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세미(onsemi)가 실리콘 카바이드 생산업체 GT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스(이하 GTAT)를 4억1천5백만달러(약 4천853억원)에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994년 설립된 GTAT는 SiC 결정성장 기술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SiC 전력 스위칭 소자에 기술적 이점을 제공하는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SiC는 전기차 및 전기차 충전, 에너지 인프라의 시스템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온세미는 SiC의 원활한 공급과 성장을 위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전기차 및 전기차 충전, 에너지 인프라를 아울러 지속 가능한 생태계와 관련해 빠르게 증가하는 SiC 기반 솔루션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온세미는 자사의 제조 역량과 GTAT의 기술력을 결합해 SiC 기술 개발 가속화와 더불어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장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온세미는 강화된 SiC 생산능력을 통해 핵심 부품 공급을 보장하고 지능형 전력 기술을 더욱 폭넓게 상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싼 알커리(Hassane El-Khoury) 온세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의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약칭 :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에 따라 내년부터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설치 대상과 비율이 확대된다. 입법예고 기간 동안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입법예고 이후 규제심사, 법제처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내년 1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주거지·생활환경 중심으로 전기차충전기 확산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기차충전시설 의무설치 대상을 확대한다. 아파트는 500세대 이상에서 1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공중이용시설·공영주차장은 총주차면수 100면 이상에서 50면 이상으로 한다. 또한, 설치해야하는 충전시설의 수는 법 시행일(’22.1.28)이후에 건축허가를 받은 신축시설은 총주차면수의 5%(현행 0.5%), 법 시행일 이전에 건축허가를 받은 기축시설은 2%(신설)로 강화했다.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비율은 전기차보급목표와 동등수준으로 설정해 전기차사용자의 충전편의 개선과 충전시설 의무설치 대상자의 부담을 모두 고려했다. 기축시설은 공공시설, 공중이용시설, 아파트 등 대상시설별로 전기차충전시설 설치기한을 정하여, 충전기설치를 위한 준비기간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VMware가 2022년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VMware의 2022년 회계연도 2분기 총 매출은 31억 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이 중 구독형(서브스크립션) 및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이하 SaaS) 매출은 7억 7천 6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했다. 영업 이익은 5억 2천 5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다고 밝혔다. 라구 라구람(Raghu Raghuram) VMware CEO는 “고객들은 ‘클라우드 퍼스트’에서 워크로드에 적합한 클라우드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고 멀티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는 ‘클라우드 스마트’로 전략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덧붙여 “우리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멀티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여 고객이 현재와 미래에 비즈니스를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혁신과 엔터프라이즈 제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인 로위(Zane Rowe) VMware 수석 부사장 겸 최고 재무 책임자(CFO)는 “구독형 및 SaaS 연간 반복 매출이 전년 대비 26% 증가한 32억 달러라는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뒀다”고 “2분기 실적은 엔드유저 컴퓨팅을 비롯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트라(KOTRA)는 26일 ‘해외 탄소시장 진출 가이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 사업 발굴을 통한 글로벌 탄소중립 선도와 저탄소 경제 시대에 우리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다. 최근 탄소중립이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기후 위기 극복과 녹색 성장에 있어 기업 차원에서도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번 ‘해외 탄소시장 진출 가이드’가 우리 기업들이 탄소중립 이슈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보고서에는 파리 기후변화협정 체제에서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필요성과 제도 ▲주요국과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사업 현황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방안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온실가스 감축 관련 21개 유망국가의 관련 제도, 절차, 법령 정보도 실었다. 김상묵 KOTRA 혁신성장본부장은 “탄소중립은 새로운 국제질서로, 우리 기업의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KOTRA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이 세계 최고 성능의 나노박막 전극을 개발했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 현택환 단장이 세계 최고 성능의 나노박막 전극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수상 정렬 방법’이라는 새로운 개발 방법을 통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높은 전도성, 나노 두께, 우수한 신축성 등을 모두 지닌 고성능 나노박막 전극을 제조할 수 있게 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고성능 나노박막 전극은 금속만큼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머리카락 두께 1/300 수준(250nm)으로 얇고, 높은 신축성을 지녀 피부 부착형 착용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핵심 부품으로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피부 부착형 착용기기는 기계적 물성이 피부의 물성과 비슷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핵심 부품인 전극은 우수한 신축성, 높은 전기 전도성, 얇은 두께는 물론 고해상도 패터닝도 가능해야 한다. 