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최근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인수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고전력 고정비(Fixed Ratio) 차지 펌프 DC/DC 컨트롤러 신제품(LTC7820)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비절연 중간 버스(Non-isolated Intermediate Bus) 컨버터에서 전력 인버터를 제거해 회로 크기를 최대 50% 줄이고, 최대 4000W/in3의 전력 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LTC7820은 전압 분배기, 더블러 또는 인버터에서 최대 99% 효율로 외부 MOSFET를 구동한다. 개방 루프 고정 50% 듀티 사이클 동작은 전력 분배, 데이터콤, 텔레콤, 하이엔드 컴퓨팅 및 산업 시스템 분야 비절연 중간 버스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LTC7820은 6V~72V(최대 80V abs)의 입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며, 토폴로지와 외부 부품 사용에 따라 수십A 대의 다양한 값의 출력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최대 72V의 입력 전압으로부터 2 : 1 스텝다운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LTC7820 IC 2개를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연결하면 4 : 1 스텝다운 비율이 가능하다. 6 : 1과 같은 더 높은 스텝다운 비율을 원하면, Dickson 컨버터 토폴로지가
지능형 가상 비서 특허출원, 최근 크게 증가 지난달 출시된 삼성 갤럭시 S8은 지능형 가상 비서 ‘빅스비(Bixby)’를 탑재하여 애플 ‘시리(Siri)’와의 경쟁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허청은 이동통신 단말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과 애플 등이 자체 지능형 가상 비서를 상용화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능형 가상 비서가 알아서 척척 지능형 가상 비서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는 주문이나 예약, 검색 등을 대신 처리할 뿐 아니라, 각종 스마트 가전기기나 차량에 탑재되어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하는 등 그 응용 범위가 계속해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에 부응하듯, 지능형 가상 비서 관련 특허출원은 2013년 11건에 불과했으나, 2014년 36건으로 무려 200% 이상 크게 증가했고, 2016년에는 61건으로 2년 전에 비해 약 70% 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능형 가상 비서가 사용자와 단말기 사이의 새로운 소통방식이라는 점에서 향후 증가 추세가
기계연, 해운대백병원과 발목절단 환자 임상 착수, 상용화 눈 앞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무릎 아래가 절단된 환자의 보행을 돕는 ‘발목형 로봇의족’을 개발했다. 발목의 움직임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자연스럽게 모사하면서 무게는 가장 가볍고, 가격은 시중 제품의 1/5까지 낮췄다. 기계연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지원로봇연구실은 고유의 ‘경량 고출력 통합구동모듈’ 기술을 이용하여, 무게는 실제 발목과 비슷할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발목이 바닥을 차는 힘은 세계 최고 수준까지 구현한 로봇의족을 개발했다. 발목 관절을 30°까지 움직일 수 있고 토크 출력은 150Nm로 실제 걸을 때와 같이 발로 땅바닥을 차주는 반동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무게는 1.4kg으로 실제 발목의 무게와 유사한 수준이다. 미국 BIONX사 ‘BioM’ 모델의 경우, 출력은 150Nm로 같지만 무게는 1.8kg이다. 개인별 맞춤형 보행 모델 개발 이번 연구는 한국기계연구원 주요 사업 ‘하지절단 환자를 위한 발목형 로봇의족 개발’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국내 특허등록
[첨단 헬로티] LS산전은 다양한 종류의 어댑터 및 부싱 제공을 통해 모든 타입 서보 모터의 간편한 취부가 가능한 유성감속기를 선보였다. Straight 타입은 3 :1에서 100 :1, Angle 타입은 3 :1에서 200 :1까지 다양한 감속비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성능 면에서는 표면 열처리 방법 중 가장 발달된 방식인 나노 단위 플라즈마 이온질화법 적용을 통해 토크를 극대화했을 뿐 아니라, 정밀 가공을 바탕으로 최적의 동심도를 제공하여 저소음, 최소 수준의 마모도를 구현했다. 또한 클램프 방식의 셋컬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슬립 없는 최적의 체결 방식을 가능하게 했다. LS산전 유성 감속기는 시장 최저가, 최단 납기 실현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식음료, 포장기계, 물류기계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될 수 있다.
