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메쉬코리아가 정부의 ‘2021년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 지원사업’의 참여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출처 : 메쉬코리아 해당 사업 참여를 통해 로봇과 드론 등 차세대 운송 수단을 부릉의 IT 기반 물류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더욱 고도화된 디지털 물류 서비스의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겠다는 방침이라 전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 지원사업’은 디지털 물류체계 구현을 통해 교통혼잡이나 안전사고와 같은 도심 내 물류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최초로 시행하는 국책 사업이다. 메쉬코리아는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 부문에서 김천시,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로봇 및 드론배송을 활용한 디지털 물류혁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삼고 유관 기관 및 기업과 협업해 다양한 혁신 물류 실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물류센터와 배송지간 드론 배송, 공공건물·오피스텔을 대상으로 자율형 물류로봇 배송서비스를 실증한다. 도출한 정보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거치며 이후 다양한 물류 프로세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최적의 디지털 운송 솔루션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은 6월 11일까지 2021년 온라인수출 공동물류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온라인수출 공동물류사업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수출 중이거나 수출 예정인 중소기업의 물류비 절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3년 차를 맞았다. ▲물류비 상시 할인 ▲물류서비스 및 물류거점 이용을 지원한다. 물류비 상시 할인 참여기업은 온라인 수출 물량 집적을 통해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EMS 정상가 대비 평균 50% 이상 저렴한 물류단가로 해외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출처 : 중진공 중기부와 중진공은 지난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물량 약 370만 건을 집적해 EMS 정상가 대비(주요 10개국 기준) 평균 48%, 최대 82%의 할인된 단가를 제공했다. 또한 사업종료 후 내년 6월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수출기업이 안정적으로 물류비용 지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물류서비스 및 물류거점 이용은 수행기관의 국내외 물류거점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물류 서비스,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특화된 현지 풀필먼트(아마존 FBA, 쇼피 SLS 등) 이용료, 수출 통관 및 신고대행비등 제
[헬로티] SK(주) C&C는 24일, 인피니트헬스케어와 ‘AI 뇌출혈 영상판독 솔루션, 인피니트 팩스(INFINITT PACS) 연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출처 : SK C&C SK(주) C&C의 인공지능 기반 뇌출혈 영상판독 솔루션이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이하 ‘팩스’)과의 연동 작업에 돌입한 것이다. 인피니트헬스케어는 의료영상정보솔루션 전문기업으로, 국내 팩스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대만, 중국, 동남아 등 전 세계 6300여 의료기관이 인피니트헬스케어의 의료영상솔루션을 진료에 사용하고 있다. ‘인피니트 팩스’는 X-ray(엑스레이),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MRI(자기공명영상진단기) 등 다양한 의료영상기기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화하고, 판독과 협진에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인공지능 솔루션과의 유연한 연동으로 판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인피니
[헬로티] 국내 최대 스마트제조전시회 'SmartFactory + AutomationWorld 2021'의 공동 주관사인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 ㈜첨단은 'SmartFactory + AutomationWorld 2021' D-100일을 맞아 오는 6월 4일(금) 'K-스마트등대공장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K-스마트등대공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해 한국 제조업의 미래를 이끄는 공장을 의미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등대공장과 스마트공장고도화 사례를 통해 K-스마트등대공장으로의 도약 기회를 제공한다.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6월 4일 오후 1시 30분부터 4시 40분까지 진행되며 6개의 세션으로 이뤄져 있다. 각 세션의 주제발표를 살펴보면, 슈나이더일렉트릭 손장익 이사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작-에코스트럭처에서라는 주제발표로 컨퍼런스의 문을 연다. 