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중심의 설비투자 편중 여전히 높다...신성장 동력 분야 발굴해야
산업은행이 국내 3,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비투자계획 조사결과, 2019년 잠정실적은 2018년 167.7조원 대비 1.4% 감소한 165.3조원, 2020년 전망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69.0조원으로 조사되어 3년만에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이는 그간 설비투자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국내외 경기가 다소 나아질 것이라는 주요기관의 전망 속에 향후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나, 추세적인 상승으로 이어질지는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형 자동차 개발과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투자, 석유화학업계의 원료 다변화를 위한 설비투자 증가가 주요 산업별 상승요인으로 예상되며, 반도체의 경우 2020년에는 메모리 가격의 하락세 진정과 비메모리 반도체 투자추진, 5G서비스 확대 등으로 전년 수준의 설비투자가 진행될 전망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경우 중국의 LCD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조정으로 그간 설비투자 규모 감소하였으나, QD-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신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결정이 확정되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2019년 큰 폭으로 감소하였던 중소·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위축세가 2020년에는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를 향후 설비투자 확대로 이어가기 위한 여건조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중심의 설비투자 편중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특정 업종에 치우친 리스크 완화를 위해 전자부품 이외 새로운 성장동력 분야의 발굴이 필요해 보인다.
설비투자, 대기업 “증가세” 중견·중소기업 “하락폭 축소”
산업은행이 발표한 설비투자계획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0년 설비투자 계획은 169.0조원으로 이는 2019년 잠정실적 165.3조원 대비 2.2% 증가할 전망이다. 2017년 이후 설비투자 규모 축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미래형 자동차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상승 전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128.7조원, 중견기업 24.2조원, 중소기업 16.1조원의 설비투자가 전망된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2019년 3.3% 증가에 이어 2020년에도 4.5% 증가할 것이며, 중견기업은 2019년 11.3% 감소하였으나, 2020년에는 3.2% 감소로 하락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측됐다. 중소기업 역시 2019년 15.3% 감소하였으나, 2020년에는 5.8% 감소로 하락폭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92.9조원, 비제조업 76.1조원으로 전망된 가운데, 제조업은 2019년 2.8% 감소하였으나, 2020년에는 1.5% 증가하고, 비제조업은 2019년 0.4% 증가에서 2020년에는 3.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에 대한 인식 및 대응 전략에 따라 기업규모별 설비투자 변동방향이 다르며, 기저효과 등이 반영되면서 2020년 대기업은 증가세가 유지되고, 중견·중소기업의 하락폭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표1. 2020년 설비투자 계획 전망 <출처: 산업은행>
업종별 설비투자, 반도체-자동차-화학제품 순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제조업 설비투자 규모는 전년 대비 2.8% 감소한 91.5조원이며, 전체 설비투자 대비 비중은 0.7% 감소한 55.4%로 나타났다. 업종별 투자규모는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 업종이 54.2조원으로 설비투자 총액의 3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7.9조원, 4.8%)와 화학제품(7.9조원, 4.8%) 순으로 집계됐다.
2020년 제조업의 설비투자 계획은 2019년 실적 대비 1.5% 증가한 92.9조원이며, 비중은 0.4% 감소한 55.0%로 나타났다. 투자규모는 전기전자 업종(53.9조원)이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8.7조원)와 화학제품(7.9조원) 등이 상위 업종을 보이고 있다. 최근의 설비투자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영되면서 자동차를 비롯한 주요업종 대부분에서 보합 내지 상승세를 보여줄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표2.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 <출처: 산업은행>
반도체의 경우, 2018년까지의 집중적인 설비투자에 따른 기저효과로 조정이 예상되었으나, 업계의 투자 지속으로 2019년 설비투자는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메모리 가격의 저점 통과, 5G 서비스 확대, 데이터센터 투자 재개 등 투자환경이 개선 중이고, 우호적으로 변화하는 투자환경하에 비메모리 반도체 관련 투자추진 등으로 2020년에도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수준으로 설비투자가 진행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중국의 LCD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조정으로 그간 설비투자 규모 감소하였다. QD-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신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결정이 확정되지 않아 당분간 큰 폭의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관련 업계 의사결정이 확정될 경우 변동 가능성 있다고 보고서는 내다보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2018~2019년 내수경기 부진 등으로 설비투자가 감소하였으나, 2020년에는 기저효과와 신차출시,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형 자동차개발 등 지속적인 투자 증가가 전망됐다.