액체정량토출시스템 전문 제작 업체인 태하는 국내 전자, 기계를 비롯한 산업 전반에 관련 기기를 공급해 왔다. 액체정량토출시스템은 기계, 제어, 화학 등 다양한 주변 기술의 집합체로서 지속적인 연구와 새로운 기술 및 기법이 요구되는 산업이다. 태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진 액체정량토출시스템 토털 솔루션 업체로 발전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태하에서 공급하는 액체압력레귤레이터(LPR-10)는 재료 공급 압력이 불안전하고 너무 높을 때 적용함으로써, 공급 압력을 안정시키고 감압 효과로 인한 정밀한 디스펜싱 작업을 구현시키는 에어 구동형 액체 압력 레귤레이터이다. 캔(Can) 펌프에서 고압으로 토출된 액체를 액체 압력 레귤레이터로 감압합으로써 적정압으로 프로 펌프에 공급해 토출한다. ▲ 액체압력레귤레이터(LPR-10) 또한 2액형 장비의 안정적인 액체공급을 위한 재료공급장치(MSiV)의 경우 재료가 상시 진공상태에 있기 때문에, 대기 중의 습기로 인한 경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세정이 필요 없고, 재료 보존성이 우수하다. 탱크 내부가 상시 진공 상태이므로 별도의 탈포 공정이 필요 없으며, 재료는 거의 완전한 탈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재료마다 1개의 탱크로
1992년에 설립된 크린텍은 2008년에 매출 100억원을 돌파한 이후 청소 산업 관련 친환경 솔루션을 꾸준히 공급하고 있다. 얼마 전 용인으로 사옥을 이전하며 과거 부품에만 적용했던 구동형 렉을 장비에도 적용함으로써 장비 보관 품질을 한 차원 더 높였다. 크린텍의 다양한 제품군 중 습식 경량 청소장비인 T1은 원통형 브러시를 사용하는 콤팩트한 청소장비로 이동이 편리하다. 앞뒤 양방향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좁은 곳에서도 잔수 걱정 없이 깔끔하게 세정 가능하며 이동 및 수납이 편리한 폴딩 핸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물통이 분리되므로 물을 받고 버리기가 간편하다. ▲ 습식 경량 청소장비 대형 보행식 습식 청소장비인 5700 모델은 원판형 0∼91kg까지, 원통형 0∼41kg까지 미세 조정되는 반자동 스크럽 헤드를 갖고 있고 보행식 최대 탱크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진공 모터의 수명을 4배 이상 늘려 주는 디미스팅 체임버(수분 분리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235Ah∼360Ah까지 용도에 맞는 다양한 배터리를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의 높낮이가 변화해도 수평을 유지시켜 주는 수평 유지 시스템이 있어 사용 편리성이 높다. ▲ 대형 보행
2005년에 설립된 케이엠엑스는 2011년부터 사업 다각화를 통해 냉매 회수 및 정제장치, 환경친화적인 화학 세정제품, 오일 플러싱 장비 공급 및 용업 사업과 같은 환경사업 분야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또한 해외 파트너 모집 및 에이전트, 지사 설립 등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케이엠엑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제품들 중 초음파 세정장비의 경우, 적절한 온도 제어로 반응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 침적 및 수용액 순환 기능과 초음파, 히터 타이머 설정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정비용 세정제도 다양한 제품을 구비하고 있는데, ST-407의 경우 용수배관, 콘덴서, 보일러 스케일 제거 및 동·동합금 또는 티타늄,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열 교환기 등과 같은 장비에 부착된 각종 물때, 해수로 인한 뻘 및 염석 등을 제거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 장비를 분해하지 않고 순환세정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세정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설비 부식 우려가 적고, 고온 생성 스케일 및 복합 성분의 스케일도 제거할 수 있다. 슬러시 타입 제품으로 온수에 용해해 사용한다. ST-302R
DOD 방식 잉크젯 프린터의 특허 기술과 브랜드를 갖고 있는 인터맥은 전 세계 유수의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며 마킹 시스템의 100% 국산화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터맥에서 국산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maccell Drop on Demand(DOD) 잉크젯 마킹기는 고기능 대문자 마킹용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이다. maccell DOD Technology는 기술 집약적 잉크젯 제조 기술로, 초소형 초경량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175m/min의 초고속 마킹 스피드를 구현할 수 있다. maccell Technology는 LP7000+plus 잉크젯 컨트롤러와 함께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며 사용 편리성이 높아 고속 무인화 생산현장에 적합하다. 또한, 다양한 언어 지원과 대화형 메뉴 디스플레이, 사용자 로고 편집, 자유로운 마킹 문자 크기 조절 등 여러 기능을 통해 손쉬운 운용 환경을 제공한다. 인터맥의 특허기술인 maccellTM 솔레노이드 밸브는 성능과 디자인이 뛰어나며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4mm, 3g에 불과한 이 작은 밸브는 맥셀 프린트헤드를 완성하는 데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맥셀 솔레노이드 밸브는 작은 구조로 되어