우수한 신축성과 고전도성, 얇은 두께 등을 모두 만족하는 전극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로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로 개발된 ‘수상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노바인스트루먼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노바인스트루먼트(대표 이병덕)는 SF+AW 2021에서 노점측정기, 압력 센서, 데이터로거를 선보인다. 노바인스트루먼트는 독일의 CS-Instruments, Halstrup Walcher, 미국의 SBIR, 그 외 Time Electronics, AOIP, Aralab, Termex 등 다양한 해외 제조사들의 제품을 총판 공급하고 있다. 독일 CS-instruments 사에서는 다양한 센서 및 측정기를 이용하여 노점을 측정하는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전시회에 선보이는 노점측정기는 최대 -80℃td까지 측정 가능하다. FA500, FA510, FA515 등 노점센서는 측정 된 노점값을 4-20mA 아날로그 출력값 또는 디지털 신호로 전달한다. DP400, DP500 등 휴대용 노점측정기는 현장에서 측정 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며 Software를 통해 측정 값을 컴퓨터로 전송하여 관리 할 수 있다. Halstrup
헬로티 함수미 기자 | ESG 리스크 관리 세계 1등 기업의 비결은 전략·리스크·핵심이슈를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는지에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5일 ‘업종별 ESG 리스크 관리 1위 기업 사례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경련은 글로벌 리스크 관리 1위 기업들의 특징으로 ▲리스크 정의 ▲중요이슈 관리 ▲평가·이니셔티브 활용 ▲조직설계 ▲목표 구체화 등을 꼽았다. ① 리스크 정의 : 리스크 분야를 구체적으로 정의·체계적 관리 통해 충격 완화 세계 최대의 차량용 캐리어 전문 제작사인 툴레는 ESG 리스크를 ▲산업·시장 ▲지속가능성 ▲오퍼레이션 ▲재무적 리스크 등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한 관리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있다. 각 분야의 리스크 사항을 발굴하고 발생 가능성과 발생 시 충격수준을 상·중·하로 나누어 사전에 분석하고 대비한다. 반도체 노광장비 분야의 세계적 기업 ASML(네덜란드)도 ESG 리스크 관리에 강점을 보였다. 리스크 분야를 ▲전략·제품 ▲재무·보고 ▲파트너 ▲인적자원 ▲운영 ▲법·컴플라이언스의 6개 분야로 구분하고 분야마다 세부영역을 나눠 회사의 발생 가능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다. ATM, 전자상거래 서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이지피넷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아이지피넷(대표 차의창)은 SF+AW 2021에서 3D 데이터 활용 플랫폼과 5축 고효율·고정도 자동CAM, 프레스금형 하이브리드 설계시스템을 선보인다. ASFALIS/CADdoctor 및 Elysium 제품군을 통합한 3DxSUITE(3D스위트)는 3D 모델링 최적화 통합 플랫폼이다. 3D스위트는 차원 데이터의 변환, 검증, 수정, 비교, 간략화 등의 디지털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데이터의 최적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기획, 설계, 제조, 판매 등에 이르는 모든 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다양한 CAD/CAM/CAE 및 3D 툴이 사용되어 3D 데이터의 변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3D스위트는 3D 최적화 데이터의 품질을 제공한다. 정밀 3축 & 5축 가공하는 CAM-TOOL은 AM-TOOL ES로 모니터링을 통한 CAM 자동화 모듈 5축까지 대응한다. 또한 고경면 가공을 위한 고정도 연산 엔진 보유, 중대형 금형을 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안톤파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안톤파코리아(대표 모호열)은 SF+AW 2021에서 레오미터 자동화 장비, 자동 음료 분석기, 밀도 및 음속 센서를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HTR 자동화 시리즈는 안톤파(Anton Paar)의 MCR 702 레오미터를 기반으로 하는 유변학적 조사에 최적화된 분석 워크플로를 제공한다. 광범위한 기능 집합과 유연한 내장 기능을 갖추어 정교한 고처리량 R&D 또는 QC 작업에 이상적이다. Anton Paar는 생산 라인에 최종 포장 음료에 대한 완전 자동화 품질 관리 실험실을 가져와 맥주, 청량음료, 와인의 모든 주요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자동 음료 분석기 Alab 5000은 지속적으로 기준 측정을 수행해 제품이 규격 내에 있고 해당 산업과 관련된 모든 규정을 충족할 수 있도록 보장하므로 편차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다. 밀도 및 음속 센서 L-Com 5500은 3성분 혼합물 측정을 위한 단일 기기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에버정보기술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코에버정보기술(대표 반기동)은 SF+AW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 제조 IT 솔루션, 제조 AI 솔루션을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스마트팩토리, 제조 IT 솔루션 CoFAS(Coever Automation System)은 제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중소기업 맞춤형 솔루션이다. 전체 제조-생산과정을 IoT 등의 ICT 기술로 통합해 자동화와 디지털화를 구현해 생산현장 보이는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이다. 솔루션의 CoMES은 생산성, 가동률, 품질, 작업자 능률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하는 스마트공장 생산 현장 관리 시스템이고, CoDPS은 다양한 제조 현장, 설비의 실시간 데이터 취득하는 Interface 시스템, CoEMS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용과 배분을 통해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제 대응을 위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다. 