬전동공구 사업부 박진홍 대표는 “이번 보증기간 연장 프리미엄 서비스는 국내 전동공구 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고객 서비스 강화를 위해 기획됐다”며 “앞으로도 계속 고객의 편의를 우선으
[첨단 헬로티]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대표 오재철)가 전문 분야인 비정형 데이터 관리 영역을 넘어 토털 에너지 관리 서비스 제공 회사로의 변신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전력수요관리(Demand Response) 국제 표준 규격인 OpenADR 2.0 a/b 인증을 획득한데 이어 2015년에는 수요관리사업자용 운영시스템 ‘LAMS(램스, Load Aggregators’ Management System)를 선보였다. 램스 출시 이후 누적 수요자원 관리량이 약 1.7GW를 넘어섰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이외에도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미터링 표준 프로토콜 관련, DLMS/COSEM 프로토콜의 국산화 및 스마트그리드 기기 보안 기술, 개방형 전력 플랫폼 및 전력 Business Enable 등도 개발했다. ‘한국/영국 공동연구과제’ 아래 ‘P2P 에너지 프로슈머 거래 관리 플랫폼’ 개발을 위해 한국 컨소시엄(가천대,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건국대, 한전 KDN, KERI), 영국 컨소시엄(Oxford University, Imperial College, Bath Universi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업체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는 새로운 전력 관리 반도체(PMIC) ‘MAX77650’과 ‘MAX77651을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두 제품은 스마트의류, 스마트워치, 블루투스 헤드폰, 활동 모니터 등 크기가 제한된 웨어러블∙히어러블(Hearable) 기기의 배터리 수명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웨어러블∙히어러블 기기 폼 팩터(Form factor)가 점점 작아지면서 부품 소형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로 작동하는 대부분의 소형 기기용 PMIC에는 부스트(Boost), 벅(Buck),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 충전기, LED 표시기와 같은 전류 레귤레이터가 필요하다. 맥심은 이 모든 기능을 기존 2분의 1 이하 크기(19.2mm2)인 소형 전력 솔루션에 통합해 공간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MAX77650, MAX77651에 있는 싱글 인덕터 멀티 출력(SIMO) 벅 부스트 레귤레이터는 싱글 인덕터로 독립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파워 레일 3개, 150mA LDO, 3개 전류 싱크 LED
[첨단 헬로티] 마이크로컨트롤러, 혼합 신호, 아날로그 반도체 및 플래시-IP 솔루션 업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북아시아 총괄 및 한국 대표 한병돈)는 자사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기술이 적용된 50Mbps 지능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INIC) 제품 출하량이 5000만 개를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마이크로칩 MOST50 기술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구리선과 함께 사용하게 적합한 전기적 물리 계층(ePHY)을 포함하고 있다. 제너럴 모터스(GM), 도요타 등 글로벌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소형차부터 고급형 SUV에 이르는 다양한 차종에 채택하고 있다. MOST 기술은 고대역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 솔루션으로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 없이도 오디오, 비디오, 패킷, 콘트롤 데이터를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마이크로칩 INIC는 프로세서 부담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통신을 간소화하며, 원격 제어 프로세서가 필요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지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와 광명시(시장 양기대)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고 지역의 효율적인 공기질 관리를 위해 ‘IoT 활용 미세먼지 환경 개선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KT와 광명시 광명시의 유동인구와 미세먼지 취약지역을 분석해 기지국, 전화부스, 전주, 주민센터, 버스정류장 등 광명시 전역에 IoT 기반 공기질 관측망을 구축한다. KT와 광명시는 ICT 기술을 활용해 공기질 개선 및 사회적 비용 절감을 통한 공공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협력으로 KT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소음, 온도, 습도 등 공기질 상태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해 광명시에 제공한다. 광명시는 9월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기오염 발생 지역 분석, 대기오염 배출원에 대한 환경감시 업무, 미세먼지 살수차의 이동경로 최적화 등에 활용한다. KT와 광명시는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 실시간 미세먼지 상태 App/Web 제공, ▲ 지역/계절/시간대별 미세먼지 현황지도 제공,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제고, ▲ 추가 설치 계획 수립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
