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는 오늘, 최고의 화질과 40mK 미만의 열감도(NETD)를 지원하는 열화상카메라 신제품 ‘testo 883’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신제품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테스토코리아는 제품 구매 이력이 없는 신규 고객이 8월 31일까지 testo 883 구매 시, 자사의 무선 온습도 측정기를 무료로 제공한다. 건축 분야에서 열화상 측정 시, 무선 온습도 측정기를 testo 883에 연결해 습도 모드 기능을 사용하면 건물 단열 성능에 대한 점검이 더욱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결로가 있는 부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고객에게는 11월 30일까지 testo 883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자세한 사항은 테스토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지난 5월에 출시한 testo 883는 320x240 픽셀의 적외선 해상도를 지원하며, 카메라에 내장된 ‘SuperResolution’ 기술을 통해 이 해상도를 640x480 픽셀까지 확대할 수 있는 신개념 열화상카메라다. 테스토의 SuperResolution은 한번 측정 시 여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특허청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관련기술 특허가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작년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18443건) 대비 11.2% 증가한 20503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분야별 출원건수를 보면, 인공지능(5472건), 디지털헬스케어(5300건), 자율주행(4082건) 관련 기술에 대한 출원이 많았다. 국내 전체 특허출원 건수(3.3% 증가)에 비해 증가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이 광범위하게 진행됨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 선점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특허청은 밝혔다. 기술의 융·복합 추세에 따라 하나의 제품에 여러 기술이 적용된 융·복합 기술 관련 특허출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작년 총 1263건이 출원돼 전년 대비 23.0%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과 디지털헬스케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결합된 기술에 대한 출원이 많아 인공지능이 여러 기술과 융합되면서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사실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현대건설기계가 친환경 고효율 전략 모델 ‘A시리즈’를 공개했다. 현대건설기계는 4일 신모델 A시리즈의 국내 론칭 행사를 하고 신형 6톤~52톤급 굴착기 9개 모델과 휠로더 4개 모델을 공개했다. 유튜브로도 실시간 중계된 이 날 행사에는 고객과 딜러 60여 명이 참석, 신제품 장비를 직접 시연해 볼 수 있었다. 현대건설기계의 A시리즈 굴착기와 휠로더는 강화된 유럽 배출가스 규제인 ‘스테이지Ⅴ(StageⅤ)’를 만족할 수 있는 친환경 엔진이 탑재됐으며, 기존 엔진보다 연비도 최대 20% 향상됐다. 또한, 스마트건설 분야의 첨단 제어기술인 ‘머신컨트롤’과 ‘머신가이던 스’ 시스템이 장착돼 자동 및 반자동 작업이 가능하며, 별도의 측량인력이 없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장 주변의 위험을 사전에 감지해 알려주는 ‘레이더시스템’과 굴착기 버킷(Bucket)의 기울임, 젖힘, 회전 등의 작업을 360도로 정교하게 수행하는 ‘틸트로테이터’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작업의 안전도 및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내년 4월부터 국내에서도 ‘유로 스테이지V’에 상응하는 배출가스 규제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현대건설기계는 자사의 이번 친환경 고효율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은 6월 7일부터 6월 11일까지 중소벤처기업 기술 수출 지원을 위한 2021년 G-TEP 기술교류 상담회 및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담회에는 바이오, IT,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분야 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41개사가 참여해 6개국(러시아·말레이시아·인도·일본·중국·카자흐스탄) 기술 바이어 300여개 사와 온라인 상담을 진행한다. 중진공은 현지진출 가능성이 높은 기술 수요를 사전 조사해 기업 간 기술매칭을 진행했다. 