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미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가 컨퍼런스 및 행사 등에 적용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디지털 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비대면의 일상화에 이어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현실과 가상·증강현실(VR·AR) 등이 상호 작용하는 메타버스(Metavers)가 차세대 플랫폼으로 급부상하면서 시장에서의 열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universe)과 초월(meta)의 합성어다. 이는 가상과 현실이 융합되며 만들어지는 초현실적인 세계를 의미한다. 수많은 사람과 콘텐츠가 가상세계에 모이고 그 안에서 현실 세계와 다름없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 그동안 게임사·엔터사에서 소통의 창구였다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지난 3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자회사 람다256은 ‘루니버스 파트너스 데이’를 29일부터 30일, 이틀간 ‘디비전’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가상현실로 행사를 열어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연구 자회사인 '람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PTC코리아는 25일 ‘2021 PLM 온라인 컨퍼런스’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을 위한 PLM 전략을 소개하고 최신 기술 트렌드 및 사례를 공유했다. 이날 10시부터 3시 45분까지 진행된 행사에는 500여 명의 참가자들이 10여 개의 라이브세션과 Q&A 세션에 참여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PLM 동향을 공유하는 등 디지털 제조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기조연설은 전 세계 PLM 비즈니스를 총괄하는 케빈 오브라이언(Kevin O’Brien) DVP 겸 GM의 발표로 시작됐다. 이 세션에서는 디지털 스레드의 핵심인 코어를 수립하기 위해 엔터프라이즈 PLM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협업, 제조 및 철저한 품질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 개발 환경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소개했다. 또한 PTC의 PLM 기술을 활용해 전체 제품 수명 주기에서 모든 이해 관계자가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스레드를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하고 있는 볼보 CE의 디렉터 및 프로그램 매니저가 공동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그간의 여정과 구축을 통한 성과를 공유했다. 이 밖에도 국내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이치에스테크 주식회사가 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에이치에스테크(대표 김석도)는 환경센서 전문업체인 핀란드 VAISALA社의 한국 공식 대리점이다. 이번 SF+AW 2021에서 온습도트랜스미터, 노점트랜스미터, COW센서, H2O2 센서 등을 선보인다. 핀란드 VAISALA社는 세계 최초로 Polymer sensor를 개발했다. 약 40년 동안 꾸준히 제품을 개발하며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온습도 트랜스미터는 모델에 따라 최대 최대 ±0.8%RH까지의 정확도를 자랑한다. 노점 트랜스미터 또한 꾸준한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으며 모델에 따라 최대 최대 ±2℃ Td까지의 정확도를 보인다. VAISALA의 센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정확성과 안정성을 자랑한다. 에이치에스테크는 VAISALA 센서에 대한 기술지원, 판매, AS를 진행한다. 또한 제어기기 및 시스템 전문 업체로 미래의 산업제어 및 빌딩제어문화를 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제이씨앤디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제이씨앤디(대표 신성준)는 SF+AW 2021에서 비대면 스마트 출석 및 온도 감시시스템, AI 다중 온도 감시 시스템 등을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비대면 스마트 출석 및 온도 감시시스템은 ARM 기반 CPU 및 NPU(최대 3TOP)를 지원하는 AiSEMI One+ 세계 최초 스마트 어텐딩 및 온도 감시 시스템, 무접촉 온도 측정 및 신분증 확인 기능을 갖춘 빠르고 정확한 스마트 얼굴 인식 어텐딩 시스템이다. 비대면 감시 시스템은 ▲World Premier 스마트 어텐스 시스템 ▲개인 데이터 보안을 위한 온프레미스 ▲온도 스크리닝 지원 100,000 측정 데이터 ▲얼굴 인식 액세스 제어 시스템 ▲지원 멀티 도어(6도어) 네트워킹 액세스 제어 관리 ▲10.1인치 환영 게시판 및 표지판 ▲지원 10,000GB 면 데이터베이스 용량 ▲다중 요소 인증 지원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제이씨앤디는 AI 다중 온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해리알앤디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해리알앤디(대표 최병만)은 SF+AW 2021에서 ODP Cable, 응급복구용드럼, 방수단자함을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ODP Cable은 광케이블에 커넥팅 처리를 하여 현장접속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옥내외 관로 및 스틸배관, ,덕트경유 시공시 비교적 튼튼한 외장이 필요한 경우라던가 현장 접속의 어려움이 있을 시 용이하다. HR-RD-3/HR-RD-4은 응급복구용로 사용되는 드럼이다. 