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 시대 앞당긴다"...UNIST, 암모니아 수소 추출 기술 개발

2021.05.06 16:20:41

[헬로티]


물 전기분해 방식보다 전력 소모 3배 적어...그린수소·탄소중립 선도 기반 기술로 평가


▲(우측 하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한 UNIST의 양예진 연구원, 김정원 연구원, 조효이 연구원, 성아림 연구원, 김건태 교수. (출처 : UNIST)


국내 연구진이 액상 암모니아를 수소로 바꾸는 효율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액상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은 그린수소 시대를 앞당길 핵심 기술이다. 연구진은 최적의 공정 환경 등을 찾아낼 수 있는 새로운 분석기술까지 제시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김건태 교수팀은 액상 암모니아(NH₃)를 전기로 분해해 순도 100%에 가까운 그린수소(H2)를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제안한 분석기술로 평가한 결과 이 방식은 물 전기분해로 수소를 만들 때보다 전력 소모량이 3배나 적었다. 


수소를 운송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암모니아 합성법을 쓰는 것이다. 수소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면 1.5배 많은 수소를 운반할 수 있고 운송 중 손실이 적기 때문이다. 기존 액화 암모니아 운송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는 기술과 달리, 암모니아에서 다시 수소 뽑는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다.


연구팀은 다공성 니켈 폼(Ni foam) 전극을 이용해 액상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니켈 폼 전극 표면에서는 순환전류법(Cyclic Voltammetry)으로 고르게 도포된 촉매(백금) 입자가 있어 효율이 높다. 이렇게 합성된 전극을 액상 암모니아 넣은 뒤 전류를 흘려주면 액상 암모니아가 분해(전기분해)되면서 수소를 얻을 수 있다. 수소 순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패러데이 효율은 90% 이상이었으며, 화학반응 속도를 나타내는 전류 밀도도 500mA cm-2 이상으로 높았다. 


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가스 분석기)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가스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프로토콜을 새롭게 제시해 효율적인 암모니아 전해 공정 조건(전해액의 산성도 등)도 찾아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적용 시 1kWh의 전력으로 최대 569L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물 전기분해 대비 전력 소비량이 3배 이상 낮은 수치다. 암모니아를 쓸 때 물보다 적은 전력과 비용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음을 실증한 것이다.


양예진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암모니아 전해 환경에서 뛰어난 수소 생산 활성도를 갖는 전극 제작 공법을 썼다”며 “이 전극은 산화 및 환원 반응에서 모두 함께 쓸 수 있는 전극으로 암모니아 전해 시스템 단순화 및 구축 비용 절감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정원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암모니아 전해 구동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은 것도 의미가 크다”며 “향후 암모니아 전해 상용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건태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고효율 전극을 암모니아 전해 공정에 적용하게 된다면 암모니아 전해 수소 생산 기술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며 “암모니아, 더 나아가 폐(廢) 암모니아를 ‘CO2-free 수소’로 리사이클링하는 연구 가능성도 다각적으로 제시돼 신재생에너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했다”고 자평했다.

이동재 기자 eltred@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