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스위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콤이 전시한 스위치 제품에는 푸시버튼, 시그널 램프, 셀렉터 스위치, 비상 정지 버튼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 컴포넌트가 포함됐다. 지콤은 그밖에도 전자, 전기부분에서부터 중공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에 적합한 특수 윤활유와 PCB 테스트에 사용되는 ICT/FCT 프로브와 고전류 프로브, 와이어 하네스 테스트에 필요한 스위치 프로브와 스텝 프로브, RF 테스트에 필요한 RF 프로브 등도 선보였다. 지콤은 독일 Feinmetall사의 프로브를 15년 이상 한국에서 독점 공급해왔다. 또한 자동화 관련 제품인 독일 Rafi 스위치, 장비, 로봇 윤활 솔루션 노르웨이 Biral, 온ㆍ습도, 압력 계측 장비, 모션 센서 등의 독일 GHM과 B+B 제품도 제공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
지엔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전동 실린더, 중공감속기, 액츄에이터 등 산업용 로봇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엔비가 전시한 액츄에이터 KGB Series는 Ball Screw를 활용한 액츄에이터 로, LM Guide 일체형의 구조로 설계돼 컴팩트한 공간 대응이 가능하다. 현장의 관계자는 “액츄에이터의 고강성, 고정밀도를 실현해, 휴대폰, 반도체/디스플레이, 로봇장치 등 모든 산업 자동화 설비에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엔비는 GNB 자체 기술로 개발한 중공감속기도 선보였다. 고정도 위치결정을 비롯해 부하 관성 및 모멘트 하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조건에 적용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역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의료기기, 로봇 등의 광범위한 산업에 적용된다. 지엔비에서 자체 개발한 미니 전동 실린더는 알루미늄 소재를 채용, 소형/경량의 고 추진력 전동 실린더(Cylinder)다. 지엔비 전동실린더는 소형 구조로 공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Ewon원격 접속 게이트웨이,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 등 산업용 통신망과 관련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의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는 원격지에서 PCL 접속을 통한 기계 성능 모니터링, 수정, 고장 예방 감지 등의 기능을 갖춰, 출장 없이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을 지닌다.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은 AGV 배터리에 대한 무선 충전 시스템으로, 시뮬레이션이 무료 제공된다. 이 밖에 최초의 인증된 인체 측정형 레이더 안전 시스템인 INXPECT 3D 안전용 레이더 시스템도 소개되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해원티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로봇 케이블, 비전 카메라, 스케일 제품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해원티앤디는 FA(Factory automation) 토탈 솔루션 전문 업체로서 자동화 부품, 공장자동화 케이블, 정밀 기어, 감속기, 비전검사 장비, 전자 재료, 산업용 Film, 전자 제조 장치, 부품·소재·코팅, 분야별 기술 지원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일본의 DYDEN, 미쓰비시 전기, 미국의 코그넥스, 독일의 BALLUFF 등의 총판이기도 하다. 해원티앤디는 DYDEN의 로봇 케이블, 플랫 케이블, 통신 케이블, 특수 사양 케이블 등 스케일 제품과 스케일 제품을 전시했다. DYDEN에서 생산되는 케이블은 일본 가동용 케이블 시장 점유율 No.1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시 부스에는 각종 머신비전 제품들도 전시됐다. 해원티앤디의 머신비전사업부는 미국 COGNEX와 독일 BALLUFF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
운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무접점 전자 릴레이, 전력조정기 등 자동화분야 제품과 함께 전력 제어기기와 배전제어 보호기기, 전력품질개선 기기 등을 폭넓게 전시해 주목을 받았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전시된 운영의 자동화 분야 제품 중 노이즈필터는 납땜 인두기 작업시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등 노이즈로 인한 반도체 소손이나 PCB 보드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기존 제품보다 광범위하게 필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전력 제어기기로는 일반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변압기와 리액터 등이 전시되어 관심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
‘세상에 봉사하자’라는 뜻을 가진 유한책임회사 세봉(이하 세봉)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넓은 범위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센서, 초소형 정밀 볼스크류 등 주변 기기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 제품 중 weCat3D 및 ShapeDrive 센서는 정밀 프로파일 감지에서 최대 3차원 또는 360도 물체 측정이 가능한 모델로, 모든 차원에서의 측정과 테스트 작업을 돕는다. 미니어처 볼 스크류 스플라인은 고급 기술의 소형화, 다양한 너트 형상 등의 차별점을 지녀 관심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동재 기자 |