그림1. 제조업 설비투자 증가율 <출처: 산업은행>
제조업 투자동기별 설비투자 “규모 확장”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투자동기별 설비투자는 2019년 전반적인 설비투자 감소에서 2020년 증가세로 전환됐다. 2019년 제조업 분야의 동기별 설비투자 규모는 설비확장 36.6조원(40.0%), 신제품 생산 30.1조원(32.9%), 유지보수 11.9조원(13.0%), 연구개발 5.5조원(6.0%)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은 설비확장 37.3조원(40.2%), 신제품생산 29.9조원(32.2%), 유지보수 12.3조원(13.3%), 연구개발 5.4조원(5.9%) 순이었다.
2019년 투자동기별 대부분 부문에서 투자금액의 감소를 보였으나, 2020년에는 신제품 생산과 연구개발 분야를 제외하고 대부분 분야에서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특히, 2020년 제조업 투자동기중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는 생산능력확충(72.4%)중 신제품생산 관련 투자는 감소(△0.6%)하는 반면, 설비확장 부문의 투자를 확대(1.9%)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표3. 투자동기별 설비투자 <출처: 산업은행>
설비투자 확대 요인은?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시설 개선이 설비투자 확대의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시 설비투자를 확대시킨 기업의 주요 요인은 노후시설 개선(38.4%), 선행투자(21.7%) 및 국내 수요증가(19.8%) 대응 순이었다.
그림2. 설비투자 확대요인 <출처: 산업은행>
대기업은 신규사업 진출이 중견·중소기업 대비 높으며, 중견·중소기업은 국내 수요 증가, 수출수요 증가에 대비하는 시장 대응적인 투자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노후시설 개선 용도의 설비투자 비중이 가장 높아 신규 도입보다는 기존 설비 개선 선호가 여전했다.
그림3. 기업규모별 설비투자 확대요인 비교(2019년 하반기) <출처: 산업은행>
설비투자 부진요인은?
보고서는 설비투자 부진요인에 대해 수요부진과 불확실한 경기전망이 설비투자를 위축시킨다고 봤다. 2019년 하반기 조사에서 수요부진(37.1%)과 불확실한 경기전망(26.8%)에 대한 응답비중이 증가한 반면, 자금조달난(18.8%)과 기존 설비과잉(11.1%)에 대해 응답한 비중은 감소했다. 수요부진과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는 증가하는 반면, 자금조달과 기존 설비과잉에 대한 우려는 감소했다.
그림4. 설비투자 부진요인 <출처: 산업은행>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수요 부진과 불확실한 경기전망이 설비투자를 가장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설비투자 부진의 큰 요인으로 응답했다.
그림5. 기업규모별 설비투자 부진요인 비교(’19년 하반기) <출처: 산업은행>
신성장 동력 분야의 발굴해야
올해 국내외 경기 반등 움직임에 따라 설비투자도 반등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중무역 분쟁, 브렉시트 및 중국 성장 둔화가능성 등 비우호적인 환경속에서도 2020년 국내외 경기는 2019년보다 다소 나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표4. 국내외 경제 전망 <출처: 산업은행>
설비투자는 2017년 큰 폭의 상승을 기록한 후, 국내외 경기불안정 등 투자여건 악화로 대규모 감소한 이후 이번 조사에서 2020년 반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2020년 설비투자 반등이 일시적 반등에 그치지 않고, 추세적 상승으로 전환할 것인지는 다소 시간을 두고 관찰한 필요가 있다.
표5. 설비투자 추이 및 전망 <출처: 산업은행>
주목할만한 것은 중견‧중소기업의 설비투자 위축세가 완화됐다는 점이다. 2019년 큰 폭으로 감소하였던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설비투자가 2020년에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나, 감소폭은 상당히 축소될 전망이다. 중견·중소기업의 설비투자 위축세 완화가 향후 설비투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여건조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그러나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중심의 설비투자 편중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설비투자 비중은 2019년 30.8%에서 2020년 29.9%로 소폭하락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리스크 완화를 위해 전자부품 이외 새로운 성장 동력 분야의 발굴이 필요하다.
표6.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종의 설비투자 비중 <출처: 산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