이 세션에서는 글로벌 슈나이더일렉트릭의 3개 나라의 스마트팩토리가 세계경제포럼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이유와 2020년 익산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를 통해 중소 벤처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모델에 관해 이야기한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SK텔레콤의 현창호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LH 토지주택연구원(LHI), 대전세종연구원(DSI)은 ▲사용자 개인별 맞춤형 생활안전 위험정보 알림 서비스 ▲도심지 침수 예·경보 시스템 ▲도시재해재난 안전 및 사회 안전 긴급구난 기술 등을 본격 개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ETRI 세 기관은 공통으로 집중호우에 따른 위험 등 국민의 일상생활 속 안전 문제를 다루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의 연구 노하우와 상호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ETRI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보행, 치안, 보건, 환경, 시설 등 영역에서 일상생활 속 안전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자 개인별 맞춤형으로 생활안전 위험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 기술을 개발 중이다. 지금까지 안전 서비스는 주로 공급자 입장에서 각종 안전시설을 구축하고 불특정 국민 대중의 안전을 살피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ETRI가 추진하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는 국민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안전 위험들을 개인별 상황 및 장애 여부, 위치, 개인 선호도, 스마트폰 사용 조건 등을 파악해 맞춤형, 수요자 중심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
[헬로티] 국내 최대 스마트제조전시회 'SmartFactory + AutomationWorld 2021'의 공동 주관사인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 ㈜첨단은 'SmartFactory + AutomationWorld 2021' D-100일을 맞아 오는 6월 4일(금) 'K-스마트등대공장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K-스마트등대공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해 한국 제조업의 미래를 이끄는 공장을 의미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등대공장과 스마트공장고도화 사례를 통해 K-스마트등대공장으로의 도약 기회를 제공한다.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6월 4일 오후 1시 30분부터 4시 40분까지 진행되며 6개의 세션으로 이뤄져 있다. 각 세션의 주제발표를 살펴보면, 슈나이더일렉트릭 손장익 이사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작-에코스트럭처에서라는 주제발표로 컨퍼런스의 문을 연다. 이 세션에서는 글로벌 슈나이더일렉트릭의 3개 나라의 스마트팩토리가 세계경제포럼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이유와 2020년 익산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를 통해 중소 벤처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모델에 관해 이야기한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SK텔레콤의 현창호
[헬로티] 매뉴팩처링티비(이하 MTV)가 오는 26일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제약/바이오산업을 위한 딥러닝 및 솔루션 웨비나를 개최한다. ▲출처 : MTV 더 이상 자동화 분야에서 비전과 딥러닝은 어색한 단어가 아니다. 딥러닝 솔루션은 산업 전반에 걸쳐 요구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룰베이스 솔루션과 딥러닝 솔루션을 적절히 사용해야 최적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코그넥스의 신제품 바코드리더기 데이터 관리 플랫폼인 엣지 인텔리전스를 소개한다. 특히 제약 및 바이오산업에 특화된 검사 솔루션과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으로는 ▲제약 및 바이오 적용 솔루션 소개 ▲바코드리더기 관리 플랫폼, 엣지 인텔리전스 소개 ▲바코드리더기 및 검증기 소개 ▲딥러닝 기반 머신 비전 소개 ▲코그넥스 딥러닝 솔루션 검사 제안 ▲3D Vision 신제품 IS3D-L4000 소개로 이뤄진다. 한편,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웨비나는 MTV 홈페이지(https://manufacturingtv.co.kr/Event/131)에서 회원가입 후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MTV 홈페이지에서는 지난 방송도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TDK 그룹의 회사인 인벤센스(Invensense)의 SmartIndustrial 센서 제품군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이런 소형의 고정밀 저비용 가속도계 및 모션 감지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모듈은 엔지니어에게 로봇공학, 틸트 감지, 플랫폼 안정화, 내비게이션, 산업 자동화 등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폭넓은 센서 선택권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에서 구입할 수 있는 SmartIndustrial 제품군에는 IIM-42351 및 IIM-42352 센서가 포함된다. 이 초저잡음 3축 가속도계는 2.5 mm x 3 mm x 0.91 mm의 소형, 14핀 LGA 패키지에서 최대 16g의 디지털 출력 프로그래밍 가능한 범위를 제공한다. IIM-42351 가속도계는 로봇 암, AGV, 전신주, 카메라와 같은 산업 및 사물인터넷 (IoT) 장치의 정밀한 기울기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최대 4kHz의 광범위한 진동 주파수를 측정해 펌프나 모터, 압축기 등의 회전 장비의 예지 정비를 가능하게 해 오류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마우저는 밝혔