[첨단 헬로티 신한은행은 한전KDN,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관련 사업 추진 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신한은행은 한전KDN이 개발하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프로젝트에 금융자문 및 금융주선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앞서 이미 지난해 7월 한전KDN 및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일본히타치태양광발전사업(54MW)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이번 업무협약을 통한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단순 금융지원차원을 넘어 공동사업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도시가스 공급업체인 참빛영동도시가스(대표이사 김복천)와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가스미터 기술개발 및 공동구축 사업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NB-IoT 스마트 가스미터에 필요한 계량기, 관제서버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8월말부터 참빛영동도시가스 공급권역 일부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향후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유지보수 등의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관광, 에너지,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는 참빛그룹 에너지 분야 계열사인 참빛영동도시가스는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도시가스사로, 이번 협약으로 LG유플러스 스마트 가스미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도시 가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삼천리 도시가스와 ‘스마트 배관망 관리 시스템’을 경기지역에 보급키로 한데 이어 이번에는 참빛영동도시가스와 손잡고 강원지역에 스마트 가스미터 공급을 추진키로 했다. NB-IoT를 활용한 도시가스 사업협력은 이번이 두 번째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도시지하 곳곳 도시가스 시설물에 NB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5G 통신 장비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국내외 5G 통신 관련 ICT 협력사를 대상으로 5G RFP(입찰제안요청서, Request For Proposal)를 발송했다고 30일 밝혔다. 5G RFP는 5G 통신 장비 도입을 위해 SK텔레콤이 구상하는 5G 상용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문서다. ICT 분야 협력사들은 이번 RFP의 세부 조건을 반영해 입찰 제안서를 제출하게 된다. SK텔레콤은 약 3개월 동안 제안서 접수 및 설명회 개최 과정을 거쳐 10월 말 입찰 후보 업체를 선정한다. 선정된 협력 업체와 추가 RFP 등 5G 상용망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 공개한 RFI(정보공개요청서, Request for Information)에 답변서를 제출한 ICT 협력사가 이번 RFP 발송 대상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에 발송한 RFP는 SK텔레콤이 구상하는 기지국 · 코어 장비 · 가상화 인프라 등 5G 상용 장비의 세부 기술과 사업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 특히, ▲5G 주파수 후보 대역 별 무선 전송 규격과 성능 ▲가상화 코
[첨단 헬로티] 현대자동차가 에스.엠.엔터테인먼트(S.M.Entetainment, 이하 SM)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로 가수를 비롯한 연예인들이 차량 안에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쏠라티 무빙 스튜디오(Solati Moving Studio)’를 25일 공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동차에서 삶의 동반자로’라는 현대자동차의 기업 비전 아래 단순한 이동 수단이었던 ‘자동차’의 역할을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한다는 취지 아래 진행됐다.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쏠라티 무빙 스튜디오’는 ‘사용자 중심의 안전한 방송 스튜디오’를 목표로 고성능 카메라, 음향, 조명 장비를 탑재했고 제작자 전용 시트와 편집 장비 등을 마련해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방송 촬영과 편집이 용이하게 제작됐다. ‘쏠라티 무빙 스튜디오’는 8월 SM 측에 전달돼 소속 연예인들의 방송 촬영 등에 활용되며 해당 영상은 각종 온라인 미디어 채널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는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협업은 매우 중요하다”며
[첨단 헬로티] LG디스플레이는 25일 대형 OLED와 중소형 플라스틱 OLED 중심으로 2020년 까지 국내에 15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파주에 건설 중인 P10에 10.5세대 대형 OLED 및 6세대 POLED 라인을 구축해 TV와 모바일 등 OLED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LG디스플레이는 25일 이사회를 열고 10.5세대 OLED 생산을 위한 선행 투자에 2조 8천억원, 중소형 POLED 추가 캐파에 5조원 등 총 7.8조원을 신규 투자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대형 OLED에서는 10.5세대 OLED 선행 투자 및 P10 건물 및 E4-2 투자건을 포함해 약 5조원의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며, 중소형 POLED는 이번에 신규 발표한 생산캐파를 포함해 현재 투자 진행중인 E5, E6 라인 포함 총 10 조원 가량을 투자하게 된다. 대규모 투자와 관련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새로 발표한 월페이퍼와 CSO (Crystal Sound OLED) 같은 OLED TV 신제품 반응이 좋고, OLED TV 신규 고객 및 사이니지 등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모바일 및 자동차 분야에서도 OLED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
