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엠아이큐브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스마트 팩토리 및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지난 2005년 회사 설립 이래 삼성전기, 삼성SDI, SK하이닉스, CJ제일제당, 한국항공우주산업, 현대건설, 현대제철, 조선내화 등 다양한 고객사 시스템 구축, 고도화 및 운영 경험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전자, 반도체, 식품, 제철, 항공우주 등 제조 업종의 생산 활동 전반에 대한 정보 제공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MES 중심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컨설팅부터 운영 서비스까지 포괄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설비 효율 관리 시스템인 EES(Equipment Engineering System) 솔루션에 AI 엔진을 탑재하여 실시간 제조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신개념의 제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과 설비 예지보전 및 공정 품질 개선을 위한 AI 개발/운영 플랫폼을 소개해 관람객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한국렌탈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엡손 사의 컨트롤러 내장형 스카라 로봇 T 시리즈 선보였다. 한국렌탈은 렌탈 업계 최초 협동로봇 및 산업용 로봇 등 로봇과 렌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SI 기술력과 렌탈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현장에 성공적인 공장 자동화를 지원하며, 다품종 복합 제품을 성공적인 생산 도입을 위해 중소기업형 렌탈 서비스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엡손 사의 스카라 로봇 'T3-401S'와 ‘T6-602DS'는 컨트롤러와 M/C 케이블이 로봇 본체에 내장되어 있어서 공간 절약이 가능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타 기종 대비 더욱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AC100V에서 240V까지 폭넓은 입력 전압에 대응하기 때문에 저전력 환경에서도 로봇 구동이 가능하다. 엡손 자체 테스트 결과, 동일 페이로드 기준 기존 로봇 대비 70% 가량 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도 가능해진다. 그 외 배터리 리스 모터 채용으로 유지보수도 간소화했다. 배터리 리스 모터 유닛이 적용되어, 평균 1.5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녹산A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난반사를 이용한 비전검사 시스템 ‘NsEasyChecdker SWP-1000EX'를 공개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NsEasyChecdker SWP-1000EX는 인공지능 검사 프로그램 DAVA를 탑재한 검사 장치이다. NSEasyChecker SWP-1000EX의 가장 큰 장점은 사람이 보는 것과 같은 다양한 시야각을 구현해주는 2축의 Swing Plate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검사기구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추어 타사보다 저렴하게 기구 장치를 만들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중 하나이다. 보통 Swing Plate(업계에선 Roll & Pitch로 불림)를 구현하려면 최소 4축에서 6축을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녹산AI는 2축로 심플하게 구현해 검사기구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했다. 또 하나의 큰 장점은 난반사를 이용하여 외형 검사를 실시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비전검사기는 빛반사, 난반사가 심한 제품은 검사가 까다롭고 어려워 검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NSEasyChecker SWP-1000EX는 인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케이씨아이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2세대 HMD 증강현실 디바이스 ‘HoloLens2’를 선보였다. 케이씨아이엠은 1990년 창립 이래 건설, 제조,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 산업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 최적화 툴과 BIM 솔루션 연구개발을 통한 시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HoloLens2는 물리적 공간 및 물체와 홀로그램 이미지를 결합하여 상호작용하며, VR과 AR의 한계를 벗어난 Mixed Reality(혼합현실)을 사용하여 제조, 건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다이얼 인 핏(dial-in fit)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작업을 전환할 때가 되면 바이저를 위로 올려 혼합 현실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ISO 클래스 6부터 ISO 클래스 8까지 다양한 표준으로 클린룸 환경을 지원하도록 설계, 구축 및 테스트 된 HoloLens2 Industrial Edition은 UL Class 1, Dedvision 2 인증을 받았으며 2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야마하 모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30년 업력의 독자 기술이 응집된 로봇 라인업을 대거 선보였다. 야마하 모터는 30년 전부터 자사 바이크 생산라인에 로봇 도입을 계기로 개발을 시작, 그 후 전자 제품의 조립, 차량용 부품의 운반, 대형 액정패널의 제조 등 다양한 업종의 생산 설비를 지원해 왔다. 또한, 정밀하며 고속 동작이 요구되는 모터제어 기술, 엄격한 평가 기준에 근거한 기구-컨트롤러 개발 기술, 혹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신호처리 기술은 사업 발족 당초부터 쌓아올린 독자 기술을 숙성시키고 단련하여 강성, 내구성, 조작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은 △모터가 없는 단축 액추에이터 ‘Robonitdy 시리즈’, △스텝 모터 단축 로봇 ‘TRANSERVO 시리즈’, △단축 로봇 ‘FLIP-X 시리즈’, △리니어 모터 단축 로봇 ‘PHASER 시리즈’, △스카라 로봇 ‘YK-X 시리즈’, 그 외 클린 로봇, 컨트롤러, 로봇 비전 등이다. 