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글래스돔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글래스돔코리아(대표 김대웅)는 SF+AW 2021에서 생산공정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클라우드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 솔루션은 PLC 데이터를 별도의 IT 인프라 구축 없이 실시간 수집 및 축적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스마트 무선센서로, 무선 및 배터리 기반의 산업용 센서 모듈이다. 또한 기존 MES 데이터를 수집해 설비데이터와 함께 AI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드웨어부터 AI 기반 소프트웨어까지 포함하는 예지보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불량률 최소화 및 생산라인 스피드를 극대화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이다. 글래스돔코리아는 2019년 10월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 된 회사다. 2020년 11월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글래스돔은 산업현장 특히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데이터 인프라를 만들고 있다. 이를 위해 하드웨어에서부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소프트웨어까지 기술을 만들고 있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위고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위고코리아(대표 박세일)는 SF+AW 2021에서 다양한 분야의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인다. 자율주행 교육용 플랫폼 WeCAR 2.0는 ROS 기반으로 연구&교육 진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플랫폼이다. 주로 자율주행 인력양성 사업으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 교재 및 자율주행 관련 커리큘럼도 함께 제공되고 있어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자율주행 연구 및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컴팩트한 사이즈로 실내 TEST에 적합하다.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SW도 함께 적용할수 있기에 활용도가 높다고 평가된다. 물류 연구 및 교육 로봇 WeGo-ST MINI는 WeGo-ST의 작은 사이즈로 4륜 차동 구동, 독립 서스펜션이 가능하며, 최고 속도는 10km/h이며, 자율 주행 연구 및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저가형 UGV 플랫폼이다. RS-232 통신이 가능하며,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 작업이 가능한 자율 주행 연구개발 플랫폼이다. E-ST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과 업무 방식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KETI는 ICT융합 분야 기술 개발을 통해 기업 협력을 확대하는 국내 핵심 연구기관이다. KTNET은 국가 전자무역 기반 사업자로 전자무역·공인전자문서센터·전자수입인지·공동인증서 등 국내 전자문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ETI와 KTNET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종이서류 없는 디지털 기업환경 조성과 탄소중립 방안 마련에 합의했다. 양 기관은 양해각서를 통해 ▲문서 처리 보관의 디지털 전환 ▲전자계약 활용 확산 ▲디지털 증명서 발급·유통 확산 ▲첨단 기술형 차세대 인증·보안 사업 등에 관해 협력함으로써 업무 방식의 디지털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신뢰스캔 시스템 도입으로 KETI 보유 종이 문서의 페이퍼리스(Paperless)를 구현하고, 전자계약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그동안 대면·수기 형식 위주였던 계약 업무의 자동화를 추진한다. 또 업무 현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그동안 서면으로 발급하던 증명서 대신 디지털 증명서를 발급하여 유통 확산에 협력하고, 블록체인과 양자 암호화 등 첨단 기술 기반의 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K텔레콤은 우리말 인공지능 언어 모델의 개발 역량 향상과 국어 정보화 저변 확대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과 함께 ‘인공지능 언어 능력 평가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회는 9월 1일 오후 SKT의 기본 AI 언어 모델과 국립국어원의 평가 데이터 세트 공개와 함께 시작되며, 참가자들은 15일부터 11월 1일까지 결과물을 수시로 업데이트해 제출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개인 또는 팀으로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팀 가운데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금상 ▲은상 ▲동상 ▲특별상을 선정할 계획이며, 수상자 모두에게는 매년 SKT가 개최하는 AI Fellowship의 서류 심사 면제 특권도 제공할 계획이다. 참가자들은 제공된 언어 모델 등을 바탕으로 각각의 AI 언어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해 우리말을 이해·분석하는 능력을 평가받는다. 자세한 행사 내용은 국립국어원 모두의 말뭉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출된 언어 모델을 평가하는 과제는 4가지로 ▲문장의 문법 오류 판단하기(문장 적법성 판단) ▲맥락별 단어 의미 구별하기(동형이의어 구별) ▲문장 읽고 원인 추론하기(인과 관계 추론) ▲제시문 읽고 질문에 예·아니오 답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화학이 바이오디젤 전문기업 단석산업과 손잡고 합작공장 설립에 나선다. 친환경 제품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 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LG화학은 단석산업과 2일 ‘HVO (Hydro-treated Vegetable Oil)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양사는 내년 1분기에 본 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생산공장 완공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 HVO (수소화식물성오일) 공장이 건설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공장은 최근 LG화학이 발표한 대산사업장 10개의 신설 공장 중 하나다. HVO는 폐식용유, 팜부산물 등의 식물성 원료를 수첨반응 시켜 생산하는 차세대 바이오 오일이다.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특성이 뛰어나 차량용뿐만 아니라 항공유 및 석유화학 원료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용 바이오디젤이 1세대라면, HVO는 기술적으로 진일보된 2세대 바이오 연료다. 