아이에이코리아는 반도체, 자동차, 휴대전화, FPD, 각종 부품 등 고정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한 자동화 공정에 이르기까지 공정 자동화가 필요한 곳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24시간 유지 및 보수 체계를 확보해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을 확보하고 엔지니어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아이에이코리아에서 공급하는 제품들 중 초소형 로보 실린더(Robo Cylinder)는 새로 개발된 모터를 탑재해 전체 길이, 폭, 높이 등의 치수를 대폭 소형화함으로써 에어 실린더에 필적하는 크기를 실현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치 공간 문제 때문에 에어 실린더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설비에 로보 실린더를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ERC3 모델은 컨트롤러 일체형 슬라이드 타입으로,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어 배선 수고가 줄어든다. 또한 전용 케이블을 PLC와 DC24V 전원에 접속하면 바로 동작할 수 있고, 시리얼 전용 타입과 게이트웨이 유닛을 사용하면 필드 네트워크에 간단히 접속할 수도 있다. RCP5/RCP4 모델의 경우 최고 속도 1.5배, 가반 질량 2배를 실현한 로보 실린더로, 배터리 교환이 필요 없기 때
세기에어시스템은 냉풍기(기화식 냉방장치) 분야의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해 중국, 몽골 등 세계 각국에 제품을 수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신기술을 계속 개발하고 있으며, 차세대 에너지 혁신을 위한 냉풍기와 환풍기, 에어커튼 등을 통해 쾌적한 자연 바람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기에어시스템의 SEGI 냉풍기는 물 1리터가 증발하면서 586kcal의 열을 흡수, 소멸하는 냉매와의 열교환 원리에 착안해 만들어졌다. 이 제품은 주변의 더운 공기를 냉풍기 안의 쿨링패드로 통과시켜 떨어지는 물이 순환(Circulating)되면서 기화열을 통해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는 경제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산업용 냉풍기다. 따라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작업장 내부의 현장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먼지나 황사 등 외부에 오염된 공기가 있으면 냉풍기에 설치된 프리필터, 쿨링패드에 의해 정화된 후 공급된다. 기존의 에어컨처럼 냉매를 압축하는 프레온 가스나 실외기가 따로 필요 없고 전기 소비가 적어 경제적이다. 또한 이 제품은 쿨링 패드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동성레이저는 자동차, 공구, 기계부품, 의료, 전자전기, 수전금구, 반도체 및 금형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상용되고 있는 레이저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동성레이저에서 공급하는 화이버 레이저 마킹기(Fiber Laser Marker)의 파워 서플라이는 IPG(독일), SPI(영국), Nufern(미국)의 화이버 소스를 사용한 제품이다. 레이저 튜브는 동성레이저에서 자체 제작했으며 스캐너는 CTI(미국) 또는 SCANLAB(독일) 스캐너가 사용되었다. 이 제품의 레이저 파장은 1,060nm이고 로고를 새기거나 음각, 절단, 샌딩 처리, 도장 등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최대 10만 시간의 수명으로 안정성이 높으며 2,540dpi의 고해상도를 실현했고 절력 소모량이 효율적(300∼500W)이다. 또한 3D Matrix 바코드 및 QR 코드 등 다양한 바코드 마킹이 가능하며 디지털 방식의 Gavanometer를 적용해 초고속 정밀 마킹을 구현한다. 초경량화 설계로 이동, 설치 및 자동화 라인 설치에 적합하다. 소프트웨어는 AutoCAD, CorelDraw Illustrator와 같은 그래픽 프로그램과 호환 가능하다. ▲ 화이버 레이저 마킹기 그리고 다
