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상승(원화 평가절하)에 따른 원화기준 원재료 수입물가의 급등이 지속됨에 따라, 국내 대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대기업들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이 경영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87.0%로 나타났다. ‘영향이 없다’, ‘긍정적 영향’은 각각 9.0%와 4.0%에 불과했다.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경우, 대다수 기업(93.1%)들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평균적인 영업이익률 감소폭은 9.5%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11.8% △석유화학․제품 –11.6% △바이오헬스 -11.0% △일반기계·선박 -7.0% △전기·전자 -4.8% △철강 –4.4% 순이었다.
상반기 중에도 국제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으로 대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8.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하반기에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밝힌 기업 비중은 63.0%로 나타났다. 나머지 37.0%의 기업들은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이 있는 기업들의 평균적인 가격 인상 폭은 제조원가 부담의 9.6%일 것으로 예상됐다.
주요 업종별 하반기 중 제조원가 부담의 제품 가격 반영 비율은 △석유화학·석유제품 13.6% △일반기계·선박 11.7% △전기·전자 8.1% △바이오헬스 7.5% △자동차·부품 7.2% △철강 6.9% 순이었다.
한편, 상반기 중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는 기업 비중은 49.0%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상반기 중 원재료 가격급등 부담을 자체 흡수하고 있던 기업들이 국제원자재 가격 고공행진 지속, 환율 급등, 임금 인상에 따른 채산성 압박에 시달리면서 하반기에 원가부담을 제품 가격에 일정 부분 반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약 절반인 49.0%가 내년(상반기 25.0%, 하반기 24.0%)까지로 전망했으며, 올해 연말은 23.0%, ‘기약할 수 없음’도 23.0%나 됐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에 대한 정부 정책 과제로는 △원자재 수입 관세 인하 42.3%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 안정적 원자재 수급처 확보 36.3% △정부의 원자재 비축물량 방출 11.3% △폐자원 재활용 지원 5.3% △원자재 사용 감축 공정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 4.0% △기타 0.8% 순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국내기업들은 국제원자재 고공행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인해 매출이 감소하고,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며, “주요 원자재 관세 인하, 법인세 감세 등으로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경감시켜주는 한편, 해외자원개발 등 원자재 수급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임근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