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표준화 어디까지 왔나?] 스마트공장 특허전쟁 시작됐다(2)/산업 데이터 특허동향

2016.05.19 16:28:38

산업 데이터 특허동향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의 전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후반부터 특허출원이 시작되었고, 2000년대 초반 들어 그 특허 출원량이 급증하면서 2001~2002년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특허 출원량이 감소하고 있다. 미공개 구간 고려 시에도 향후 급격한 증가 없이 점차 특허 출원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림 3. 산업 데이터 연도별 특허출원 현황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173건(45%)으로 전체 특허 출원량의 절반 가까운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미국이 122건(32%)의 특허 출원량을 보였다. 한국, 유럽 및 PCT의 경우 9~7%의 대동소이한 특허 점유율을 나타냈다.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를 특허의 정량적 분석 결과만 보았을 경우 어느 정도 완성된 기술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미국이 적극적인 R&D 투자로 타 국가에 비해 기술적 우위가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 그림 4.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 국가별 출원 현황


산업 데이터 기술에 대해 국가별 출원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2000년대 초반 특허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이후 최근 들어서는 특허 출원량이 미미한 상태이며, 미국은 2000년대 초반 다수의 특허출원 이후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최근 들어 그 특허 출원량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경까지 다수의 특허출원 이후 최근 들어서는 특허출원이 급격히 감소한 상태이며, 유럽과 PCT 특허출원은 2000년대 중반 다수의 특허출원이 이루어졌다.


종합적으로 보면, 일본은 2000년대 관련 산업과 적극적인 R&D 투자 이후 어느 정도 소강상태에 있는 반면, 미국은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들어 다시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를 크게 STEP (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데이터 품질/신뢰성 및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로 나눠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먼저 STEP 기술은 2000년 들어 점차 특허 출원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00년대 후반 다수의 특허출원 이후 출원량 감소 이후 최근 들어 그 출원량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STEP 기술이 최근 관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데이터 품질/신뢰성 기술은 2000년 들어 급격한 특허출원 이후 그 출원량이 점차 감소 후 2010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으나 최근 들어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STEP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은 2000년 들어 급격한 증감 없이 꾸준한 특허출원을 보이고 있다.


위 3개의 기술 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관련 산업 활성화로 2000년 들어 급격한 특허출원 이후 점차 특허 출원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 유사점이 있다. 다만 STEP는 타 기술 분야에 비해 2000년대 후반 들어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며 미공개 구간을 고려 시 최근 들어 특허 출원량 증가가 예상되어 향후 다시 한 번 기술적으로 관심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1. 출원인 및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

산업 데이터 전체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에 대한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히타치, 로크웰, 신일본제철, 도시바, 리콘, 지멘스 등이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뒤를 킴벌리 클락, 보잉, 샤프 등이 뒤따르고 있다. 기업 국적별로는 일본 기업인 하타치, 신일본제철, 도시바, 샤프가 출원인 상위에 링크되어 있으며, 미국 기업인 로크웰, 리콘, 킴벌리 클락, 보잉, 독일의 지멘스가 다수의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에선 삼성전자와 포스텍이 각각 7건과 6건의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다.


기술별 주요 출원인 동향을 보면, STEP 기술 분야의 경우 항공기 등 우주산업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미국 제조 대기업 로크웰이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독일 기업인 지멘스, 미국의 보잉이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품질/신뢰성 기술 분야는 일본 기업인 신일본제철이 19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킴벌리 클락, 일본 히타치, 샤프가 그다음으로 많은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 분야는 일본 기업인 히타치가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로크웰, 도시바, 보잉이 다수의 특허출원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 3개 기술 분야의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STEP은 미국이 67건(47%)으로 가장 높은 특허 점유율을 보이며, 그다음으로 일본이 26건(18%), 유럽이 21건(15%), PCT가 15건(11%)의 점유율을 나타냈고 한국은 13건(9%)으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데이터 품질/신뢰성 기술 분야는 일본이 98건(71%), 그다음으로 미국과 한국이 비슷하게 21건(15%), 14건(1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PCT와 EP가 3%, 1%의 낮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 기술 관련해서는 일본이 절반이 넘는 높은 점유율로 타 국가에 비해 기술 관심도가 매우 높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기술 장벽 역시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 분야 역시 일본이 49건(47%)로 가장 높은 특허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미국이 34건(33%), 한국과 PCT가 8건(8%), 유럽이 4건(4%)로의 출원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 기술 또한 일본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 우위와 R&D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산업 데이터 기술과 관련해 전체 총 383건의 특허가 출원되었고 그중 한국은 35건을 출원하여 9.14%의 특허출원 비율을 보이고 있다. STEP 분야는 142건 중 13건(9.15%), 데이터 품질/신뢰성 분야는 138건 중 14건(10.14%),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분야는 103건 중 8건(7.77%)의 특허출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큰 차이 없이 비슷한 특허출원 비율을 보이나 순위를 본다면 데이터 품질/신뢰성 분야가 국내 기업들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 기술 분야로 분석된다.


2. 표준 관련 특허현황

산업 데이터 기술의 경우, ISO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수의 표준 기술들도 표준화 진행 중이다. 주요 출원인 중 표준화에 참여하고 있는 표준화 멤버들의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프랑스 다쏘, 일본 미쓰비시와 도시바, 독일 지멘스, 미국 보잉 컴퍼니가 총 29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 표준화 멤버들이 STEP 기술 분야에 상대적으로 많은 특허출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STEP 분야에 표준화 이슈가 다수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멘스가 STEP 기술에 다수의 특허출원을 함으로써 기술 선점과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쏘는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 관련하여 총 3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미쓰비시는 STEP 2건, 데이터 품질/신뢰성 기술에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지멘스는 총 17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그중 15건을 STEP 기술 분야로 출원하고 있어 STEP 기술에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도시바는 3개 기술 분야에 전부 특허출원을 하고 있으며, 특허 데이터 품질/신뢰성,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기술 분야에 각각 7건과 9건을 특허출원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술 분야로 보인다. 보잉 컴퍼니는 STEP 분야에 9건, 제품생애주기 데이터 분야에 6건을 각각 특허출원하고 있다.


산업 데이터 기술 관련 선언된 특허들을 살펴보면, 총 2건의 특허가 ISO에 선언되어 있으며, 출원인은 보잉 컴퍼니와 지멘스로 STEP 기술 분야 관련된 특허를 선언하고 있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