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조사 결과, 일본 불매 운동 관심 여전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일본 불매 운동의 열기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여전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는 6일,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일본 불매 운동’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는 개인이 포스팅에 관여할수 없는 언론사 ‘뉴스’를 제외한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지식인, 기업/단체, 정부/공공’ 등 11개 채널을 대상으로 올 1~4월 4개월 동안 ‘일본 불매’ 키워드 정보량을 조사했다.
감염병 시국으로 ‘여행’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키워드는 조사에서 제외했으며 감염병으로 인한 포스팅과 분리하기 위해 ‘No 아베’, ‘No Japan’ 등도 제외하고 오직 ‘일본 불매’ 키워드만 집계했다.
조사 결과 일본 불매 포스팅 수는 1월 1만9498건에서 2월에는 전월 대비 4.71% 늘어난 2만 416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달 18일 31번째 확진자가 발생한데다 날짜 수가 평월 대비 1~2일 모자란 윤달(29일)임에도 불구하고 1월에 비해 게시물 수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3월 들어서는 대구 신천지 교인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며 한국에 대해 문을 닫는 나라들이 급증하다가 월 후반에는 상황이 되레 역전되는 등 감염병 관련 극적인 뉴스들이 봇물을 이루면서 ‘일본 불매’ 연관 포스팅 수는 다소 줄어들었다.
3월의 일본 불매 운동 정보량은 2월에 비해 2718건 13.31% 줄어든 1만7698건을 보였다.
4월 들어서는 코로나19속 ‘21대 총선’이 이뤄지면서 3월 대비 1429건 8.07% 줄어든 1만6269건을 기록했다.
연구소는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와중에서도 3월에 비해 전월비 감소율이 줄어든 것은 긍정적이라고 바라봤다.
연구소 관계자는 “2~4월 초대형 뉴스가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에서도 일본 불매 포스팅 수가 큰 변동 없이 2만 건 안팎을 보인 것을 볼 때 아베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반 일본 정서가 뿌리 깊게 자리매김했다”며 “코로나19가 진정되면 감염병에 가려져있던 불매운동이 재부각되며 최소한 내년 7월 도쿄올림픽 때까지 강하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또한, 그는 “감염병 사태로 한국의 위상은 높아지고 일본의 민낯이 공개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 국민의 지속적인 방사능 문제 제기와 어우러진다면 내년 도쿄올림픽은 재차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