[첨단 헬로티] AI 컴퓨팅 기업 엔비디아(CEO 젠슨 황)가 엣지 컴퓨팅용 플랫폼인 젯슨 TX1 및 TX2용 리눅스(Linux) 기반 소프트웨어 제품군인 제트팩(JetPack) 3.1을 공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텐서RT(TensorRT) 2.1 및 cuDNN 6.0으로 업그레이드된 제트팩 3.1은 가속화된 배치 사이즈 1을 활용할 수 있는 비전 가이드 내비게이션 및 모션 컨트롤과 같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딥 러닝 성능을 최대 2배 가량 향상시킨다. 젯슨이 배포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 수준을 이전보다 향상시켜, 배달 로봇, 원격현실감(telepresence), 동영상 분석 등 새로운 세대의 자동화 기계(autonomous machines) 구현이 가능해질 것으로 엔비디아는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로봇공학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첨단 인공지능의 트레이닝 및 실전 배포용 올인원 플랫폼인 아이작 이니셔티브(Isaac Initiative)를 공개한 바 있다. 젯슨 TX2(Jetson TX2)는 네트워크 엣지에 위치한 원격 사물인터넷(IoT) 장치에서는 종종 네트워크 범위(network coverage), 지연율(latency) 및 대역폭(bandwidth)이
미세 먼지가 사회 문제로까지 등장하면서 공기청정기 시장이 부쩍 커졌다. 가정과 사무실을 넘어 자동차 등 다양한 공간을겨냥한 공기청정기들이 쏟아진다. 최근에는 휴대용 제품까지 나오는 등 공기청정기의 모바일화도 급물살을 타는 양상이다. 카인클린도 휴대용 공기 청정기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회사 중 하나다. 프리미엄부터 보급형에 이르는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차량용과 가정용 공기청정기는 이미 내놨고 앞으로는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제품까지 저렴한 가격에 선보일 예정이다. 나노 광촉매 방식 기술로 승부 카인클린은 자사 제품에 대해 러시아 우주정거장에서 공기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나노 광촉매(TiO2) 기술에 기반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주목된다. 카인클린에 따르면 우주정거장은 밀폐된 공간이며, 각종 악취와 기계에서 나오는 열로 인해 오염된 공기로 가득하다. 오염 물질이 집진된 필터나 쓰레기를 우주로 방출하는 것도 어렵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 당국은 특수 처리 기술이 필요했고, 나노 광촉매가 해결사로 투입됐다는 것이 카인클린 설명이다. 나노 광촉매 기술은 자회선을 비추면 유해물질을 흡착, 산화 반응해, 공기
[첨단 헬로티]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삼성SDS가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플랫폼인 애저(Azure)와 애저 스택(Azure Stack)을 기반으로 한 신규 사업 개발 및 국내 비즈니스 확장이 골자. 양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웹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애저 서비스를 삼성 계열사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애저를 도입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를 혁신하고,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객 접점 강화, 신규 고객 유치, 애저 재판매 및 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계획이다. 양사는 ‘클라우드 이노베이션 랩(Cloud Innovation Lab)’도 설립해 공동 운영한다. 클라우드 이노베이션랩은 삼성SDS 솔루션 및 시스템 구축 역량 노하우와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데이터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제품 로드맵 등을 공유해 공동연구, 기술교류를 비롯한 클라우드 서비스 전반에 걸친 품질 및 효
[첨단 헬로티] 3D솔루션 및 제품수명주기(PLM), 스마트 팩토리 기업 다쏘시스템은 프랑스의 엔터프라이즈급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아웃스케일(Outscale) 지분 다수를 인수했다고 25일 발표했다. 다쏘시스템은 이번 인수로 클라우드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산업 부문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 지원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쏘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아웃스케일은 시스코 CMSP Advanced, 100% Intel Cloud Technology, 넷앱 알타볼트 등의 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형 클라우드 인프라(IaaS) 업체다. 유럽, 북미, 아시아 등에 위치한 10 개 데이터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웃스케일은 계산,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클라우드 리소스 조정 및 자동화를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클라우드 플랫폼을 쉽게 구축, 관리하고 가용성을 향상시켜주 클라우드 운영시스템 TINA OS도 자체 개발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양한 현장에서 유연한 시간 활용을 통해 기업들에게 복잡한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인프라 구축 및 관리 업무를 없애면서도, 즉각적인 구축, 탄력적인 컴퓨팅 및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