드럼은 현장에 임시 설치 후 보관 가능하다. ODP Cable장착후 이동성이 용이하기에 같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광네트웍 구성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케이블과 단자다. 기본적으로 통용되는 단자함뿐아니라 맞춤제작품으로도 의뢰 가능하다. 방수단자함은 방수재질로 되어있는 광단자함이다. 해리알앤디는 광통신 자재의 연구개발과 시공, 광통신자재의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광통신이 일반화 되어가는 현상황에 광통신이 낯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비맥스테크놀로지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비맥스테크놀로지(대표 강태윤)은 SF+AW 2021에서 NRU-110V 시리즈와 Nuvo-8034, Nuvo-8108GC-XL를 선보인다. Nuvo-8108GC-XL은 NVIDIA RTX 30 시리즈의 RTX 3080까지 지원하는 엣지 AI GPU 컴퓨팅 플랫폼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다음 단계를 향한 자율주행, 비전 인스펙션, 지능형 영상분석(IVA)과 같은 GPU 가속 엣지 컴퓨팅을 위해 FP23에서 29.8 TFLOPS에 이르는 엄청난 GPU 파워를 제공한다. Nuvo-8034는 Intel 9th/8th-Gen Core i 프로세서와 워크스테이션 등급의 Intel C246 칩셋으로 구동되는 뛰어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한다. Nuvo-8034는 비교적 컴팩트한 크기에 7개의 확장 슬롯을 제공하는 새로운 종류의 Box PC다. PCIe 슬롯 중 2개는 CPU PEG 포트에 직접 연결되어 GPU와 고속 I/O 카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AP 코리아가 9월 2일 기업 경영진 및 ESG 담당자를 대상으로 ‘SAP 지속가능성 서밋’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선진국들은 기업의 ESG 의무 강화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최근 대규모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탄소 국경세 등이 담긴 패키지 ‘핏 포 55(Fit for 55%)’를 발표했다. 금융위원회가 2025년부터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정부가 탄소중립 등 외부요인에 따른 구조개편 기업을 위한 전용 금융 지원 프로그램도 신규 조성하며 국내 기업들도 ESG 중심의 사업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SAP 코리아는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높아지는 관심과 투자에 부응하고자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한 설계’를 주제로 ‘SAP 지속가능성 서밋’을 개최한다. SAP 지속가능성 서밋은 SAP가 지속가능 경영을 지원하는 자사 솔루션을 소개하기 위해 4월 발족한 ‘SAP Sustainability Summit’의 한국 행사로, SAP 코리아가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맞춰 행사를 구성했다. 특히 이번 SAP 지속가능성 서밋에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파수는 임픽스에 클라우드 기반의 외부 협업 플랫폼 ‘랩소디 에코 클라우드(Wrapsody eCo Cloud)’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파수는 랩소디 에코 클라우드를 통해 최근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업계가 외부 협업 과정에서 편의성과 보안성을 모두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픽스는 4차 산업 제조 기업으로 변화의 시기에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해 주목받고 있는 기업이다. 최근 전세계적인 팬더믹 상황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지능형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기존 반도체, 자동차 등의 대기업뿐 아니라 제약,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업계에서 이를 도입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 시스템 구축은 특성상 고객사 및 협력사에 제조 핵심 공정 데이터 문서를 공유하거나 협업을 통해 정부지원사업 제안서 등을 작성하는 일이 빈번하다. 고객사의 데이터 자산에 대한 보안 의식이 강화되면서 일정 수준의 보안환경 유지를 필수조건으로 요청받는 경우도 많아지면서 인공지능 데이터 인프라 구축에 있어 안전한 협업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임픽스는 협업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문서 보안을 유지하고, 다양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뷰노는 자사의 인공지능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의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등에서 수집한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의 4가지 활력 징후를 기반으로 심정지 발생 위험도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다. 