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보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 세미나 열어...“보안 설계·인증 관련 해법 담아” 어드밴텍이 이달 15일 ‘비즈니스 보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 세미나’를 개최한다. 해당 세미나는 산업 자동화(FA), 사물인터넷(IoT) 확산에 따른 사이버 위협 대응법과 인공지능(AI)·에지(Edge) 환경에서의 보안 인사이트를 제시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주관 국제 표준 ‘IEC 62443’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보호 및 인증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IEC-62443은 FA 및 제어 시스템(Industrial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IACS) 관련 사이버 보안 인증이다. 시스템 설계·구현·운영·유지보수 등 과정에서 사이버 보안을 구축·관리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를 통해 보안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설계 단계부터 보안을 내재화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산업용 IoT 보안 전략, 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를 통한 공급망 보안 관리, 보안 솔루션과 활용 사례, 임베디드 기기의 보안 강화 전략, 에지 컴퓨팅에서의 보안 시스템 구축 방법 등 주제로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파트너사는 마이크로소프트(MS)·아이에이알시스템
“친환경적이고 사람 중심의 기술 선보일 것” 아트와(ARTWA)가 이달부터 ‘더로보틱스(THE Robotics)’로 사명을 바꾸고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번 사명 변경은 아트(ART)를 내세운 브랜드 가치를 기술력·친환경·친안전으로 전환하는 일환이다. 더로보틱스 관계자에 따르면, 뚜렷한 로봇 전문 기업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전략이다. 더로보틱스는 ‘사람과 환경을 위한 기술(Tech for Humanity & Environment)’의 철학을 기반으로, 기존 ‘친환경·친안전 로봇’ 비전을 더욱 확대한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앞으로 기술 중심의 로봇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강동우 더로보틱스 대표는 “사명 변경으로 비즈니스 방향성과 비전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됐다”며 “앞으로 친환경적이고 사람 중심의 기술을 선보이며, 사회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로봇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포부를 다졌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승준 기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AI 기반 지속가능성 플랫폼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원 클릭 LCA(One Click LCA)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력 제품 5만 여종에 대한 타입 III 환경 제품 선언서(EPD)를 원 클릭 LCA 플랫폼에서 공개한다. 이를 통해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AEC) 업계 전문가들은 프로젝트 수명 주기 평가(LCA)를 수행할 때 환경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MEP(기계, 전기 및 배관) 구성 요소는 그동안 포괄적인 환경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해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 업계의 전문가들은 프로젝트의 탄소 평가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원 클릭 LCA의 파트너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MEP 분야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One Click LCA 플랫폼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전기 제품의 환경성적지표(EPD)를 광범위하게 제공해 AEC 전문가들이 전기화 선택의 환경 영향을 프로젝트 수명 주기 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설계 결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으며 MEP 탄소
김영진 대표, 중관춘포럼 부대행사 ‘한중 과학기술 산업 혁신 포럼’ 기조연설자로 참여 테솔로가 3월 27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열린 ‘2025 중관춘 포럼(中关村论坛)’ 부대행사 ‘한중 과학기술 산업 혁신 포럼’에 참여했다. 중관춘 포럼은 중국 베이징 소재 과학기술 혁신 지구 중관춘(中關村)에서 매년 열리는 국가 주도 행사다. ‘혁신과 발전’을 주제로 향후 중국의 국가 혁신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과학기술 관련 혁신·협력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올해 부대행사에서 전문가 기조연설 세션을 맡아 자사 로봇 핸드 솔루션 ‘델토 그리퍼 5F(Delto Gripper-5F 이하 DG-5F)’를 소개했다. 해당 제품은 지난 3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겨냥해 사람의 손과 유사한 수준의 높은 자유도(DoF) 기반 인간형 5지 솔루션이다. 김영진 대표는 “DG-5F는 테솔로의 기술력을 녹인 포트폴리오로, 타사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소개하며 “판매 시작 이전임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어필했다. 한편, 테솔로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로봇 그리퍼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울러 미국에도 대리점을 확