특히, 신제품 리니어 컨베이어 모듈 ‘LCMR 200'은 속도 및 가속도를 동작별로 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트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초정밀 인코더와 인코더 전용 IC에 대한 차별화된 제품들을 집중 소개했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인코더와 iC-Haus사 등 인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이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인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mbridgeIC 등에 대한 솔루션도 제공하며, 자체적으로 신호 보상, 인터폴레이션, 시리얼 통신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물류 시스템에 관한 신호 변환기 등을 자체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트론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엔코더 ‘iC-PZ 시리즈’는 듀얼 트랙 방식(인크리멘탈+절대위치)과 리니어 및 로터리를 적용했다. 또한 BiSS & Analog 신호 출력 기능과 고성능 Blue LED를 적용했으며 소형 박형 서모모터와 단거리 초소형 리니어 인코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8bit~24bit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뉴로메카는 지난 8일 협동로봇용 안전지능 개발 기업 세이프틱스와 ‘협동로봇 안전을 위한 PFL(Power & Force Limiting) 방식 안전 기능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와 신헌섭 세이프틱스 대표가 참석했다. 세이프틱스는 로봇의 구조 및 역학 정보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해 충돌 실험 없이도 힘과 압력을 예측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증하는 것은 물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모션제어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뉴로메카의 협동로봇 ‘인디(Indy)’ 시리즈에 세이프틱스의 PFL을 위한 CRI 연산, 모니터링 및 모션제어 솔루션이 완전히 통합될 수 있도록 공동 개발한다. 이성우 뉴로메카 IMC 팀장은 “작업자와 같은 공간에서 함께 작업하는 협동로봇의 특성상, 사용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세이프틱스는 뉴로메카 협동로봇의 안전기능 고도화를 위한 최고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뉴로메카는 지난달 140억 원 규모의 시리즈 D 투자를 유치했다. DSC인베스트먼트, 원자산운용, 더웰스인베스트먼트,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이수창업투자 등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씨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다양한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선보였다.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씨크는 산업용 센서시스템 전문회사로서, 광전센서, 레이저센서, 근접센서, 엔코더, 안전센서, 바코드스캐너, 머신비전 등의 종합적인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국내 유수의 자동화 관련 업체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자동화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콘트라스트 센서 ‘KTS/KTX’ 제품은 고정밀 RGB-LED와 내구성이 강한 VISTAL 하우징을 갖추고 있으며, Twin-Eye Technology와 컬러 모드, 높은 스위칭 프리퀀시, 높은 수준의 무채색 스케일 분해능, 7세그먼트 표시기와 IO-Link 통신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반응 시간이 짧아 속도가 빠른 공정에서도 콘트라스트의 위치와 차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어 커미셔닝 시 유연성과 공정 안정성이 높아진다. IO-Link를 통한 진단 및 분석 등의 데이터도 제공한다. 씨크의 새로운 광전센서 ‘W4F’는 콤팩트한 디자인과 전문적인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뉴로메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협동로봇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제조기업으로 협동로봇, 델타로봇, 로봇제어기를 제조하고 자동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류제어 기반의 액추에이터와 고속 실시간 임피던스제어 기반의 협동로봇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했고, 이더캣(EtherCAT) 임베디드 로봇제어기 기반의 협동로봇 ‘인디(Indy)’를 제조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새롭게 선보인 ‘인디(Indy)’는 뉴로메카가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협동로봇이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혁신적인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협동로봇 Indy(인디)는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더 직관적인 직접 교시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태블릿 기반의 티치펜던트 앱을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가반중량별로는 ‘Indy3/5/7/10/12’ (각 3kg, 5kg, 7kg, 10kg, 12kg) 5가지 모델과 7자유도 연구용 협동로봇 ‘Indy-RP2’를 양산하고 있으며, 손목에 부착된 확장포트를 통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인아그룹 4개(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엠씨티·인아코포·인아텍)계열사가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d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스마트 팩토리에 대응할 토털 솔루션을 선보였다. 인아그룹은 이번 전시회의 콘셉트로, ‘인아’와 ‘인아’가 이어져 하나의 ‘인아그룹’을 만들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인아그룹 안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동화 업계에 적용되는 ‘Stepping Motor’, ‘AC Geared Motor’, ‘Speed Control Motor’, ‘Actuator’, ‘FAN Motor’ 등 오리엔탈모터의 라인업을 소개했다. 