해당 솔루션은 서울아산병원에서 진행한 임상시험을 비롯해, 세계 응급의학과 최상위 학술지로 꼽히는 Resuscitation을 포함해, 미국심장협회지, 세계중환자의학회지 등 다수 학술지에서 우수한 심정지 예측성능을 입증해왔다고 뷰노는 밝혔다. 이는 의료진이 환자의 심정지 발생 위험을 사전에 인지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혁신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9월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의료기기 6호로도 지정됐다. 일반병동은 중환자실에 비해 지속적인 환자감시가 어려워, 중증악화 환자 대응에 현실적인 한계가 지적돼왔다. 특히 75%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병원 내 심정지는 상급종합병원 기준 입원 1,000건당 5.17건이 발생해, 국내 입원환자 모니터링 체계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인공지능이 전자의무기록 등에서 자동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국민들의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반영하고자 8월 24일부터 9월 1일까지 ‘온라인 자유토론(jamming)’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에게 미래 유망 품목과 기술, 투자방향 등을 제시하기 위해 시장·기술 동향, 최신 기술개발 추세 등을 조사·분석해 매년 수립되고 있으며, 로드맵에 제시된 품목은 중기부 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연계 지원한다. 지난해부터는 기존에 기업인과 전문가만 참여했던 로드맵 수립과정에 미래기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실수요도 반영하고자 대중적 관심도가 높은 분야를 선정해 일반 국민들도 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자유토론의 장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온라인 자유토론을 실시했으며 총 625명이 참여하고 7,370개의 의견을 제시해 ‘인공지능(AI)기반 교육서비스’ 등 유망품목이 도출됐다. 이들 품목에 대해서는 2021년 중기부 기술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총 79억 원을 지원했다. 올해는 코로나 사태와 탄소중립 등의 추세를 반영해 국민들의 관심이 높고 실생활과 직결된 재난안전, 환경, 국민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플리토가 사단법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와 함께 국립국어원의 AI언어 데이터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 플리토는 국립국어원의 신남방·신북방 국가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언어문화산업 활성화 및 언어문화 교류를 위한 ‘2021년 한국어-외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 사업의 보조사업자로 참여한다. 사업비 규모는 총 37억 원으로, 플리토는 20억 원 규모의 데이터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언어 인공지능 개발 및 학습용 언어 데이터 구축을 주 사업으로 하는 플리토와 국가 주도 대규모 말뭉치 구축 참여 인력 및 관련 주제 연구 전문 인력을 다수 보유한 국제한국어교육학회의 이번 사업 참여는 고품질 말뭉치 구축에 큰 강점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이번 사업으로 학계와 산업계에서 필요한 교육용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신남방·신북방 지역과 연계되는 학업이나 사업을 하는 기관과 개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물들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터 사업 역량을 키워온 플리토는 국내외 인공지능 업체들과 협업해 언어에 특화된 빅데이터 사업을 진행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다년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같은 국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스마트 퀄리티 컨퍼런스 2021’가 오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와 함께 9월 9일(목) 코엑스 전시장 C홀 세미나룸에서 개최된다. 산업이 발전할수록 소비자의 수요는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자동차, 항공 우주, 전자, 에너지, 물류, 기계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소비자는 좀 더 정확하고 정교한 품질을 요구하고 있다. “복잡해지고 정교해지는 고객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품질 전략”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스마트 퀄리티 컨퍼런스 2021은 이런 소비자의 요구 사항에 맞는 품질 전략에 주목한다.