또 상담 이후 계약서 법률검토, 통번역, 기술사업화자금 등을 연계 지원해 기술수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첫날인 6월 7일(월)에는 14시 10분부터 ▲데이터로 말하는 수출 전략 ▲기술거래 협상 실무 ▲해외 산업기술 유출 대응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김학도 이사장은 “기술교류는 국내기업에게는 해외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현지국가는 기술도입을 통해 산업구조 고도화, 경제활성화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상호 호혜적인 성격의 해외진출 모델”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이번 G-TEP 기술교류 상담회 및 세미나가 한국과 6개국이 상생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세미컨덕터가 APEC 2021서 1200V 풀 실리콘 카바이드(SiC) MOSFET 하프브리지 모듈을 발표했다. 6월 14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는 세계 최대 응용전력전자 행사인 APEC 2021서 온세미컨덕터는 하프브리지 모듈 발표와 전기차 시장의 요구에 적합한 제품을 더욱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판매량이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이를 통해 주행거리 불안 없이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돕는 급속 충전소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 관련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화해, 350kW 이상의 전력을 95%가 넘는 효율로 공급하는 것이 표준이 되고 있다. 충전기가 배치되는 다양한 환경과 위치를 고려할 때, 소형화, 견고성, 그리고 향상된 신뢰성 등이 설계자가 직면하게 되는 도전과제가 된다. 새로운 1200V M1 풀 SiC MOSFET 하프 브리지 모듈은 플라나(Planar)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18-20V 범위의 드라이브 전압을 네거티브 게이트 전압으로 인가해 간단하게 구동된다. 해당 제품은 트렌치 MOSFET에 비해서 더 큰 크
[헬로티] 코트라(KOTRA)가 오는 7월 12일부터 16일까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우리 기업의 글로벌화를 지원하기 위해 ‘해외 선진기술인력 채용상담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KOTRA는 기업별 채용수요에 맞는 해외 전문인력을 발굴하고 기업과의 면접을 주선한다. 지난 4월 소부장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전문인력 채용 수요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설문조사 응답 기업 125개사 중 41개사(32.8%)가 채용 수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채용 사유로 국내 적정인력 부족(57.8%), 특정 고유기술 필요 (28.1%) 등을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 중소·중견기업은 인지도, 직원 급여, 소재지 등의 요인으로 적정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선진 기술 도입을 위해 해외 전문 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행사는 각국의 코로나19를 고려해 두 차례로 나눠 화상상담으로 진행된다. 1차 행사는 오는 7월 코로나19 회복세가 빠른 북미·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2차 행사는 오는 9월 일본·동남아 등 기타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김태호 KOTRA 중소중견기업본부장은 “국내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헬로티] AI와 빅데이터가 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시대가 되는 가운데, 국내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이 아직 미흡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속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 수준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은 38.7%에 그쳤지만, 미흡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61.3%에 달했다. 디지털 전환이란 AI·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을 R&D, 생산, 마케팅 등 업무 전반에 접목해 기업의 운영을 개선하고 가치를 혁신하는 제반활동을 의미한다. 부문별로 대응수준을 보면 비대면 회의, 온라인 보고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업무 수행’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잘한다’ 64.2% vs. ‘미흡하다’ 35.8%> 또한 생산이나 마케팅 활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부문도 긍정적 평가가 앞섰다. <‘잘한다’ 52.3% vs. ‘미흡하다’ 47.7%> ‘디지털 인재 육성’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업기회를 모색’하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한상의는 “코로나19로 인해 업무방식에 디지털화가 많이 진전되기
