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PN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팩토리 안전 관리 솔루션 I’MFACTO ESH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솔PNS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I’MFACTO ESH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위험 요소를 방지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지원하는 안전 관리 솔루션이다. 웹 기반으로 운영되며 경영(역량, 법규, 관찰), 안전(위험성 평가, 유해물질·기구, 작업 허가, 사건 보고, 개인 보호구, 환경), 보건, 비상사태, 협력사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법령 및 물질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Compliance Risk 대응이 용이하다. I’MFACTO ESH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설비 마스터 정보도 제공하여 기업이 산업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효율적인 안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코그넥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카메라 IN-SIGHT2800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코그넥스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IN-SIGHT2800은 룰베이스와 딥러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메라다. 다양한 모듈형 구성으로 조명, 렌즈, 커버 등을 조합하여 생산 현장에 맞춰 즉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Easy Builder Point-and-Click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단 두 번의 클릭만으로 조명 조건과 포커싱을 조정할 수 있어 이미지 취득을 위한 세팅이 간편하다. 이 제품은 버튼 클릭만으로 레드, 블루, 그린, 화이트 조명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최적의 이미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1.6MP 센서가 적용되어 더 작은 부품이나 상세한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으며, 직선 또는 직각으로 구성할 수 있
랩투마켓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RA 시리즈 협동 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랩투마켓이 소개한 CRA 시리즈 협동 로봇은 산업 자동화를 위한 고성능 로봇 솔루션이다. 이 시리즈는 다양한 크기와 하중 용량을 갖춘 여러 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산 환경에서 높은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각 로봇은 정밀한 위치 제어와 강력한 내구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4개의 디지털 입력 및 출력(DI/DO) 기능을 포함하고 다중 통신 프로토콜(Modbus TCP/IP, Ethernet/IP, PROFINET 등)을 지원해 공장 내 다양한 시스템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및 맞춤형 안전 기능이 적용되어 작업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동작이 가능하다. 랩투마켓은 공장이나 물류창고 등
야마하 모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Linear Conveyor Modules LCMR200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야마하 모터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Linear Conveyor Modules LCMR200은 고속 이송이 가능한 선형 컨베이어 모듈로, 차세대 생산라인 설계를 위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해당 모듈은 생산 공정 내 이동 시간을 줄이고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단순 이송 역할에서 벗어나 조립 공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운송 과정에서 생산성을 추가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LCMR200은 좁은 간격에서도 고속 이송이 가능하며, 개별 ID 인식 기능을 통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절대 위치 시스템이 완비되어 있으며, 별도의 원점 설정 과정 없이 바로 운용할 수 있다. 내장 드라이
성일기공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모터브라켓 유니트 및 베어링 조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성일기공이 선보인 모터브라켓 유니트는 고정측과 지지측으로 나뉘어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고정측은 모든 제품에 예압이 부여돼 흔들림 없이 높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서포트 유니트와 결합된 일체형 구조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고정도 로크너트와 칼라(스페이서)가 함께 제공되어 설치의 편의성을 높였다. 클린타입과 오픈타입이 모두 지원되어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 선택 가능하다. 지지측은 깊은 홈 볼 베어링과 스냅링이 함께 제공되며 댐퍼 부착형 옵션도 선택할 수 있다. 베어링 조합 방식으로는 배면조합(DB)과 정면조합(DF)이 있다. 배면조합(DB)은 작용점 거리가 길어 모멘트 하중이
원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PGC 솔루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원모션은 DH-Robotics 기반의 PGC 시리즈를 개발했다. 이 시리즈는 협력 매니퓰레이터에 사용되는 전기 그리퍼로, 높은 보호 수준,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 큰 하중 처리 등의 장점이 있다. 이 시리즈는 정밀한 힘 제어와 산업적 미학을 결합한 제품으로, 2021년에는 레드닷 어워드와 IF 어워드에서 산업 디자인 상을 수상한 기록이 있다. 원모션은 DH-Robotics Technology의 한국 공식 대리점으로, 초정밀 Pick-up Actuator, Electric Gripper, Electric Cylinder를 공급한다. DH-Robotics는 로봇 및 자동화 산업을 위한 전동 그립퍼와 지능형 그립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성능 서보 드라이브와 힘
퀀텀디자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리니어 스테이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퀀텀디자인코리아는 Zaber의 리니어 스테이지 솔루션을 제시했다. 해당 솔루션은 단일 운동 축을 따라 고정밀 포지셔닝을 제공해 고객에게 높은 편의성을 가져다주며, 다양한 길이의 드라이브 시스템과 함께 사용자 친화적인 무료버전의 API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퀀텀디자인코리아는 리니어스테이지 전문 회사인 Zaber사의 한국 단독 총판으로, Zaber사의 판매 및 A/S를 담당한다. 본 회사는 하이테크기술 상사의 기능을 수행하며, 세계 최첨단 과학기기를 제공한다. 연구 및 산업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고도의 기술력을 지원하는 기업이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디월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DVS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DVS(Digital Vision System)는 디월드가 개발한 자동 결함 검출기로, 최적의 광학 설계와 영상 처리 기술, 하드웨어 설계가 결합된 시스템이다. 인간의 결함 인식 프로세스를 알고리즘과 기술로 자동화하여 결함을 효율적으로 감지한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고객의 생산라인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디월드는 기구 설계, 전기·전장, 소프트웨어(SW), AI 기술을 통합한 머신비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제조업 및 공정 자동화를 위한 최적의 비전 검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며,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또한 딥러닝 알고리즘과 MLOps 기반 AI 기술로 복잡한 결함 검출과 품질 관리 문제를 해결하고 자