[헬로티] KOTRA가 21일 국내 기업의 중국 스마트제조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한·중 스마트제조 온라인 수출상담회'를 개최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행사는 KOTRA가 중국 내 스마트제조설비 산업의 가파른 확장 속도에 맞춰 추진하는 다양한 대외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중국 톈진(天津)에서 열리는 제5회 세계지능대회(World Intelligence Congress)와 연계한 이번 행사는 한·중 스마트제조 산업 설명회와 일대일 화상 상담회로 진행된다. 이번 상담회는 국내 참가자들에게 중국기업과 소통할 기회를 제공한다. 설명회에서는 중국 톈진시와 한국의 로봇산업협회 관계자가 각국의 로봇산업 현황과 우수 기술을 소개한다. 설명회 연사로 참여하는 톈진이공대학교 기계공정학부 자오리엔위 교수는 "중국 스마트제조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해외 기술과 수입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행사가 양국의 로봇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대일 화상 상담회에서는 로봇 분야 현지 기업 15곳과 국내 기업 10곳이 상담을 진행한다. 특히 산업용 카메라, 감속기, 협동·물류 로봇 등
[헬로티] 현대건설기계가 중국 20개 지역에서 대규모 고객 수주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출처 : 현대건설기계 현대건설기계는 이달 15일, 중국 강소성 남창시를 비롯한 20개 지역에서 총 3500명의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고객 수주행사를 진행했다. 이날 진행된 고객 수주행사를 통해 현대건설기계는 총 1630대의 굴착기 신규 판매예약을 수주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새로운 현대와 함께하는 고객사랑 큰잔치'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현대건설기계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신모델 대형 굴착기 5모델 (R550/505/395/375/350)에 대한 주요 특장점을 소개하고 순정부품 및 어태치먼트 전시 행사와 구매 증진을 위한 리스상품 및 정책 등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고객들이 직접 장비의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기술대결 이벤트와 장비 시운전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됐으며, 신규예약 고객들을 대상으로 7.5톤급 신모델 굴착기와 자동차 등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추첨행사도 진행돼 고객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또한 현대건설기계는 이날 행사에서 비수기 고객 A/S 집중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서비스 만리행 출정식'도 함께 진행해 그 의미를 더했다고 전했다.
[헬로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김학도 이사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중진공 3대 경영혁신 방향의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중점 기관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출처 : 중진공 김학도 이사장은 중진공 3대 경영혁신 ▲디지털 혁신 ▲지역산업 혁신 ▲사회안전망 혁신과 더불어 새롭게 설정한 ▲친환경·그린 혁신에 중점을 맞춘 운영 방향을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중진공은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사회안전망을 제공해 신속한 위기극복을 지원했다”며, “앞으로 탄소중립 등 중소벤처기업의 ESG경영 전환을 도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뒷받침하고, 지역기업과 주력산업 중심의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해 한국판 뉴딜 정책 성공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중진공은 지난해 디지털·지역산업·사회안전망 혁신을 3대 경영혁신 방향으로 설정하고,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력 확보를 지원하는 것에 기관의 역량을 집중했다. 디지털 혁신에서는 우선 ▲정책자금 비대면 상담·신청·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제조현장 디지털화를 위한 제조현장스