제조 AI 솔루션 CoMAP(Coeve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더블유캐드코리아(대표 최종복)는 SF+AW 2021에서 설계 소프트웨어 ZWCAD와 ZW3D를 선보인다. ZWCAD는 전 세계 90만 유저가 사용하는 캐드 응용소프트웨어다. 한번 구매 시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영구버전 CAD 설계소프트웨어로 안정성과 호환성이 높으며 다양한 3rd-party를 지원한다. ZW3D는 CAD와 CAM을 동시에 제공하는 ALL-IN-ONE 솔루션이다. ZW3D는 CAD/CAM 통합 환경으로 빠른 속도의 솔리드-서피스(곡면) 설계를 동시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델링을 통해 원하는 형상을 3D 모델로 구현할 수 있다. 설계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지더블유 코리아는 국내 기업들이 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인 캐드(설계)를 성능은 동일하되 합리적인 가격과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주식회사 트론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트론(대표 김진성)은 SF+AW 2021에서 전원공급/변환 장치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ESTQ 제품은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장치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해 부가 기능으로 Mitsubishi PLC와 Ethernet으로 연결해 Mitsubishi PLC용 MC Protocol 3E를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존 자사 ETC STRS422 제품이 RS422 통신을 적용한 데 비해 본 제품은 Ethetnet 통신으로 PLC에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 갱신을 보다 자주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배가했다고 밝혔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이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네이버가 성균관대학교와 AI 기반 학술정보 통합플랫폼 ‘Scholytics(이하 스칼리틱스) 2.0’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2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학교는 최근 4단계 두뇌한국 사업에서 사립대 중 가장 많은 교육연구단(팀)을 배출하는 등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풍부한 학술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논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는 성균관대의 학술정보 분석 역량을 반영해 설계한 AI를 기반으로,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각자 보유한 학술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학술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와 성균관대는 ▲AI를 활용한 연구자 식별 기능 강화 ▲연구자를 위한 맞춤형 추천 및 연구 프로필 자동작성 기능 지원 ▲딥러닝을 통한 연구 토픽 및 트렌드 정보 제공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AI 기반 연구자 식별 시스템은 스칼리틱스 2.0의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과학 연구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논문 저자 신원 파악과 연구자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네이버는 스칼리틱스 2.0에서 AI를 활용해 더욱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K C&C는 25일,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에 ‘20년 정보보호 자율 공시’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SK C&C는 IT서비스 업계 최초로 정보보호 자율 공시를 진행하며 ESG 경영 선도기업으로서 빠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정보보호 공시는 정보보호산업진흥법에 따라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소비자, 고객, 국민, 주주, 기업관계자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해 기업 정보보호 책임 및 신뢰도를 높여주는 자율 공시 제도로 내년부터 의무화된다. SK C&C는 그룹 ESG 경영 본격화에 따라 ESG 핵심 관리지표에 ‘정보보안’을 추가하면서 의무화 전에 자율적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등록했다. 공시에 따르면 SK C&C는 ‘20년 12월 기준 전체 정보기술부문 총 투자액 2천억 원 중 5.5%를 차지하는 약 108억 원을 정보보호부문에 투자했다. 정보보호 전담 인력은 40명으로 전체 정보기술부분 인력(772명)의 5.1%에 달한다. 정보보호 관련 ISMS, ‘ISO/IEC27001:2013’ 인증과 작년 7월 데이터센터 정보통신 기반 시설 보호수준 평가부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해 정보보호 관리 수준을 인정받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 CNS가 26일 ‘뉴 노멀 시대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다. 웨비나는 이달 초 오픈한 메타버스 고객 접점 공간 ‘LG CNS 타운’에서 진행됐다. 고객들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자신의 가상 아바타를 생성해 웨비나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웨비나가 종료된 이후에도 LG CNS 홈페이지 내 LG CNS 타운 메뉴로 접속해 누구나 웨비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기존 방식인 웹사이트 채널을 통해서도 웨비나를 진행했다. 웨비나 주제인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는 고객의 요구사항과 시장 트렌드를 짧은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즉각 비즈니스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게 만드는 구축 기술이다. 애플리케이션이란 기업의 회계시스템, 스마트폰 앱, 쇼핑몰 사이트, AI챗봇 고객센터 등 실제 고객들이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에는 5~10년 주기로 시스템 전체를 새로 구축하는 ‘차세대 방식’이 대세였다. 차세대 방식은 뉴 노멀 시대에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기에는 유연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웨비나에는 LG CNS 현신균 부사장을 비롯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분야 전문가들과, IDC Korea 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