제13회 창원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이 이달 13일부터 16일까지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13개국, 165개의 스마트 공장, 자동화 관련 기기 및 설비 관련 업체들이 참가해 기술 정보 교류, 수출 증대를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또 전시회 기간 동안 다양한 세미나가 함께 열려 자동화 기술 관련 최신 정보들이 소개됐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창원시와 함께 2005년부터 매년 창원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Int'l Factory Automation System Show 2017, Changwon Korea(KOFAS-Changwon 2017)]을 개최해 오고 있으며 올해 13회를 맞이해 동남권 대표 전시회로 자리매김하며 창원시의 산업단지를 활성화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앞선 기술 정보 교환 통해 국제 경쟁력 제고 경상남도, 창원시가 주최하고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주관하는 창원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이 산업통상자원부, kotra,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등의 후원으로 6월 13일부터 나흘간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 스마트공장, 자동화관련기기, 설비 및 주변기기의 수요 창출 및 수출 증대, ▲ 정보교환 및 기술개발을 통한 국제 경쟁력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위 러브 스타트업(We Love Startup)’을 진행한다. 맥심은 기업이 확인된 스타트업 신청자 전원에게 보드와 스타트업 팩을 증정한다. 맥심 웹사이트에서 맥심 제품에 대한 국내외 고객 성공 사례를 확인한 신청자는 맥심의 딥커버(DeepCover) 임베디드 보안 플랫폼, 범용 인풋 마이크로 PLC, 스마트 포스 센서(Smart Force Sensor)를 포함한 20개 보드 중 원하는 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6월 13일부터 한 달 간 진행된다. 맥심 코리아 최헌정 사장은 “맥심은 국내 스타트업이 시제품(prototype)을 빠르고 쉽게 만들어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돕고 있다”며, “높은 잠재력을 지닌 국내 스타트업이 위 러브 스타트업 프로그램을 통해 더 나은 개발 환경에서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맥심은 위 러브 스타트업 외에도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맥심은 온∙오프라인 기술 세미나와
[첨단 헬로티] 부라더미싱으로 대표되는 부라더상사㈜의 계열사인 마이클앤선솔루션(M&S Solution)에서 친환경 공기청정기 브랜드 ‘카도’의 프리미엄 차량용 공기청정기 1종(MP-C20U)을 선보인다. 여름철 내부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아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카도’의 차량용 공기 청정기 MP-C20U는 차량, 책상 위, 사무실 개인 공간과 같이 밀폐되고 개인적인 장소의 공기 정화에 효과적이다. 인체에 해로운 담배연기나 스모그, 여름철, 장마철 차내 습기도 빠르게 잡아 주고 에어컨에서 미처 걸러지지 못한 미세먼지나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와 같은 유해균을 완전 분해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가시광촉매+HEPA 필터로 정화함으로써 밀폐된 차량 내부에서 쉽게 번식하는 곰팡이균을 20분 안에 99.9%이상 제거한다. 이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자동차 드링크 홀더에 쏙 들어가는 크기로 부담이 없고, 기존 시거잭이나 USB 케이블과 호환되어 사용이 용이하며, 상단의 원터치 버튼으로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어 차량 운행 중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TO-247PLUS 패키지에 최대 정격 다이오드를 통합한 75A/1200V 디스크리트 IGBT를 출시했다. 새로운 TO-247PLUS 3핀 및 4핀 패키지는 전력 밀도와 효율에 대한 갈수록 높아지는 요구를 충족한다. 드라이브, 광전지,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등 1200V 블로킹 전압으로 높은 전력 밀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배터리 충전,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새로운 TO-247PLUS 패키지는 표준 TO-247-3 패키지와 비교했을 때 두 배의 전류 정격을 제공할 수 있다. 표준 TO-247 패키지에서 나사 구멍을 없앰으로써 PLUS 패키지는 더 넓은 리드 프레임 면적을 사용할 수 있어 더 큰 IGBT 칩을 탑재할 수 있다. 인피니언은 기존과 동일한 풋프린트로 다이오드를 통합한 최대 75A 용량의 1200V IGBT를 제공하게 되었다. TO-247PLUS 패키지는 더 넓은 리드 프레임으로 열 저항이 더 낮기 때문에 열방출 능력이 향상되었다. 스위칭 손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을 위해, TO-247PLUS 4핀 패키지는 추가적인 켈빈 이미터 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