[헬로티] 코넥, 위즈베이스, ISA테크 3사가 공공기관 및 국내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를 위한 ‘K클라우드 자동 전환 사업’ 협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코넥은 U2L(Unix To Linux) 자동 변환 소프트웨어 ‘DX-shift’ 개발사이며, 위즈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DB) 자동 변환 소프트웨어 ‘JCopy’ 개발사다. ISA테크는 ‘제트컨버터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ZConverter Cloud Migration)’을 개발했다. 이번 협약식은 3사가 보유한 솔루션과 서비스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상호 시너지를 창출, 빠르게 바뀌는 IT 산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클라우드 전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 협력 내용은 클라우드 이전, U2L, 데이터베이스 변환 등 기술 부분에 대한 영업 기회 발굴, 솔루션 및 아키텍처 대응, 안정적인 프로젝트 완수 및 마케팅 부문의 공동 협력 등이다. ISA테크는 리프트 앤 시프트(Lift and Shift) 방식의 자동 클라우드 전환과 해외에서 주목받는 서버리스 클라우드 재해 복구 솔루션 (Serverless ZConverter Cloud DR)을 제공하고, U2L 바탕 클라우드 전환은
[헬로티] 퀄컴 테크날라지는 제이콥스와 미국 조지아주 피치트리 코너스와 협력해 미국 최초의 스마트시티 C-V2X 기술 구현을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퀄컴 테크날러지(Qualcomm Technologies Inc.)는 제이콥스 (Jacobs) 및 미국 조지아주 피치트리 코너스(Peachtree Corners)와 협력해 커넥티드 차량 기술 및 기반 시설을 구축한 미국 최초의 스마트 도시 환경 가운데 한 곳에서 엔드-투-엔드 스마트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한 공동 작업에 나선다. 퀄컴 테크날러지는 기술 솔루션을 제공해 생태계를 구현하며, 제이콥스는 설치 위원회 프로젝트를 전담한다. 해당 프로그램이 스마트시티와 공간에 지속적인 모멘텀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한편, 피치트리 코너스는 스마트 솔루션과 프로그램 구축을 모색하는 다른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범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피치트리 코너스는 실제 환경에서 스마트 연결 기술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구축한 미국의 가장 우수한 스마트시티 생태계를 대표하는 도시 중 하나다. 피치트리 코너스의 큐리오시티 랩(Curiosity Lab)은 기술 개발자와 기업의 본고장으로 미래를 구현하며 지역 전반에 스마트 연결 솔루션을
[헬로티]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지멘스 EDA 사업부가 지난 4일 자사의 시뮬레이터인 Questa Verification IP(QVIP) 솔루션이 PCI Express 6.0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PCI Express 6.0은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의 최신 버전으로서, 세계 최고 성능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들 간은 물론 수십억 대에 달하는 전세계의 스마트 커넥티드 장치들 간에도 데이터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새로운 PCI Express(PCIe) Gen 6 프로토콜을 자사의 차세대 설계에 채택하려는 고객을 위해 QVIP는 모든 시뮬레이터의 모든 첨단 검증 환경에 완벽하게 통합된다. QVIP는 블록 레벨, 서브시스템 및 SoC 설계의 검증에 있어서 최대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일관성 있고 사용이 용이한 UVM 아키텍처를 모든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활용한다. 선도적인 고속 인터커넥트 IP 회사인 PLDA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인 스테판 호라두(Stephane Hauradou)는 “PCIe Gen 6의 초기 버전을 채택해 선점우위 효과를 누리려는 혁신적인 고객에게는 설계 검증을 위한 안정적이
[헬로티] SK에너지가 소프트베리와 전기차 충전 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SK에너지와 전기차 충전 애플리케이션 ‘이브이 인프라’(EV Infra) 운영사인 소프트베리가 손잡고 국내 전기차 충전 사업을 더욱 확장키로 했다. SK에너지는 ESG (친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기반해, 저탄소/친환경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SK에너지가 가진 가장 큰 인프라인 주유소ㆍLPG충전소를 거점으로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에너지 분야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 소프트베리는 국내 전기차 사용자의 90% 이상이 이용하는 국내 1위 전기차 충전 정보 제공 플랫폼 ‘이브이 인프라’(EV Infra)를 운영하고 있다. 소프트베리는 이를 통해 실시간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 포인트 등을 제공하며 친환경차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전기차 충전 정보 제공, 간편결제, 커뮤니티 운영 등 전기차 충전 고객 대상으로 한 서비스의 고도화 및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솔루션 개발에 공동 협업할 계획이다. SK에너지는 이번 업무협약 외에도 전기차 충전 시장의 성장속도에 맞춰 플랫폼 구