뉴로메카가 DN솔루션즈의 ‘DIMF 2025(DN Solutions International Machine Tool Fair)’에서 양사 협업으로 개발한 고정밀 협동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첫 공개했다. DIMF는 DN솔루션즈가 1997년부터 2년마다 개최하는 자체 국제공작기계전시로 올해는 ‘공작기계 가공 공정 전반을 위한 오토메이션 플랫폼’을 주제로 4월 2일부터 5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총 50여 종의 장비와 솔루션이 전시되며 해외 고객 1000여 명을 포함한 5000명 이상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로메카는 이번 전시에서 자사의 대표 협동로봇 ‘Indy(인디)’, ‘NURI(누리)’ 시리즈와 통합 제어기 ‘STEP(스텝)’을 기반으로 한 고도화된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반도체 및 공작기계 가공 등 고정밀 작업에 적합한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현장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고 회사는 전했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누리를 활용한 반도체 링의 자동 적재·배출 솔루션 2종을 시연했다. 각 솔루션은 깨지기 쉬운 링 형태의 쿼츠와 같은 소재을 핸들링하기 위한 특수한 진공 그리퍼 적용과 로봇의 제어에 공작 기계의 축계 제어를 연동하여 정밀도를
토마토시스템이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화면 자동생성 혁신 솔루션을 선보였다. 토마토시스템은 3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5 클라우드 컨퍼런스’에 참가해 자사의 핵심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서 토마토시스템은 전시부스와 세션 발표를 통해 ▲AI기반 대화형 화면 생성 자동화 솔루션인 ‘AI 어시스턴트 포 엑스빌더6’와 ▲클라우드 기반의 웹 IDE인 ‘엑스빌더6 포 클라우드’를 공개했다. AI 어시스턴트 포 엑스빌더6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최신 제품이다. 개발자는 물론 비전문가도 손쉽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한다. 엑스빌더6 포 클라우드는 국내 최초로 풀 위지윅(WYSIWYG)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웹 IDE로, 별도 장비나 환경 구축 없이 브라우저만으로도 빠르고 유연한 원격 개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해소하고, 협업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이날 세션 발표를 진행한 토마토시스템 이지율 수석 연구원은 ‘AI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정밀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반 ADIS1657x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모듈을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3축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내장한 ADIS1657x MEMS IMU는 공장 및 산업 자동화를 비롯해 건설 장비와 스마트 농업, 무인 및 산업용 자율 로보틱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내비게이션, 안정화, 계측 기능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을 제공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ADIS1657x MEMS IMU 모듈은 가장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최적의 동적 성능을 제공하는 통합 신호 컨디셔닝과 3축 자이로스코프 및 3축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있다. ADIS1657x는 2,000g의 기계적 충격 내성을 갖추고 있으며, 출고 전 공장 보정을 통해 각 센서의 감도와 바이어스 및 정렬을 강화했다. ADIS1657x 모듈은 SPI 호환 데이터 통신과 3축 델타 각도 및 델타 속도 출력을 통한 맞춤형 프로그래밍 기능을 비롯해 자동 및 수동 바이어스 보정 제어, 동기식 데이터 수집을 위한 데이터 기반(data-r
씨알케이(CRK)가 아마존 웹서비스(이하 AWS)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IoT 연동으로 언제 어디서든 냉동 및 냉장 시스템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한 통합관제 서비스 플랫폼 ‘CRK 스퀘어’를 정식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스퀘어는 콜드체인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 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저온 창고, 프랜차이즈 등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이 단순히 현재 냉동 및 냉장 상태 확인을 넘어 각 설비의 에너지 사용량, 운전 데이터 집계, 원격 제어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장 환경에 맞는 최적화된 실시간 관제 서비스를 손안에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IoT 서비스를 활용해 별도 배선 설치 없이 기존 냉장 및 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월 사용료 만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PC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현재 상황을 확인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운영 비용 등을 절감해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망을 기반으로 CRK는 스퀘어 런칭과 함께 원하는 고객 대상으로 ‘CRK 스퀘어 서비스’를 함께 도입,