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품질 관리를 위한 방법, 정교한 결과값을 얻어낼 수 있는 3D스캐닝 기술 등을 다루며, 전 산업에서 요구되는 품질 솔루션 구축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9월 9일 목요일 코엑스 전시장 C홀 세미나룸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오전 프로그램과 오후 프로그램으로 나눠 진행한다. 오전 프로그램에서는 ▲크레아폼의 김건아 부장이 디지털 트윈을 통한 스마트 퀄리티 실현 방안 ▲헥사곤 PCMM팀 문장희 차장이 전하는 통합된 제조 프로세스 기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품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제 3회 RFID/센서 기반 제조혁신 세미나’가 오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와 함께 9월 9일(목) 코엑스 전시장 D홀 세미나룸에서 개최된다. 산업혁신에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 데이터 수집이다. RFID/센서는 패션산업과 건설, 유통, 제조현장에서 현장의 업무혁신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현장의 설비에 부착된 바코드, RFID, 센서 등을 통해 양질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야 스마트공장 구현을 위한 준비가 마련되는 것이다.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RFID/센서 활용 가이드”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현장에서 활용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RFID와 센서의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 사례를 살펴본다. 이번 컨퍼런스는 9월 9일 목요일 코엑스 전시장 D홀 세미나룸에서 오후 1시 30분부터 5시까지 무료로 진행된다. 컨퍼런스 프로그램으로는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 박현 이사가 전하는 지브라의 RFID 시스템을 통한 주요 산업의 RFID 혁신사례 소개 ▲에일이언테크놀로지아시아 김낙현 과장의 기업 환경에 맞는 RFID 시스템과 RFID태그 활용 가이드 ▲버텍스아이디의 AI 딥러닝을 이용한 생산공정 관리시스
헬로티 함수미 기자 네이버 D2SF가 자동화 로봇·반려동물 행동 분석 솔루션 스타트업 두 곳에 신규 투자했다. 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물류 창고 내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로봇 솔루션을 개발 중인 ‘플로틱’, 반려동물 행동 분석 솔루션을 개발 중인 ‘펫페오톡’이다. 이들 두 팀은 모두 재학 중 창업해 빠르게 기술을 고도화 중이며, 이번 투자를 통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플로틱은 물류 창고 내 이동을 자동화하는 로봇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주문 처리부터 물건 발송에 걸리는 시간의 60%가 창고 내 물류 이동에 소요되는 만큼, 이를 자동화했을 때 비용 및 시간 절감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플로틱은 물류 창고의 설계 및 구조 변경 없이도 도입 가능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어, 도입 가치는 한층 더 클 것으로 전망한다. 올 하반기 중 1차 시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플로틱 공동창업진은 기계공학·로봇공학을 전공한 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인턴 출신이다. 인턴십 기간 동안 성장 잠재력과 추진력을 입증한 바 있다. 특히 이찬 플로틱 대표는 배달의민족, 트위니 등에서 물류 로보틱스 산업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이해를 쌓아왔다. 이번 투자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셀바스 AI가 AI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스(Selvy MediVoice)’ 클라우드 서비스 사이트를 새롭게 오픈했다고 밝혔다. 셀비 메디보이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초기 서비스 도입 비용 부담 없이 하나의 라이선스로 모든 기능을 의료진당 월정액으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셀비 메디보이스 사용으로 의무기록 입력 속도와 정확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EMR, PACS 등 병원 시스템에 자동 저장되어 업무 효율은 개선, 수정작업은 간소화되는 등 시간 단축을 시켜준다. 또한 간편한 방법으로 병원 데이터를 보관 및 백업할 수 있으며, 병원 인프라가 변경되더라도 시스템 재구축 및 DB 이관 등의 과정이 필요 없다. ‘셀비 메디보이스’는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 엔진을 탑재한 국내 최초 AI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이다.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소화기내과 등 분과별 의학용어를 학습해 98% 이상의 높은 인식 성능을 자랑한다. AI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스’를 통해 의료진들은 엑스레이, MRI, CT, PET-CT와 같은 다양한 의료 영상 판독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음성인식, 자동 텍스트 변환, 의무기록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