특히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친환경 항공유·디젤 사용 의무화 등에 따라 HVO의 세계 시장 수요는 2020년 600만 톤 규모에서 2025년 3000만 톤 규모로 연평균 40% 이상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협력은 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딥브레인AI는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력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으며 총 5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금번 시리즈 B 투자 라운드에는 KDB산업은행, IMM인베스트먼트, 엔베스터, 노앤파트너스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인 포스코기술투자, L&S벤처투자, 산은캐피탈도 참여했으며, 그 외에도 구주가 일부 포함됐다. 딥브레인AI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약 2,000억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딥브레인AI는 딥러닝 기반 영상 합성, 음성 합성 원천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인공지능에 대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명실공히 AI 업계 리딩 컴퍼니로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딥브레인AI는 최근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가상 인간을 만들어내는 AI 휴먼 솔루션을 선보이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투자 역시 AI 휴먼 기술을 활용해 AI은행원, AI튜터, AI아나운서, AI커머스 등을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며 여러 분야에서 기업의 시장성과 기술 혁신성을 증명했고, 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데이터로직은 1일 물류 산업에서 비정형화된 모양 및 대형 사이즈의 객체에 효율적인 자동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MFDS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MFDS(MassFlowDetectionSystem)는 데이터로직의 제품과 스마트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턴키 솔루션이다. MFDS는 D4 개념을 도입해 4개의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한다. 데이터로직은 이를 도입한 물류산업의 고객은 프로세스 효율성과 수익성 개선을 경험할 수 있다고 전했다. MFDS의 D4 개념 중 첫 번째는 물체 ‘감지’다. 대형 컨베이어(최대 폭 1.5m)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감지한다. 서로 맞닿아 있거나 나란히 있는 객체들도 감지하면서 이력관리 프로세스의 수익성, 효율성, 신뢰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두 번째, ‘치수 측정’이다. 규칙적·비 정형화된 모양을 띤 객체의 치수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거래량 측정 법률 기준에 근거해 객체의 치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데이터로 가격 책정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평균적으로 1년에 약 150,000$ 비용 절감 효과가 예측된다. 향상된 3D 분석 기능을 가진 DM3610 LFT 측정 시스템으로 비정형화된 형태의 서로 맞닿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임시스템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에임시스템(대표 박의수)는 SF+AW 2021에서 자동화 솔루션 에임스마트코어를 선보인다. 에임스마트코어(AimSmartCore)는 일반제조의 다양한 업종에 적용가능한 MES기반의 공장자동화 솔루션이다. Web 및 최신 Mobile환경을 지원하는 최신기술을 적용해 개발된 제품이다. 또한, 하이테크의 자동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규 업종에 구축이 용이한 Flexible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다. 첨단소재, 전자조립, PCB, 소재화학, 반도체가공 등의 업종에 즉시 적용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에임시스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및 일반 중소 규모 제조 공장을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1996년 설립이후 외산에 의존하던 공장자동화 시장을 국산화하며 삼성, LG, SK hynix등 세계 최고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을 확보하였으며, 중국의 디스플레이, 반도체 업체에 진출하여 시장점유율 90%를 달성하여, 글로벌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뉴로메카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뉴로메카(대표 박종훈)는 SF+AW 2021에서 산업용 로봇과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전시한다. Indy(인디)는 뉴로메카가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협동로봇이다. 혁신적인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협동로봇 Indy(인디)는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더 직관적인 직접 교시(Direct Teaching)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태블릿 기반의 티치펜던트 앱을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가반중량별로 'Indy3/5/7/10/12' (각 3kg, 5kg, 7kg, 10kg, 12kg) 5가지 모델과 7자유도 연구용 협동로봇 'Indy-RP2'를 양산하고 있으며, 손목에 부착된 확장포트를 통해 그리퍼, 비전센서 등 다양한 표준 도구들을 확장할 수 있다. 뉴로메카의 ‘D’는 진동억제 설계에 기반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속 고정밀 4축 델타로봇이다. 하중 및 작업반경에 따라 현재 2종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사이로직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사이로직(대표 이태휘)은 SF+AW 2021에서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 인라인 전달오차 측정시스템, 포터블 진동 모니터링 측정시스템(PDSA)을 선보인다.