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기계산업 생산은 수송기계를 포함한 모든 업종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6.1% 감소했다. 출하 또한 모든 업종에서 부진하여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했다. 재고는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10.2% 증가했다.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8% 감소한 162.1억 달러를,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3% 감소한 82.5억 달러를 기록해 79.5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2017년 10월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기계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13.4% ↑
지난해 10월 기계산업 생산은 컨테이너선, 해상금속구조물, 전자계측기 중심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동월비 4.5% 감소했다. 호소세를 보인 품목은 반도체 공정장비, 칩마운터, 로더, 굴삭기 등이며, 부진한 품목은 열교환기, 선박용 내연기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금형 등이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 배전반, 커넥터, 소형전동기 등이 부진하며 전년동월 대비 15.8% 감소세를 보였다. 리튬2차 전지팩, 전자레인지, 통신선, 수치제어장치 등은 호조세를 보였다.
정밀기계업종은 전자계측기, 치과용 임플란트, 온도조절기구, 의료처치기구 등이 부진하며 전년동월 대비 7.4% 감소했다. 반면, 환경분석기기, 내비게이션, 광선치료기, 반도체검사장비 등은 호조세를 보였다.
수송기계업종은 전년동월 대비 22.0%라는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부진품목은 컨테이너선, 유조선, 중형승용차, 소형승용차 등이다. 이러한 가운데 비상업용 특수선박, 대형승용차, 민수용 항공기부품, 에어백 등은 호조세를 보였다.
금속제품업종의 경우 날붙이제품, 건축용 금속공작물, 새시문 및 창틀 등에서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해상금속구조물, 금속탱크 및 용기, 나사제품 등의 생산이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18.7% 감소했다.
기계산업 출하, 전년동월비 16.2% ↑
10월 기계산업 출하는 수송기계를 포함한 모든 업종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했다. 수송기계는 벌크선, 금속제품은 해상금속구조물, 전기기계는 변압기, 정밀기계는 전자계측기, 일반기계는 열교환기 중심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칩마운터, 반도체공정장비, 로더 등이 호조세를 보였으나 열교환기, 선박용 내연기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금형 등이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5.9% 감소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리튬2차 전지팩, 무정전 전원장치 등에서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변압기,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 커넥터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월 대비 15.4% 감소했다.
정밀기계업종은 전년동월 대비 7.5% 감소했다. 호조품목은 환경분석기기, 내비게이션, 리모콘, 반도체 검사장비 등이며, 부진품목은 전자계측기, 의료처치기구, 광학렌즈 등이다.
수송기계업종은 비상업용 특수선박, 대형승용차, 소형트럭 등의 품목이 호조세를 보였으나 벌크선,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의 품목에서 크게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21.9% 감소했다. 금속제품업종도 해상금속구조물, 금속탱크 및 용기, 육상금속구조물 등의 부진품목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했다.
기계산업 재고, 전년동월비 10.2% ↑
10월 기계산업 재고는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10.2% 증가했다. 일반기계는 정수기, 수송기계는 중형트럭, 전기기계는 전자레인지, 정밀기계는 의료용방사선기기 중심으로 증가, 금속제품은 금속 패널제품 중심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기계의 경우 정수기, 지게차, 로더 등의 품목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16.6% 증가했고, 전기기계업종은 세탁기, 회로차단기,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 등의 품목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5.4% 증가했다.
정밀기계업종은 의료용방사선기기, 환경분석기기, 초음파 의료기기 등의 품목에서 증가함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1.8% 증가했으며, 수송기계업종은 중형트럭, 중형버스, 자동차용 내연기관, 소형승용차의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14.4% 증가했다.
금속제품업종은 철제문, 스테인리스 주방용품 등이 증가했으나 금속패널제품, 단조물, 용접봉, 절삭공구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월 대비 5.4% 감소했다.
기계산업 수출 162.1억 달러, 전년동월비 1.8% ↑
10월 기계산업 수출은 금속제품, 일반기계, 수송기계 업종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8% 감소한 162.1억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21.3%), 독일(-18.1%), 인도(-18.0%)에서, 지역별로는 중남미(-23.6%), 북미(-20.5%), 아시아(-4.8%)에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자동판매기 및 화폐교환기가 큰 호조를 보였으나, 기타 가공공작기계, 금속성형기계, 액체펌프 등에서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2.8% 감소했다.
전기기계업종은 기타 전기장비, 교통 신호장치, 가정용 전기난방기기 등이 호조세를 보였으나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 변압기 품목의 부진으로 전년동월 대비 0.9% 증가에 그쳤다.
정밀기계업종도 전년동월 대비 0.9% 증가했는데 기타광학기기, 물질 검사, 측정 및 분석기구 품목의 호조세의 영향이 컸다. 반면 시계,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장비, 기기용 자동측정 및 제어장치 품목은 부진했다.
전년동월 대비 1.2% 감소한 수송기계업종은 전투용차량 및 부품,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선박 품목이 호조를 보였고, 기타 선박, 자동차차체용 부품, 기타 자동차 부품 품목은 부진했다.
금속제품업종은 금속표지판, 톱 및 호환성공구, 금속선 가공제품 등이 호조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중앙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금속조립 구조재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월 대비 16.7% 감소를 보였다.
▲ 기계산업 수출·수입 동향(단위: 백만 달러, %)
기계산업 수입 82.5억 달러, 전년동월비 1.3% ↑
10월 기계산업 수입은 수송기계, 금속제품 업종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3% 감소한 82.5억 달러를 기록했다. 국별로는 미국(-15.1%), 영국(-4.4%), 중국(-1.0%)에서, 지역별로는 북미(-14.5%), 중남미(-10.0%), 유럽(-5.2%)에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자동판매기 및 화폐교환기, 산업용 섬유세척 및 가공기계, 고무·화학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 품목의 수입이 늘어 전년동월 대비 4.6%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은 기타 가정용 전기기기,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그외 기타 전기장비 품목의 수입이 늘어 전년동월 대비 6.8% 증가했다.
정밀기계업종의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7.1% 증가했다. 수입이 늘어난 품목은 사진기·영사기 및 관련장비, 의료용 가구, 그외 기타 의료용 기기 등이다.
수송기계업종의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7.8% 감소했다. 트레일러 및 세미 트레일러, 운송용 컨테이너, 철도차량부품 및 관련 장치물 등의 수입은 늘었으나 항공기·우주선 및 보조장치, 선박, 화물자동차 및 특수목적용 자동차 등의 수입이 줄었다.
금속제품업종의 경우 금속단조물, 중앙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일반철물 수입은 늘었지만 무기 및 총포탄, 금속 문·창·셔터 및 관련제품,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14.8% 감소했다.
▲ 기계산업 생산·출하·재고 추이
▲ 기계산업 수출·수입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