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 2020년 출발, 신흥국 수출 덕에 ‘Not Bad’

2020.05.06 10:02:51

[첨단 헬로티]


2020년 국내 공작기계 산업의 시작은 그렇게 나쁘지 않은 편이다. 1월 수주가 소폭 감소했지만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기대해볼만한 부분은 베트남, 인도 등 신흥국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다. 당분간 이러한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1.3% 감소한 1503억원이다. 수출은 1억68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4.4% 감소했다. 수입은 72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3.2% 감소했다. 생산은 1575억원으로 전월대비 19.3% 증가했다. 출하는 1600억원으로 전월대비 18.2% 감소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2020년 1월 기준,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2억6937만 달러로 전월(3억9875만 달러)대비 32.4%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34.0% 감소했다. 일본은 807.7억 엔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5.6% 감소했다. 대만은 전월대비 26.6% 감소한 1억85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35.1% 감소했다.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20년 1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을 토대로 작성됐다. 


1. 수주


2020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10.8% 증가한 166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38.8% 감소한 금액이다. 내수 수주는 803억원으로 전월대비 37.6%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33.2% 감소했다. 수출 수주는 863억원으로 전월대비 6.2%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도 43.2% 감소했다.


12월 공작기계 시장은 설연휴에 따른 조업일 감소와 개소세 인하 종료 등으로 생산, 수주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수출 또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신흥국인 인도, 베트남의 수출은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발표 600대 기업의 2020년 1월 BSI(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는 89.3으로 조사되어 57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2월 기업경기 BSI 전망치는 92.0으로 지난달 전망치(90.3) 보다 소폭 개선된 수치이나 여전히 기준선을 한참 밑도는 수치다.



2020년 1월 품목별 수주를 보면,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8.4% 증가한 1548억원을 기록했다. 성형기계도 전월대비 159.2% 증가한 85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범용절삭기계는 전월대비 21.2% 감소한 33억원을 기록했다.


NC절삭기계 가운데 NC선반은 전월대비 27.8% 증가한 701억원을, 프레스는 204.7% 증가한 79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머시닝센터는 1.3% 감소한 569억원을 기록했다.


보링기(NC포함)는 전월대비43.9% 감소한 89억원을, 범용선반은 38.1% 감소한 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연삭기(NC포함)는 97.4% 증가한 29억원을, 밀링기(NC포함)는 16.8% 증가한 20억원을 기록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2020년 1월 수주가 303억원으로 전월대비 18.5% 증가, 전년동월대비 51.4% 감소했다. 일반기계(185억원, +64.3%), 전기·전자·IT(163억원, +67.4%), 철강·비철금속(37억원, +150.7%), 정밀기계(31억원, +56.9%), 조선·항공(13억원, +268.3%), 금속제품(7억원, +25.7%) 업종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2. 생산과 출하


2020년 1월 공작기계 생산은 1575억원으로 전월대비 19.3%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19.8% 감소했다. 출하는 1600억원으로 전월대비 18.2%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24.9% 감소했다.



품목별 생산에서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22.6% 증가한 1379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성형기계는 11.0% 증가한 173억원을 기록했으나, 범용절삭기계는 41.9% 감소한 22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머시닝센터(572억원, +62.6%), NC선반(554억원, +23.5%), 프레스(171억원, +11.8%)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선반(0.6억원, -70.5%)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3. 수출


2020년 1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68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4.4%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20.4% 감소했다.


주요 수출 국가를 보면(2020년 1월 기준), 인도가 전년동기대비 50.7% 증가한 3400만 달러로 1위, 베트남이 102.5% 증가한 3100만 달러로 2위다. 이어 중국은 전년동기대비 16.8% 증가한 2600만 달러로 3위다. 미국은 63.6% 감소한 2200만 달러, 독일은 54.3% 감소한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에서는 NC절삭기계(9900만 달러, -28.4%), 성형기계(5700만 달러, -14.0%), 범용절삭기계(1100만 달러, -32.4%)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절삭기계 중 NC선반(3600만 달러, -21.3%), 머시닝센터(2300만 달러, -37.7%) 등이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NC전용기(200만 달러, +222.1%) 전월대비 증가했다.


밀링기(NC포함/200만 달러, -9.2%), 범용선반(200만 달러, -4.7%), 보링기(NC포함/100만 달러, -34.9%), 연삭기(NC포함/100만 달러, -68.6%) 모두 전월대비 감소 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3600만 달러, +39.4%)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1300만 달러, -0.6%), 절곡기(400만 달러, -64.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을 보면, 아시아 지역은 전월대비 17.0% 감소한 1억100만 달러를, 유럽은 전월대비 44.6% 감소한 3200만 달러를, 중남미는 45.9% 감소한 300만 달러를, 북미는 22.3% 감소한 2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 중 중국(2600만 달러, -63.8%)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베트남(3100만 달러, +104.0%), 인도(3400만 달러, +178.0%), 태국(300만 달러, +11.6%)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북미 지역의 미국(2200만 달러, -22.5%)은 전월대비 감소하였으며, 중남미 지역의 멕시코(200만 달러, -58.2%) 또한 전월대비 감소했다.


유럽 지역 중 독일(1000만 달러, +28.8%), 폴란드(400만 달러, +98.2%), 러시아(300만 달러, +148.6%)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터키(400만 달러, -64.0%), 이탈리아(300만 달러, -60.6%), 영국(300만 달러, -5.7%)는 전월대비 감소 했다.


4. 수입


2020년 1월 공작기계 수입은 72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3.2%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는 20.7% 감소했다.



품목별 수입을 보면, NC절삭기계(5000만 달러, -3.0%), 성형기계(1000만 달러, -51.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절삭기계(1100만 달러, +15.8%)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절삭기계 중 머시닝센터(1100만 달러, +16.4%)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NC선반(600만 달러, -34.3%)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NC포함/800만 달러, -15.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NC포함/300만 달러, +27.1%), 보링기(NC포함/100만 달러, +50.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절곡기(400만 달러, -47.3%), 단조기(100만 달러, -71.8%), 프레스(100만 달러, -68.0%) 모두 전월대비 감소 했다.


지역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700만 달러, -19.8%), 북미(200만 달러, -56.7%) 지역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2300만 달러, +17.2%) 지역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아시아 지역의 1월 공작기계 수입에서 일본(2700만 달러, -29.1%)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중국(1400만 달러, +7.4%), 대만(400만 달러, +10.5%)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1400만 달러, +213.7%)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이탈리아(200만 달러, -65.0%), 스위스(200만 달러, -29.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조상록 기자 mandt@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