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Bechtel사, SIMATIC WinCC V7로 우유 생산 경로 투명화

2018.12.11 09:28:09

[첨단 헬로티]


독일 슈바르젠펠트에 위치한 ‘Bechtel 낙농회사’에서 우유는 생명줄과 같다. 매일 150만 킬로그램에 달하는 ‘순백의 보석’이 여러 우유 관로를 따라 저장 탱크로 흘러 들어간다. 100년이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이 회사는 꾸준히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회사가 성장하는 동안, 제어 자동화 시스템의 종류도 역시 다양하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Bechtel은 통합/표준화된 단일 제어 시스템을 통한 생산 공정 현대화를 결정했다.


▲ 토마스 벅스 planemos GmbH 관리이사는 “우리는 SIMATIC WinCC를

기반으로 한 통합 솔루션을 구현해냈다. 이 솔루션은 MES에 등록된 공정 및

공장 데이터부터 일괄처리 관련 정보, 소비 자료, 재고 자료 및 유지관리 대

책까지 모든 관련 정보를 간단히 네트워크화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ERP)으로 연결해 준다. 따라서 고객의 생산 품질과 효율성을 현저히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생산과정 모니터링


Bechtel은 자사의 경영 이념인 ‘무결점 생산’을 더욱 쉽고 빠르게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최근에 설치한 ‘생산관리시스템’(MES, 모든 실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매핑하는 시스템)을 유지하기를 원했다.


Bechtel사 품질/공정관리사업부 관리자인 마틴 밀러는 “우리는 마스터 데이터 저장소나 인터페이스는 원치 않는다. 그래야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높은 유연성을 유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훨씬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유연한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 솔루션은 지멘스의 솔루션 제휴사인 planemos GmbH가 구현했다. 자동화를 전문으로 하는 이 업체에서는 대대적인 비교 작업을 거쳐 SIMATIC WinCC V7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SCADA 솔루션을 선택했다. SIMATIC WinCC / Industrial DataBridge를 이용한 통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해당 솔루션을 선택한 결정적 이유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써 기존 MES 데이터베이스를 신규 시스템에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투명한 공정 


새 솔루션의 핵심 강점은 높은 투명성이다. 이는 WinCC V7 HMI 시스템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이 시스템은 모든 공정을 시각화하기 때문에 각 공정을 제어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해준다. WinCC V7은 이렇게 모든 관련 값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트렌드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값들을 분석하며, 요청 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데이터 영속성


SIMATIC WinCC V7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거의 영속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Bechtel은 이제 통합 SIMATIC Process Historian 덕분에 공정 데이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즉, 정보 데이터와 SIMATIC Information Server에 등록된 정보 모두를 최대 5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생산 데이터를 몇 년 후에도 완벽하게 온전히 추적할 수 있다. Bechtel의 품질 관리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개방적 시스템


또한 새 시각화 시스템은 다양한 종단 기기에 열려 있다. SIMATIC WinCC / WebUX를 통해 정보를 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모니터 및 모바일 기기 모두에서 접속 가능). 따라서 Bechtel은 언제든 원하는 생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WinCC V7의 강점] 

• 생산 최적화 가능

• 투명한 데이터 관리 가능

• 제품 오류 위치 파악 가능

• 위치와 무관하게 정보 검색 가능

• 효율적인 생산 대응 가능

• 생산성 및 품질 향상 가능

• 동종 제어 시스템 환경의 간단한 확장 가능


결론


균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덕분에 Bechtel의 생산 공정은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결국 Bechtel은 생산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유휴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관리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은 관리자들이 의사 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Bechtel은 이제 새로운 요구에 더 빠르고 과감하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