또 각 제품을 연계시킨 데모 장비를 통해 제품 활용도 및 성능을 살펴볼 수 있도록 3개의 구역을 구성해 제품을 전시했다. △위치 정밀 제어를 주 용도로 사용하는 Stepping Motor 군을 전시하는 ‘제어 구역’ △단순 동력 전달을 주 용도로 사용하는 AC, BLDC, LIMO 군을 전시하는 ‘동력 & LIMO 구역’ △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엠씨티·인아코포가 연결된 제품을 전시하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엡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고객의 요구 사양과 니즈에 맞는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엡손은 초정밀, 초소형, 고효율 기술을 바탕으로 잉크젯, 비쥬얼, 웨어러블, 로보틱스 4개 분야의 혁신을 추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엡손 로봇은 현재 9년 연속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스카라 로봇을 비롯하여, 소형 6축 로봇, 폴딩암 구조 6축 로봇, 컨트롤러 내장형 스카라 및 6축 로봇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 사양과 니즈에 맞는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엡손은 스카라 로봇 LS10B와 센서를 활용해 컨베이어 위로 자나가는 소형 PCB를 인식해 백플레이트에 빠르고 정확하게 나사를 체결, 그 후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나사 체결 유무를 검사하는 공정의 데모기를 선보였다. 이 외에도 엡손 스카라 로봇 T3가 PCB를 작업대로 이송하면 스카라 로봇 G6가 IC Chip을 비전시스템을 활용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한 후 PCB에 미세 조립하고 T3가 완성품을 이송하는 공정을 데모기를 통해 선보여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휴머노이드 기술이 집약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대거 선보였다. 2011년 설립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 등을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바탕으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구동기, 엔코더, 브레이크, 제어기 등 협동로봇에 필요한 핵심부품을 자체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해당 부품을 통해 RB 시리즈는 높은 구동 속도, 정밀한 제어 성능, 유격 현상 없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했다. 또한 자체 부품을 사용해 타사 제품 대비 30% 가량 저렴해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RB 시리즈는 RB5-850, RB3-1200, RB10-1300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함께 선보인 RB-N 시리즈는 F&B 시장에서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스토브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높은 안전 등급의 협동로봇 ‘TX2touch’를 공개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 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TX2touch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협업을 위해 설계된 차별화된 협동로봇이다. 검증된 TX2 산업용 로봇을 기반으로 고급화된 터치 스킨 기술과 신속한 반응시간 및 내장된 모듈식 안전 기능 더하여 다이내믹하고 안정적인 동작과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스토브리 관계자는 “TX2touch는 SIL3/PLe의 높은 안전 등급을 가진 로봇으로 TX2 로봇과 CS9 컨트롤러의 성능을 바탕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비앤피이노베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스마트 안전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 가스 센서, 실내 위험 감지 Tag 등 산업 안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비앤피이노베이션은 비대면 스마트 작업/안전관리/원격지원 솔루션인 ‘SmartSee Safety Cloud’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단말과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스마트 안전조끼는 스마트 안전모의 무게 문제, 스마트 글래스의 안경 착용 문제 그리고 웨어러블 카메라의 케이블 처리 및 본체 고정불가 문제 등의 기존 웨어러블 카메라 솔루션의 착용의 문제점을 안전조끼에 분산 모듈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착용 및 활동성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마트 안전 장비들이 단순 영상녹화 및 실시간 영상 전송 기능만을 제공하는데 스마트 안전조끼 솔루션은 각종 IoT 센서를 통하여 사고 예방 기능 강화 및 안전 모니터링 그리고 실시간 사고 발생 알림 기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민트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협업 구동 운전이 가능한 원통형 스카라 로봇 ‘Pal A 시리즈’를 선보였다. 민트로봇은 자체 개발한 핵심 부품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로봇을 만드는 로봇 제조기업으로, 협업 구동 운전이 가능한 산업용 로봇 Pal A 시리즈 로봇을 주력으로 판매중이며,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 솔루션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로봇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들을 자체 개발하고 효율적인 설계 방식으로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하여 타사대비 비용 효율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al A 원통형 스카라(Cylindrical SCARA)는 민트로봇에서 개발한 원통형 구조의 스카라 로봇이다. 일반 스카라 로봇의 경우 로봇의 말단에 볼스 크류스플라인(Ball screw-spline)을 장착하여 수직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지만, 민트로봇의 스카라 로봇은 베이스와 몸통 링크를 이어주는 첫 번째 관절이 360도 회전을 한다. 이는 케이블 선의 간섭으로 인해 360 회전이 불가능한 스카라와 비교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