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2018년 6월에는 시장 위축 구간을 지났다. 그간 발목을 잡았던 내수 수주도 프로젝트성 수주 발생으로 인해 일시적이나마 상승했고, 수출 수주는 미국의 지속적인 호조 및 유럽의 제조업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이어 갔다.
6월 공작기계 수주는 2,862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8% 감소한 2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6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한 12억3,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7.0% 감소한 9,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6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7.3% 감소한 6억3,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6월 기준 1,593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월대비 6.7%, 전년동월대비 11.4%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6월 기준, 전월대비 13.8%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4.6% 증가한 4억1,7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6월 기준 전월대비 2.6%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29.1% 증가한 3억4,9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25.6% 증가한 2,8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 또한 25.0% 증가한 금액이다. 내수 수주는 1,359억원으로 전월대비 42.0%, 전년동월대비 8.3% 증가했다. 수출 수주은 1,502억원으로 전월대비 13.7%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45.1% 증가했다. 6월 내수 수주가 일시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시장 위축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 ~ 6월 수주는 1조5,34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했다. 내수 수주는 7,31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하였으나, 수출 수주는 8,028억원으로 35.2% 증가했다.
전경련 발표 600대 기업의 2018년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0.7로 100선을 하회했다. 17개월 만에 최저치를 갱신하였다. 6월 실적치는 91.9로 나타나 2015년 5월부터 38개월 간 기준선 아래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2018년 6월 품목별 수주를 보면,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28.2% 증가한 2,773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범용절삭기계는 전월대비 3.1% 감소한 64억원을, 성형기계는 49.6% 감소한 25억원을 기록했다. NC절삭기계 가운데 NC선반은 전월대비 11.4% 증가한 1,139억원을, 머시닝센터는 14.1% 증가한 960억원을 기록했다.
보링기(NC포함)는 전월대비 20.5% 감소한 53억원, 연삭기(NC포함)는 44.9% 감소한 14억원을 기록했다. 밀링기(NC포함) 또한 18.2% 감소한 19억원을 기록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조선·항공, 자동차, 정밀기계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 2018년 6월 자동차 산업 실적은 전년동월대비 생산이 12.2%(33만6,183대 생산), 수출이 7.7%(21만8,874대 수출) 감소했다. 생산 감소는 일부 모델 생산 중단, 국산차의 내수와 수출 부진 등이 원인이다. 수출 감소에는 미국 시장 수출 감소, 현지 생산 본격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일반기계(221억원, -10.5%), 철강·비철금속(24억원, -62.2%), 전기·전자·IT(148억원, -0.1%), 금속제품(17억원, -47.6%) 업종은 감소한 반면, 조선·항공(35억원, +18.4%), 자동차(775억원, +127.5%), 정밀기계(52억원, +183.7%) 업종은 증가했다.
▲ 공작기계 수주
▲ 품목별 공작기계 수주
2. 생산과 출하
2018년 6월 공작기계 생산은 2,272억원으로 전월대비 5.8%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1.7% 감소했다. 출하는 2,344억원으로 전월대비 5.9% 감소했고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0.8% 감소했다.
1~6월 공작기계 생산은 1억2,95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 감소했으며, 출하는 1억4,453억원으로 2.7% 증가했다. 품목별 생산에서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5.2% 감소한 2,073억원을, 범용절삭기계는 15.3% 감소한 45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선반(888억원, -3.5%), 머시닝센터(913억원, -5.6%)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 공작기계 생산·출하
3. 수출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출은 2억2,000만 달러로 전월대비 5.1%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7.8% 감소했다. 1~6월 수출은 12억3,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했다. 수출 시장을 보면 미국은 중국과 무역 분쟁이 이슈가 있지만 오일&가스 관련 설비투자는 여전히 호조세이다. 유럽은 독일, 이탈리아 등 전반적인 산업에서 경기회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수출 효자 국가인 베트남의 경우 국내 기업의 설비 이전 종료에 따라 수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수출 3위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 수출에서는 NC절삭기계(1억7,600만 달러, +7.2%), 범용절삭기계(1,300만 달러, +10.4%)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성형기계(3,300만 달러, -7.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머시닝센터(6,100만 달러, +10.9%)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NC선반(7,400만 달러, -1.8%)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NC포함/600만 달러, +102.0%), 밀링기(NC포함/300만 달러, +20.8%), 보링기(NC포함/300만 달러, +52.4%)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범용선반(50만 달러, -9.3%)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는 프레스(1,700만 달러, -3.0%), 절곡기(700만 달러, -3.1%), 단조기(80만 달러, -73.0%)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을 보면, 아시아 지역은 전월대비 14.3% 증가한 1억1,400만 달러를, 중남미는 38.1% 증가한 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유럽은 1.5% 감소한 6,000만 달러를, 북미는 8.2% 감소한 3,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 중 중국(4,800만 달러, +14.3%), 인도(1,000만 달러, +9.7%)는 베트남(4,100만 달러, +17.8%)지역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북미 지역에서 미국(3,600만 달러, -6.7%)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중남미 지역의 멕시코(600만 달러, +109.3%)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2,000만 달러, -10.7%), 러시아(200만 달러, -26.6%), 터키(500만 달러, -14.7%)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반면 이탈리아(1,400만 달러, +15.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 공작기계 수출
▲ 품목별 공작기계 수출
4. 수입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입은 9,3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37.0% 감소했다.
품목별 수입을 보면, NC절삭기계(6,700만 달러, +12.4%), 범용절삭기계(1,100만 달러, +15.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500만 달러, -41.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절삭기계 중 NC선반(800만 달러, +26.4%), 머시닝센터(1,300만 달러, +2.7%)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밀링기(500만 달러/NC포함, +486.1%), 범용선반(100만 달러, +53.7)도 전월대비 증가했다. 반면 연삭기(1,000만 달러/NC포함, -0.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프레스(500만 달러, +20.5%)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전단기·펀칭기·낫칭기(200만 달러, -52.3%), 절곡기(500만 달러, -39.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18년 1~6월 지역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억300만 달러, -7.7%), 유럽(2억100만 달러, -6.7%), 북미(2,100만 달러, -31.3%)지역 모두 전년대비 감소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4,100만 달러, +16.4%), 대만(600만 달러, +2.4%)은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중국(1,100만 달러, -11.1)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900만 달러, +11.3)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스위스(800만 달러, -46.1), 이탈리아(200만 달러, -38.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900만 달러, -63.1%), 이탈리아(300만 달러, -16.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스위스(1,500만 달러, +105.1%)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 공작기계 수입
▲ 품목별 공작기계 수입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18년 6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본 기사는 [머신앤툴 2018년 9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