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5월)
2018년 5월도 공작기계 수주량은 감소했다. 두 달 연속이다. 발목을 잡은 건 내수 시장이다. 수출 수주의 경우 미주·유럽 시장 경기 호조 영향으로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내수 수주는 영업일수 및 자동차 생산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를 보였다. 5월 수주는 2,278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0.1% 증가한 2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5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한 10억1,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7.3% 감소한 9,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5월 기준, 1,492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년동월대비 14.9%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5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38.0% 증가한 4억8,549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5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18.4% 증가한 3억4,9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18년 5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1. 수주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5.0% 감소한 2,2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로도 16.5% 감소한 금액이다. 내수 수주는 957억원으로 전월대비 17.4%, 전년동월대비 42.0% 감소했다. 수출 수주은 1,321억원으로 전월대비 6.6%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22.6% 증가했다.
5월 수주는 수출 수주와 내수 수주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수출 수주는 미주·유럽 등의 경기 호조에 힘입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 반면 내수 수주는 지난해 IT 분야 대규모 투자 및 산업 위축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방선거 등에 따른 영업일수 감소 및 자동차 생산량 감소도 내수 수주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전경련 발표 600대 기업의 2018년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5.2으로 100선을 하회했다. 5월 실적치는 95.5으로 나타나 2015년 5월부터 37개월 간 기준선 아래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2018년 5월 품목별 수주를 보면,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4.4% 감소한 2,163억원을 기록했다. 범용절삭기계 또한 전월대비 36.4% 감소한 66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성형기계는 52.9% 증가한 49억원을 기록했다.
NC절삭기계 가운데 NC선반은 전월대비 0.5% 감소한 1,022억원을, 머시닝센터는 15.4% 감소한 841억원을 기록했다.
보링기(NC포함)는 전월대비 46.1% 감소한 66억원, 연삭기(NC포함)는 19.5% 증가한 25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밀링기(NC포함)는 4.2% 증가한 23억원을 기록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5월 수주가 341억원으로 전월대비 18.4% 감소했다.
* 2018년 5월 자동차 산업 실적은 전년동월대비 생산(-1.3%), 수출(-2.2%)이 전년동월대비 감소했지만 2월부터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특히 친환경 차량, 스포츠 다목적차량(SUV) 등의 수출 증가와 미국·중국으로의 부품 수출 증가로 자동차(1.9%)와 자동차부품(14.7%) 전년 동월대비 모두 증가했다.
일반기계(247억원, -9.9%), 전기·전자·IT(148억원, -31.1%), 금속제품(33억원, -35.5%), 조선·항공(29억원, -13.6%), 정밀기계(18억원, -15.2%)업종은 감소한 반면, 철강·비철금속(63억원, +3.3%)업종은 증가했다.
▲ 공작기계 수주
▲ 품목별 공작기계 수주
2. 생산과 출하
2018년 5월 공작기계 생산은 2,412억원으로 전월대비 2.1%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14.3% 증가했다. 출하는 2,492억원으로 전월대비 0.3% 감소했으나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6.6% 증가했다.
1~5월 공작기계 생산은 1억68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 감소했으며, 출하는 1억2,109억원으로 3.3% 증가했다.
품목별 생산에서 NC절삭기계는 전월대비 2.9% 증가한 2,187억원을, 범용절삭기계는 19.8% 감소한 53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선반(920억원, -1.0%)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머시닝센터(966억원, +6.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 공작기계 생산·출하
3. 수출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출은 2억1,000만 달러로 전월대비 3.2%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0.1% 증가했다. 1~5월 수출은 10억1,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했다.
품목별 수출에서는 NC절삭기계(1억6,400만 달러, +15.8%)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범용절삭기계(1,200만 달러, -46.6%), 성형기계(3,300만 달러, -36.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선반(7,600만 달러, +1.5%), 머시닝센터(5,500만 달러, +16.7%)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범용선반(50만 달러, -42.3%), 연삭기(NC포함/300만 달러, -64.7%), 밀링기(NC포함/300만 달러, -12.4%)는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보링기(NC포함/200만 달러, +18.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는 절곡기(800만 달러, +28.2), 단조기(300만 달러, +55.5%)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프레스(1,700만 달러, -45.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을 보면, 아시아 지역은 전월대비 2.5% 증가한 1억 달러를, 북미는 2.2% 증가한 3,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유럽은 14.1% 감소한 6,100만 달러를, 중남미는 20.1% 감소한 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 중 중국(4,100만 달러, -20.6%), 인도(900만 달러, -18.7%)는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베트남(3,500만 달러, +75.4%)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북미 지역에서 미국(3,900만 달러, +1.3%) 및 중남미 지역의 멕시코(300만 달러, +38.2%)는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2,300만 달러, +1.9%), 러시아(300만 달러, +44.7%), 터키(600만 달러, +2.1%)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이탈리아(1,200만 달러, -52.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 공작기계 수출
▲ 품목별 공작기계 수출
4. 수입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입은 9,5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7.9% 감소했으며,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27.3% 감소했다.
품목별 수입을 보면, NC절삭기계(5,900만 달러, -26.4%), 범용절삭기계(900만 달러, -41.2%)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2,600만 달러, +49.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NC절삭기계 중 NC선반(600만 달러, -33.7%), 머시닝센터(1,300만 달러, -48.9%)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밀링기(80만 달러/NC포함, -81.1%), 연삭기(1,000만 달러/NC포함, -33.3%), 범용선반(60만 달러, -60.8%)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400만 달러, +26.7%), 절곡기(800만 달러, +20.7%), 프레스(400만 달러, +30.4%)는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2018년 1~5월 지역별 수입에서는 유럽(1억7,600만 달러, +7.4%)이 전년대비 증가했으나, 아시아(3억3,800만 달러, -2.4%)와 북미(1,800만 달러, -27.4%)지역은 감소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3,500만 달러, -27.5%), 대만(600만 달러, -23.0%)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중국(1,200만 달러, +44.9%)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900만 달러, -63.1%), 이탈리아(300만 달러, -16.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스위스(1,500만 달러, +105.1%)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 공작기계 수입
▲ 품목별 공작기계 수입
<본 기사는 [머신앤툴 2018년 8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