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글로벌 경기 둔화에 코로나19까지 ‘엎친 데 덮친 격’

2020.05.26 19:44:24

[헬로티]


코로나19 바이러스 전부터 글로벌 경기를 좋지 않았고, 공작기계 시장도 그 영향권 안에 있었다. 코로나19는 이러한 둔화세를 더욱 밑으로 침전시켰다.


미국의 2020년 2월 수주량은 2억7788만 달러로 전월대비 3.3% 증가했다. 일본은 2개월 연속 하락세를 겪고 있다. 대만의 2020년 2월 수출량은 1억45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1.3% 감소했다.


1. 미국, 수주량 전월비 3.3% 증가


2020년 2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2억7788만 달러로 전월(2억6907만 달러)대비 3.3% 증가했다. 전년동월(3억3265만 달러)대비로는 16.5% 감소한 금액이다. 2020년 1~2월 총 수주량은 5억4695만 달러로, 전년(7억4143만 달러)대비 26.2% 감소했다.


미국제조기술협회(이하 AMT)는 코로나19에 따른 팬데믹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했다.


더글라스 케이 우즈(Douglas K. Woods) AMT 회장은 “팬데믹이 선언되기 전, 우리는 공작기계 시장이 올해 상반기 저조한 성적을 거둘 것이며 하반기 정도에 하락세가 풀릴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코로나19 영향으로 이러한 예측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시장 반등은 반드시 오지만 그 시기가 늦어질 것임에는 이견이 없다.

더글라스 회장은 “다만 일부 투자는 계속되는 상황이다. 미래 제조업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공기 여과 장비, 의료 장비, 자동화, 제약, PPE(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국방 등의 분야로 제품 및 솔루션 확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공급망은 팬데믹, 경제 위기, 군사 갈등의 상황에서 필요한 제품과 장비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번 팬데믹은 부족했던 다각화 전략의 결과가 위기로 분명히 드러났다고 AMT측은 설명했다.


더글라스 회장은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국가 기반의 공급망 방식이 위기 상황에서 문제점이 있음이 증명됐다. 따라서 미국 내 자체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작기계 품목별로 보면 절삭기계 수주는 2억6972만 달러로 전월(2억6249만 달러)대비 2.8% 증가했다. 전년동월(3억2483만 달러)대비로는 17.0% 감소했다.


성형기계 수주는 816만 달러로 전월(658만 달러)대비 24.0% 증가했다. 전년동월(782만 달러)대비로도 4.3% 증가했다.


▼ 2020년 2월 미국 공작기계 수주 현황 (Total U.S. Manufacturing Technology Orders Through February 2020)

<자료 : 미국제조기술협회(AMT)>


2. 일본, 수주량 전월비 4.4% 감소


2020년 2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772.2억 엔으로 전월대비 4.4% 감소했다. 1월 이후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29.6% 감소했다. 전년동월 기준으로 17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번 달 역시 1000억 엔 벽을 넘지 못했다. 7개월 연속이다.


일본공작기계협회는 “공작기계 시장은 저조한 성적이 계속되고 있다. 투자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이 크다. 이러한 흐름은 국내외적으로 몇 달 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면밀히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수수주는 319.9억 엔으로 전월대비 8.1% 상승했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3.2% 감소했다. 전년동월 기준으로 15개월 연속 하락세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24.7%, 자동차 업종이 0.5% 증가했다. 반면, 항공기·선박·물류 업종은 52.0%, 전기·정밀기계 업종은 2.1% 감소했다.


수출수주는 452.3억 엔으로 전월대비 11.7% 감소했다.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3.6% 감소했다. 전년동월 기준으로 17개월 연속 하락세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이 전월대비 17.0% 감소한 161.9억 엔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40.2% 감소한 금액이다. 유럽은 전월대비 11.7% 감소한 109.2억 엔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9.7% 감소했다. 북미는 전월대비 4.6% 감소한 173.4억 엔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18.6% 감소한 수치다.


▼ 2020년 2월 일본 공작기계 수주 현황

<자료 : 일본공작기계협회(JMTBA)>


3. 대만, 수출량 전월비 21.3% 감소


대만의 2020년 2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45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1.3%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19.3% 감소한 수치다.

절삭기계는 1억14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8.0% 감소했다. 성형기계는 전월대비 19.3% 감소한 3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만의 2020년 1∼2월 공작기계 수출은 3억3100만 달러로 전년대비로는 28.9% 감소했다. 절삭기계는 2억74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9.1% 감소했고, 성형기계 또한 57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7.8% 감소했다.

조상록 기자 mandt@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