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 이니시스(iNisys–inline NVH inspection system)는 주파수분석(Frequency Analysis)과 오더분석(Order Analysis)을 기본으로 한 회전체 진동 분석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엔진, 모터 등의 충격성 진동신호 검사와 변속기, 리어 액슬, 프론트 액슬, 유압펌프, 토크 컨버터, 토크 트랜스퍼 등의 기어 박스(Gearbox)류의 소음, 진동 품질 검사하는데 유용하다. 이니시스는 Rms, Peak, Crest Factor, Kurtosis 등의 시간영역분석과, Harmonic, Sideband, Harmonic Sum, Curve 등의 주파수영역 분석을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속도에 대한 Order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케이피씨전자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케이피씨전자(대표 조득래)는 SF+AW 2021에서 무인지게운반차를 전시한다. SLAM 기술을 이용한 FORKLIFT TYPE의 자율주행 물류로봇은 최대속도는 2.0M/sec이며 정지 정밀도는 10mm이다. Safety에서는 Area LiDAR 4ea 외 자동 도킹 위치 보정 기능, 자동충전 기능, 사용자 정의 관제기능, 외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기능 등이 있다. 주로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현장, 컨베이어 시스템 대처, 고중량 물류, 고위험 물류, 복잡한 물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다. 주행 및 도킹 시, 위치 오차는 10mm 이내다. ACS(AGV Control System)는 실시간 관제 시스템이다. Interface는 Modbus TCP/IP, HTTP/REST이며, FORMAT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사용한다. 케이피씨전자는 2011년 12월에 설립된 전자제어분야의 연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KSTEC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KSTEC(대표 이승도)은 SF+AW 2021에서 싱크플랜 APS, RPA, 데이터이쿠 DSS를 선보인다. 싱크플랜 APS은 제조산업을 위한 생산계획 및 스케줄링 솔루션이다. 중소·중견기업 뿐 아니라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적은 인력으로 원활히 운영이 가능한 생산계획 체계, 엑셀 관리 단점을 보완한 직관적인 UI (User Interface), 향후 시스템 통합을 위한 개방형 아키텍쳐를 제공한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AA) RPA는 인간에 의해 이뤄지는 Do/ Think/ Analyze 작업을 대체하여 주는 자동화 솔루션이다. Data capture, Data enrichment, Data Validation, Process, Reconcile, Analyze & Report 에 이르는 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IBM RPA는 완전한 기능의 AI 기반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성우스마트랩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성우스마트랩(대표 이문용)은 SF+AW 2021에서 산업용 2D 라이다 센서 및 자동차용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선보인다. 산업용 2D 레이저스캐너(LiDAR)은 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송수신 장애물 감지 스캐너다. 로봇, AGV(LGV) 및 전동 지게차등에 설치하여 장비의 작업영역내 장애물 감지 안전, 보안 및 물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고해상도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열에너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 빛이 전혀 없는 야간이나 기상악조건에서도 사물 및 주변인식 가능한 센서로 살아있는 생명체 감지에 우수하다. 산업안전센서, 스마트시티, 의료기기, 자동차 나이트비전/자율주행용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성우스마트랩은 글로벌 자동차 부품회사 성우하이텍의 출자로 설립된 벤처 기업이다. 향후 자율주행 시대 및 4차 산업혁명인 스마트팩토리 시대에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인스턴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인스턴(대표 국연호)은 SF+AW 2021에서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솔루션을 선보인다.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로터리 타입의 컴팩트한 디자인은 최소한의 면적을 이용해 최대한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소형 다품종 부품 적재에 유리하게 제작됐다. 선반은 최단 경로를 통해 위아래로 회전하며, 인체공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작업대를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부품의 빠른 입출고가 가능하다. 각 장치는 전체 소프트웨어 및 제어 장치와 호환되며 메뉴얼 모드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Smart Factory와 연계해 부품의 재고와 입고 및 출고를 담당하고, BAR CODE 및 QR CODE를 적용해 MES, ERP SYSTEM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엘리베이터 타입은 산업 전반적 창고에 적합한 방식으로 다양한 크기와 하중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팔레트 적재 높이를 설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제품을 보관하고 지지하는 적재 팔레트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대표 최준호)는 SF+AW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 IoT 디바이스 및 센서 검증을 위한 범용 계측 장비를 선보인다. 키사이트 8채널 EXR 오실로스코프는 특정한 시간 간격(대역)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며,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하나의 디지털 신호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특정 프로브와 함께 사용하면 전류 측정과 주파수 측 분석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토콜 분석과 보드 플롯 기능을 통해 스마트 공장을 이루는 센서 또는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 검증을 수행한다. 키사이트 B2900 시리즈 정밀 소스 측정 장치(SMU)는 경제적인 가격으로 뛰어난 성능과 유용성을 제공한다. 이런 소형 벤치탑 SMU를 사용하면 높은 분해능과 정확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I-V(전류 vs 전압) 측정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키사이트 B2900 시리즈 SMU는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