단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전동 실린더와 볼스크류, 볼스플라인, 액츄에이터 등 리니어 모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단해가 전시한 전동 실린더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볼스크류 구동을 통해 피스톤 로드의 직선 변위로 변환해주는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단해는 표준전동실린더,가이드전동실린더,전동로터리테이블 실린더를 선보였다. 단해는 테프론 소재로 내마모성 증가, 고정도 롱타입으로 볼부쉬 적용, 저소음 고정도, 다양한 취부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단해는 대만 리니어 모션 제품 전문 제조업체인 대만 TBI의 한국대표대리점이다. 자동화 설비에 성능과 정밀도를 좌우하는 핵심부품인 LM가이드, 볼스크류, 볼스플라인, 액츄에이터등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적용 분야로는 자동화 산업, 로봇 산업, 반도체 산업, 산업용 기계, 의료 기기, 공작 기계 등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
리탈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캐비닛/랙 시스템과 컨트롤 패널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탈은 배선 시스템인 RiLine과 함께 좀 더 ‘스마트’하면서도 안정성, 공간 절약, 비용 절감의 효과를 수반하는 배선 방식을 선보였다. 이는 파워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에 의한 간단하고 빠른 구조 설계, 다양한 기기 메이커와의 호환 등의 장점도 지닌다. 이 밖에 소형 인클로저, 리탈 자동화 시스템 등을 전시하며 혁신적인 작업 관리 방식을 제안해 많은 이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동재 기자 |
다인큐브(DAINCUBE)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모션 제어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인큐브가 전시한 모션 제어 솔루션 DTP7H-coreCon는 티치 펜던트(Teach Pendant)와 로봇 제어기를 통합한 제품이다. 고성능 ARM Cortex-A9 프로세서에 실시간 운영 체제 및 로봇 제어 통합 소프트웨어인 coreCon을 탑재했으며, EtherCAT Master 플랫폼을 내장해 다양한 EtherCAT 서보 모터 드라이버 및 I/O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로봇 모션 제어 소프트웨어인 coreCon은 다양한 로봇(Multi-Axis, Delta, SCARA, Cartesian and Cobot 등) 선택과 EtherCAT Slave의 간단한 설정과 조작만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ABB, FANUC 그리고 YASKAWA 등에서 지원하는 유사한 로봇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전문 개발자가 아니어도 간단한 교육만
4월 6일~8일, 서울 코엑스서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전시회 'SF+AW 2022'와 함께 개최 설비 자동화, 3D프린팅, 로보틱스 등 첨단 산업 전반의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전망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스마트제조혁신포럼'이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다. 포럼은 같은 기간 열리는 국내 최대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산업 전시회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F+AW 2022)와 함께 열린다. 주요 컨퍼런스는 ▲3D프린팅 유저 컨퍼런스 ▲지능형 설비예지보전 컨퍼런스 ▲머신비전 기술세미나 ▲로보틱스 컨퍼런스 ▲THE BEST SHOW 등이다. 이밖에도 전시회장 안팎에서 디지털 혁신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컨퍼런스 및 세미나가 개최되는데, 세션으로 보면 약 200개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먼저 3D프린팅 유저 컨퍼런스는 '3D프린팅은 최적화를 주목한다'는 주제로, 8일(금)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컨퍼런스는 3D프린팅 기술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각광 받는 이유와 잠재력을 조명한다. 코로나19 이후 경직된 제조 공급망을 해소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3D프린팅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미래가치를 바꿀
설계, 제조, 유통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스마트공장. 제조업계는 공장 자동화라는 과제를 안고 전통 제조업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들어섰다. 대구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지역의 스마트제조 융합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센터의 목적은 세 가지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통한 기업 역량 제고, 기술개발 등을 통한 산업 역량 제고, 플랫폼 기능 활성화다. 대구에 위치한 대구 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사무실에서 황한재 센터장을 만났다. Q. 현재 대구테크노파크가 있는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을 평가한다면. A.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대구지역 스마트공장 누적 구축 수는 1749개다. 대구지역 제조업 등록 공장 8013개 기준으로 스마트공장 구축률이 21.8%다. 전국 평균인 4.1%보다 2.9% 초과 구축한 수치다. 점유율로 보면, 전국의 스마트공장 2만5039개 중 7%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앵커기업의 부재 등 어려운 지역 산업여건임에도 혁신역량, 스마트공장 구축률 등의 관점에서 분명 제조혁신을 선도한다고 말할 수 있다.