[헬로티=함수미 기자] 가상세계에서 옷을 사고 친구를 사귄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재, 가상세계를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까? 가상 세계를 잘 활용하는 방법, '디지털 트윈'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요의 급증으로 디지털 경제로 가속화되는 지금 디지털 트윈은 각 분야에 접목돼 발전하고 있다. 특히 영상 기술은 인공지능과 딥러닝이 더해져 디지털 트윈을 향한 디딤돌이 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 트윈이란? 디지털 트윈은 현실세계에서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가상세계에서 분석하고 최적화 방안을 도출해 이를 기반으로 현실세계를 최적화하는 지능화 융합 기술이다. ETRI의 '디지털 트윈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현실세계의 문제점 해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상세계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현실세계에서 수집한 과거와 현재의 정보를 가상세계에서 분석하고 위험요소를 파악해 제점 발생을 사전에 방지한다. 디지털 트윈은 국가 인프라, 제조 현장, 생활 SoC 등 다양한 분야에서 3차원 모델링,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분석·예측 등을 통해 국가 디지털 전환의 핵심기술 역할을 수행한다. 정부에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 경제를
[헬로티] KT가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 최초로 AMD 프로세서 기반 가상 서버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상품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출처 : KT AMD 서버는 기존 동일 사양 서버 요금의 80% 수준으로, 기업고객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AMD 서버는 일반 웹, 미들웨어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도 업계 표준 x86 아키텍처로 쉽게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어,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을 요구하는 고객에게 적합하다. KT의 자체 검증 결과, AMD 서버는 KT Cloud D1 플랫폼에서 운용 중인 인텔 서버 CPU 캐스케이드(Cascade)와 동일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구축을 준비하는 기업고객은 AMD 서버를 활용해 총소유비용(TCO)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KT는 밝혔다. AMD 서버는 일반 퍼블릭 클라우드 존보다 보안성, 유연성이 강화된 KT 클라우드의 ‘D1 플랫폼’에서 제공된다. 출시 이후에는 D1 플랫폼뿐만 아니라 KT G-Cloud(공공 클라우드
[헬로티]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통합 인프라 환경으로 안정성을 보장하고 클라우드 및 AI/빅데이터 분석 환경에 최적화된 가상화 기반의 미래지향적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영상전용 컨버지드 플랫폼 HVMP(출처 :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CCTV 영상을 수집·분석·관리하기 위해 기술력과 안정성을 겸비한 통합 인프라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 향후 늘어날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대한 통합과 안전한 보관, 시스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시티 사업에 설계되는 인프라 구조는 x86 서버를 레거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HVMP(Hitachi Video Manageme 통한 가상화 기반의 컨버지드 시스템 환경을 제공하며 스마트시티 통합 인프라 구현을 지원한다. 통합된 인프라로 안정성을 보장하고 운영 중단 없이 시스템에 필요한 리소스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고도화된 플랫폼 운영,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신속한 전환, AI/빅데이터 활용 분석 등을 제공하며, 설계 단계부터 지능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
[헬로티] 슈퍼브에이아이가 구축한 위성영상 객체 판독 AI 데이터가 객체 의미 정확성 99.9%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출처 : 슈퍼브에이아이 슈퍼브에이아이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자유 공모 과제에 선정돼 지난해 말까지 ‘위성영상 객체판독 AI 데이터 구축 사업'을 수행했다. 아리랑 위성 영상을 활용한 이번 데이터 구축 사업에는 슈퍼브에이아이를 비롯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에스아이아이에스(SIIS), 에스아이에이(SIA)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으며, 슈퍼브에이아이는 이 중 객체, 건물, 도로, 구름 등의 광학 영상 데이터 가공을 담당했다. 위성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1장에 최대 1000개 정도의 물체가 있어서 라벨링 난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이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지닌 인공지능 기업들이 모여서 과업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 차량, 선박, 비행기, 기차 등 15종의 관심 객체 위치와 종류를 판단하는 검출 데이터 50만 건 이상, 전 세계 4개 이상의 도시에서 확보한 건물 윤곽 추출 데이터 20만 건, 6000km 이상의 도로 윤곽 추출 데이터 등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