[헬로티]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다가오는 대전환의 시대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급격한 변화의 시대로 ESG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이라며 “기업시민 경영이념의 체질화를 넘어 새로운 기업 경영 모델로 발전시키고 지속적으로 혁신하여 철강 산업의 ESG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회장 최정우)가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2020 기업시민보고서’를 발간했다. 환경 보호를 위한 당면 과제와 대응 전략, 기업시민 경영성과 등을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서에 담았다. 포스코는 지난해에 이어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권고안, SASB(美 지속가능성 회계기준 위원회) 기준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국제표준의 정보 공개 권고사항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보고서에 반영했다. 올해는 기후변화 대응, 사업장 안전 강화 등 이해관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ESG 핵심 이슈들에 대한 대응 전략 및 중장기 관리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국내 업계 최초로 ESG 각 영역별 주요 성과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ESG Fact Book을 추가했다. 국내 철강사 중 최초로 해외 사업장까지 아우르는 ESG 데이
[헬로티] 앤시스코리아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 분야 스타트업의 성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ASK(애스크)’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ASK 프로그램에서는 특히 미래차(자율주행, 전기차, 수소차, 무인항공기 등)를 비롯해 5G 및 하이테크, 헬스케어, 디지털트윈, 3D프린팅 분야의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프로그램명인 ASK는 앤시스(Ansys)와 창업기업(Startup) 그리고 대한민국(Korea)의 앞글자를 각각 딴 것으로, 창업 기업의 성장을 위한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겠다는 앤시스의 포부를 담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된 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최대 3억 원의 창업사업화자금과 함께 앤시스코리아가 마련한 다양한 맞춤형 기회를 받을 수 있다. 앤시스코리아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기업들에게 글로벌 표준에 맞는 시뮬레이션 기반 제품 개발 환경을 선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앤시스가 제공하는 다물리 기반의 고도화된 시뮬레이션 엔지니어링을 통해 기업은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및 포트폴리오 다양화 등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헬로티] SK C&C는 3일 미국 제조 AMHS(자동화 물류 반송시스템,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전문 기업 브라이트랩(BriteLab)과 ‘글로벌 제조 하이테크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 제조 솔루션·플랫폼 선도기업인 SK C&C와 미국 자동화 물류 선도 기업인 브라이트랩이 만나 국내외 스마트 제조 사업 확장에 나선다. 브라이트랩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반도체 AMHS 전문기업이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NXP반도체, 온세미, 글로벌 파운드리(Global Foundries), ST 마이크로, TSMC, SSMC, UMC 등 글로벌 24개의 200mm 및 300mm 파운드리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AMHS에 기반한 제조 하이테크 사업 확장을 추진하던 브라이트랩이 SK C&C가 국내 제조 산업 현장에 적용 중인 스마트 제조 플랫폼·솔루션의 우수성과 성공적인 사례들을 확인하면서 이뤄졌다. AMHS는 여러 제조 공장의 복잡한 생산 라인에 맞춰 생산 제품(부품)을 운반하는 OHT(Overhead Hoist Transport) 등 여러 무인 반송차를 관리 제어하며
[헬로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은 6월 4일부터 6월 18일까지 2021년 제1차 스마트공장 재직자 심화 과정에 참여할 교육생 24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연수 대상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재직자다. 과정은 온·오프라인 교육과 현장 프로젝트로 구성돼 있다. 스마트공장 이론과 실습교육을 바탕으로 기업현장에서 직접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를 개선하는 교육생 주도형 프로젝트도 수행한다. 교육은 3개월간 진행된다. 세부적으로는 ▲오리엔테이션(6시간), ▲온라인 이론교육(48시간) ▲스마트공장 배움터를 활용한 오프라인 실습교육(16시간) ▲현장 프로젝트(80시간) ▲결과보고회 및 수료식(10시간)으로 총 160시간 동안 진행한다. 교육 참가비는 무료다. 특히 지난해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현장에서 진행하는 현장프로젝트 비중을 대폭 확대(56시간→80시간)하는 등 교육과정을 개편했다. 스마트공장 재직자 심화 과정 1차 연수 참여신청은 중진공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교육신청서를 다운받아 6월 18일까지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김형수 중진공 일자리본부장은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