물류와 재고를 관리하는 일은 어느 산업 분야나 마찬가지로 번거로운 일이다. 시간과 자원이 꽤나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아무리 꼼꼼이 관리해도 실수가 생기고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RFID. RFID를 현장에 도입할지 말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예비 고객들에게 아시아나IDT의 한주철 과장이 RFID를 도입한 현장의 생생한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RFID, 100% 아냐” 물류와 재고 관리 부분을 수기로 하고 있는 많은 현장에서 에러를 없애고 시스템을 보완했으면 좋겠다는 이유로 RFID를 찾는다. 컨설팅은 RFID가 100% 맞는 건 아니라는 전제에서 시작된다. RFID도 다른 모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분명 한계가 있다. RFID가 100% 정확도가 아니라고 해서 쓸모없는 기술인 것은 아니다. 여전히 수기 시스템을 비롯한 여타 시스템에 비해 훨씬 효과적이다. 따라서 시스템 업체와 고객이 함께 호흡하면서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시스템 업체가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백업 시스템 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시스템에 반영하고, 현장이 시스템 업체에서 설정해준 작업 매뉴얼을 잘 준수한다면, RFI
작년 9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 전시회와 동시 개최된 RFID/센서 제조혁신 세미나에서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 박현 상무가 ‘지브라의 RFID 시스템을 통한 주요 산업의 RFID 혁신사례’의 주제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RFID 기술의 현황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라디오의 주파수를 이용해 자산을 인식시키는 기술이다. RFID는 기술적인 개념이기도 하지만, 주파수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하나의 프로세스기도 하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 라디오 주파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모두 RFID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RFID 기술은 실시간으로 자산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해 업무를 간소화하고, 자산 관련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여 업무 효율을 향상한다. 예전에는 바코드,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읽는 데에서 끝났었는데, 최근에는 태그에 있는 정보를 읽는 것은 물론이고, 현재 상태,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까지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들이 나오고 있다. 비용 등 여러 요인이 있기 때문에, RFID가 기존 바코드 시장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
2022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 R&D 과제 공고 산업통상자원부가 2022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으로 2021년 대비 22% 증가한 8410억원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소재·부품의 해외의존도 완화, 기술 고도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을 지원해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핵심소재 개발을 시작으로 소재-부품-모듈-수요 간 모든 단위기술에 걸쳐 연계 가능한 ‘패키지형’ 과제로 7358억원을 지원하고, 이종(異種)기술 결합, 업종 연계 및 단기 사업화를 위해 도전적 융·복합 소재부품을 개발하는 ‘이종기술융합형’ 과제로 1052억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관연구개발기관 등을 선정하기 위해 오는 4일부터 내달 7일까지 2022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신규기획 74개 과제 및 자유공모형 과제를 공고할 예정이다. 오늘 공고한 74개 과제는 작년 산업계 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886건을 중심으로 산업 분야별 기술위원회와 산·학·연 평가 등을 통해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정보포털에서 해당 과제에 관한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받고, 관련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4월 중
한국폴리텍대학 진주캠퍼스가 3D프린팅산업협회 및 3D프린팅 관련 4개 기업과 지난 25일 진주캠퍼스 본관 2층 회의실에서 업무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참여기관인 한국폴리텍대학 진주캠퍼스, 3D프린팅산업협회, 아이오티, 와우쓰리디, 웰웍스, 티엘비즈 간 협력을 통해, 3D프린팅 산업 발전과 관련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체결됐다. 이날 업무교류 협약을 맺은 기관 및 기업은 ▲3D프린팅 분야 교육과정 및 인력양성에 관한 상호 협력 ▲3D프린팅 분야 기술·정보 상호 교류 및 협력 ▲교육생 취업 및 기업의 직무능력 향상에 대한 상호 협조 ▲지역산업 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호 노력 ▲시설 및 장비 상호 개방 및 교류 ▲기타 양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등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 김한수 3D프린팅산업협회 회장은 "초기 성장단계에 있는 국내 3D프린팅 산업시장의 육성을 목표로 세계적인 3D프린팅 환경에 발빠르게 대처하고자 한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신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관계를 맺게 되어 굉장히 기쁘다"고 전했다. 한국폴리텍대학 진주캠퍼스 하정미 학장은 “진주캠퍼스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3D프린팅과 같은 신기술을 기존 뿌리기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