라온피플이 인천국제공항에 안전사고 및 위험상황 관리를 위한 생성형 AI 솔루션 ‘오딘에이아이’(OdinAi)를 공급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나선다. 라온피플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승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트레인에 생성형 AI 영상 솔루션 오딘에이아이를 탑재했다고 1일 밝혔다. 라온피플은 LLM(거대언어모델)과 VLM(비전언어모델) 기반의 생성형 AI 영상 솔루션 오딘에이아이를 통해 이미지와 영상속 객체간의 관계나 의도를 탐지하고 분석해 상황을 스스로 인식하는 등 정교하게 다듬어진 텍스트 기반의 요약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빠르고 안전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단순히 객체를 감지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이벤트 상황에 대해서만 포착이 가능했던 딥러닝 기반 영상 솔루션의 한계를 뛰어넘은 오딘에이아이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이벤트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탐지가 가능하다. 자연어 기반의 설명과 맥락 정보 결합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이나 환경에서 정확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등 차세대 관제 시스템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오딘에이아이는 인천공항 셔틀트레인 내 실시간 승객수와 밀집도를 확인하고 보안 및 경계구역에 침입
다쏘시스템이 국도화학과 협력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의 연구개발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1일 밝혔다. 국도화학은 1972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화학 소재 기업으로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등 고기능성 화학 제품을 생산한다. 전자, 자동차, 건축,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 첨단 소재를 공급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과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 연구개발 데이터 시스템 구축은 국도화학이 신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의 효율성과 속도를 높이고 향후 AI를 활용하기 위한 고품질의 데이터셋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과정의 일환이다. 국도화학은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솔루션을 활용해 원료 데이터베이스(DB) 관리, 원료 물성 평가 관리, 제품 물성 평가 관리, 기준 정보 관리 및 화학 구조식 기반의 검색 엔진 등 체계적인 연구개발 데이터 관리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자연구노트(ELN, Electronic Lab Notebook)를 통해 실험 데이터의 작성과 관리를 표준화하고 연구 산출
어드밴텍이 윈도우 기반 10.1인치 산업용 태블릿 AIM-68S를 출시했다. AIM-68S는 Intel Alder Lake-N 프로세서를 탑재했고 Windows 11 IoT Enterprise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AIM-68S는 WUXGA FHD 해상도의 10.1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Gorilla Glass 3와 PCAP 터치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10~50℃의 작동 온도 범위와 IP65 등급의 방수·방진 설계를 갖췄다. Wi-Fi 6E, Bluetooth 5.3, NFC를 지원해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후면 확장 포트를 활용하면 바코드 스캐너, RFID, LAN 등 다양한 모듈과 연결할 수 있다.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해 지게차와 물류 차량에 장착이 가능하다. 이로써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 및 제조 및 생산 관리 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다. 긴 배터리 수명과 핫스왑 기능도 지원한다. 해당 모델은 제조업, 유통, 물류, 공공, 방산, 에너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기존 소형 PDA를 AIM-68S로 교체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게차 탑재용 단말기, 페이퍼리스 시스템용 태블릿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드밴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의 한국 지사 플리어 시스템 코리아가 법 집행 및 공공 안전 전문가를 위해 설계된 차세대 열화상 모노큘러 ‘FLIR Scout Pro’를 국내 출시했다. Scout Pro는 32도의 시야각을 제공해 폭넓은 시야를 유지하며, 최대 500미터(1640피트) 거리에서 사람을 감지하면서도 넓은 시야를 유지할 수 있다. 