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맹추격' 한국 5G, 속도 반년 만에 100Mbps 빨라졌다

2020.10.20 17:04:39

(출처: 연합뉴스)


[헬로티]


224→336Mbps, 사우디와 격차 좁혀…서비스 가용성 20% 넘어서


고가 요금제 논란과 서비스 범위 문제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은 5G 서비스지만 꾸준히품질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반년 사이 평균 속도를 크게 끌어올리며 주요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 기록을 눈앞에 두고 있다.


20일 영국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이 올해 7~9월 세계 15개국 5G 서비스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5G 평균 속도는 336.1Mbps로 사우디아라비아(377.2Mbps)에 이어 세계 2위였다.


이는 반년 전인 올해 1~3월 조사(224Mbps)보다 112.1Mbps 빨라진 결과다.


같은 기간 사우디아라비아의 속도 증가 폭은 86Mbps에 그치면서 우리나라와의 격차는 67.2Mbps에서 41.1Mbps로 좁혀졌다.


이번 조사에서 3~10위는 호주, 대만, 스페인, 쿠웨이트, 이탈리아, 태국, 스위스 등 순이었다. 이들의 5G 평균 속도는 165.6~215.8Mbps로 1~2위와 큰 격차를 보였다.


우리나라와 5G 최초 상용화를 두고 경쟁했던 미국은 평균 속도가 52Mbps로, 조사 대상국 중 최하위인 15위에 그쳤다.


오픈시그널은 미국 내 T모바일과 AT&T 등 사업자가 3.5㎓보다 속도가 더 느린 600~850㎒ 주파수를 사용한 탓에 전체 평균 속도가 느리게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초고속 대역인 28㎓ 주파수를 상용화한 버라이즌의 5G 평균 속도는 494.7Mbps로 모든 조사 대상국과 사업자 중 가장 빨랐다.


우리나라 5G 서비스의 가용성도 이전 조사보다 상당 폭 높아졌다. 가용성은 네트워크의 서비스 범위와 무관하게 사람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장소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간의 비율을 측정한 것이다.


국가별 5G 가용성 순위는 사우디아라비아가 3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쿠웨이트 27.7%, 태국 24.9%, 홍콩 22.9%, 한국 22.2%, 미국 21.4% 등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5G 가용성은 6월 조사 결과 15% 수준에서 7%포인트 이상 높아진 것이다.


사진. 오픈시그널 홈페이지 캡처 (출처: 연합뉴스)


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하반기 주요 실내 및 공용시설과 외곽 지역에 대한 투자가 확대된다면 서비스 품질이 더 좋아질 것"이라며 "현재 상용화한 3.5㎓ 주파수와 앞으로 도입할 28㎓ 주파수의 조화로운 운용을 통해 체감 품질을 더욱 높여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희 기자 jjang@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