이지오피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지오피스 업무 자동화 시스템인 ESR은 EXCEL, SQL, RPA를 결합한 자동화 도구로, EZTOOLS를 통해 EXCEL 환경에서 DB 조회, 입력, 수정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익숙한 EXCEL을 통해 쉽게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추가 기능과 개발이 용이하여 효율성과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이지오피스는 실무중심의 DB 기반 업무자동화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직원 대신 소프트웨어 RPA가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지켐텍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업무자동화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이지오피스는 데이터를 추출, 복사 및 삽입하는 등의 업무를 효율
센서시스템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MBU 압력게이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센서시스템기술이 소개한 SMBU모델은 비점화방폭(Ex ec nC IIC T6...T4 Gc, IP65) 인증품으로 접액부 재질은 Hastelloy C22와 STS316L이며 접액부 표면을 EP처리하여 UHP(Ultra High Purity) 가스 시스템용으로 적합한 압력게이지이다. LED 디스플래이와 2선식 4~20mA 출력으로 원거리 신호 전송 및 현장에서 압력값 확인이 가능하다. M12커넥터를 적용하여 설치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면에 버튼 조작으로 영점, 응답속도, 단위변환, 스케일조정역시 가능하다. 센서시스템기술은 고도화된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기기 및 산업용 기기를 위한 맞춤형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지속적인 기
탑베스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 납땜 로봇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탑베스트코리아가 출시한 자동 납땜 로봇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제품으로, 실시간 납땜 공정 모니터링과 우수한 납땜 균일성으로 높은 수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로 각종 제품의 납땜에 적합하게 규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맞춤 제작이 손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탑베스트코리아는 전자 기기 및 부품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품질 중심의 제조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전자 기기와 부품을 공급한다.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
피앤티링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마더보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피앤티링크가 제시한 산업용 마더보드는 7년의 제품 수명주기를 보장하여 안정적인 운영과 효율적인 IT 자산 관리 지원하는 제품이다. 높은 내구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24/7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MIL-STD-810 환경 테스트를 통과한 설계를 자랑한다. ATX, Micro-ATX, Mini-ITX, Thin MiniX 등 다양한 폼팩터 옵션을 제공해 공간 제약이 있는 산업 환경에 적합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한, 고객 맞춤형 옵션을 제공하는 CTOS 서비스로 요구에 최적화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피앤티링크는 IT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시스템 구축, 네트워크 설계 및 보안 솔루션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스에프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물류자동화 설비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에프원이 물류자동화설비 유지보수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본 기업이 자체 개발한 팩토리닥터 시리즈는 인력 중심으로 파편화된 기술력을 학습하고 디지털화해 현장에 필요한 정보와 엔지니어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추가로 엔지니어 구독형 서비스 출시, 중소기업과 물류창고에 합리적 비용의 '찾아가는 공무팀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에프원은 물류 자동화 설비의 설계, 설치 및 유지보수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고장 예방 및 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24시간 서비스로 시스템 안정성을 지원한다. 최신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설비의 최적화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필소베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Laser Line 3D Profile Camera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필소베네에서 소개된 Laser Line 3D Profile Camera는 레이저 광원을 통한 빠른 스캔으로 고속 검사에 적합한 기계이다. 제품의 각 프로파일에는 3,840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포함되어 있어 스캔하려는 타겟의 모양을 세밀하게 렌더링 할 수 있고, FOV 별로 다양한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성비 있는 제품이다. 필소베네는 고해상도 및 고속 프레임을 지원하는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 프레임 그레버 등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10년 이상의 광학 기술 경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의료장비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자동화 및 검사 분야에서 강력한 솔루션을
멤스룩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북라이트 어슴프레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어슴프레'는 독서에 최적화된 북라이트 제품으로, 정교한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된 '매직 라이팅 플레이트(Magic Lighting Plate)'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이 북라이트의 플레이트 내부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출광 패턴이 포함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매우 투명하지만, 측면에서 입사된 빛이 대부분 한쪽 방향으로 출광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멤스룩스는 독자적인 3D 미세패턴 기술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및 조명 산업을 혁신하는 기업이다. 고유한 도광판 기술을 개발하여 백라이트 성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광학 성능을 최적화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첨단 리소그래피 기술을 활용해 차별화된 제품을 시장에 공급한다. 한편, AW 2025은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