넓은 커버리지와 실용적인 탐지 범위의 균형을 갖춘 Scout Pro는 순찰 중 중요한 정보와 인텔리전스를 제공해 안전한 지역 경비와 신속한 실종자 및 부상자 수색을 지원한다. 법 집행 및 공공 안전 전문가와 협력해 개발된 Scout Pro는 640×480 해상도의 선명한 열화상 이미지를 제공한다. 2배, 4배, 6배, 8배 확대 기능을 제공해 먼 거리의 대상을 보다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도심 및 야외 환경 모두에 적합해 넓은 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목표물을 추적할 때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피터 데커스 텔레다인 플리어 First Responder Solutions 사업 개발 디렉터는 “차세대 Scout Pro는 어둡거나 가시성이 낮은 환경에서도 보다 명확한 시야를 제공해 법
AI 솔루션 총망라...사전 초청 행사서 'AI 시대의 Insight' 주제로 인사이트 제시한다 어드밴텍(Advantech)이 대만 컴퓨팅 및 정보통신기술(ICT) 박람회 ‘컴퓨텍스(COMPUTEX 2025)’에 참가한다. 컴퓨텍스는 지난 1981년부터 대만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전시회로, 올해 44회차 개막을 맞이해 타이베이 난강 전시관(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에서 오는 5월 20일에 개막한다. 2023년 전시회부터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CEO가 기조연설 세션을 진행해 더욱 주목받았다. 이번 컴퓨텍스에 등판하는 어드밴텍은 전시 개막 하루 전 글로벌 파트너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초청 행사를 연다. 이날 행사에서는 'AI 시대의 Insight'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지며, 약 700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어드밴텍은 AI 시대에 발맞춰 올해 비전을 'Edge Computing, Edge Everything'으로 설정했다. 올해 박람회에는 전시 슬로건인 ‘AI Next’와 맞물린 다양한 솔루션이 어드밴텍 전시부스에 자리 잡을 예정이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승준 기자 |
정부가 친환경차 부품 생산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100억원까지 1.5∼2.0%포인트(p)의 대출 금리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친환경차 보급 촉진을 위한 이차보전 사업’ 2025년도 지원 계획을 공고하고, 오는 27일부터 다음 달 21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친환경차 부품 생산에 필요한 시설투자, 인수·합병(M&A), 연구개발(R&D) 목적의 대출을 원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업체당 100억 원 한도까지 대출 금리를 지원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은 대출 이자의 2%p, 중견기업은 1.5%p를 최대 8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올해 총 3200억원 상당의 기업 대출을 지원할 예정이며, 취급 은행을 기존 8개 은행에서 10개로 확대했다. 이 사업이 시작된 2022년부터 작년까지 총 69개 기업이 지원받았으며 지원 분야별로 시설자금 49개 기업(71%), 연구개발자금 19개 기업(28%), M&A 자금 1개 기업(1%) 등으로 나타났다. 신청 기업은 추천 기업 심사 및 은행 심사 등을 거쳐 대출이 집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산업부 홈페이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솔루션 및 서비스 공동 개발 비롯해 양사 보유 기술 기반 SI 프로젝트 협력 등 진행 딥핑소스와시즐이 손을 잡았다. 양사는 3월 24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딥핑소스 본사에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스마트 리테일과 스마트팩토리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산업 생태계 조성을 예고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솔루션 및 서비스 공동 개발을 비롯해 양사 보유 기술 기반의 SI 프로젝트 협력, 파트너 및 고객사 네트워크 공유,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공동 타당성 검토 등이다. 양사는 이를 기반으로 2025년을 기점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딥핑소스는 매장 내 고객의 동선과 행동 패턴, 관심 상품을 실시간 분석하는 AI 리테일테크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플러스 인사이트(PLUS INSIGHT)' 솔루션을 통해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는 방식의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롯데월드, CU 등과의 협업 경험을 기반으로 일본과 북미 시장까지 진출 범위를 넓히고 있다. 시즐은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자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이다. 제조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