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덕 ams 코리아 대표, "조명시장, 더 높은 정밀도·감도 갖춘 광학 센서 사용 늘어날 것"

2016.02.24 16:14:59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화질 개선 위한 광학 센서 시장 꾸준히 성장한다


향후 조명시장에서는 더 높은 정밀도와 감도를 갖춘 광학 센서가 점점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ams 코리아의 이종덕 대표는 “광학 센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TV, PC 등 소비자 전자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앞으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센서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광학 센서 시장의 꾸준한 성장을 예상했다.


ams 코리아 이종덕 대표


ams는 고성능 센서 솔루션과 아날로그 IC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사람과 기술을 연결하여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사내 비전으로 삼고 있다.


오스트리아에 본사를 둔 ams는 전 세계에 1,8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8,000곳 이상의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도에 4억 6,400만 유로(6억 1,400만 달러)의 총매출을 기록한 바 있다.


ams의 제품은 고도의 정밀성, 정확성, 동적 범위, 감도 및 초 저전력 소모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대표적인 제품군은 센서, 센서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IC와 소비재, 산업, 의료, 이동 통신과 자동차 시장 고객을 위한 무선 IC 등이다.


Q:세계적인 조명 시장 트렌드는 무엇인가
A:조명시장에서는 더 높은 정밀도와 감도를 갖춘 광학 센서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학 센서 시장은 앞으로 조명 스펙트럼에서 더욱 미세한 차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새롭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시장을 열어갈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Q:그렇다면, 올해 광학 센싱 시장 이슈점은
A:조명을 포함해 컨슈머, 컴퓨터, 산업, 의료 및 자동차 등 광범위한 시장에 걸쳐 광학 센싱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이미 시장에서 검증받은 제품 성능, 인하우스 필터 기술을 포함한 강력한 제조 공급망, 광학 패키징 노하우, 세계 선도적인 공급 업체 위상, 광학 센서 IP 및 확장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기에, 지속적인 매출액과 시장점유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학 조명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정/상업 공간에서 센서 허브로 바로 사용가능한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고집적 스마트 조명 센서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기기와 반응 및 상호작용 함으로써, 우리의 실제 공간을 더욱 스마트하게 구현시켜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조명 업계는 비용 및 공간측면에서 효율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실현가능한 고집적 제어 기능의 제품을 원합니다. 이에 당사의 센서 통합형 매니저 제품(AS721x 시리즈)이 이러한 조명 업계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스마트 조명 매니저 칩은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기반 BT 스마트 커넥티비티를 통합하고 있어, 조명 업계 내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Q:향후 ams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A:헬스&피트니스 시장 및 웨어러블 제품에 관심을 갖고 기술개발을 진행한 결과, 최근 헬스&피트니스 시장 및 웨어러블 제품을 겨냥한 고집적 바이오센서 제품군의 첫 제품을 출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제품은 HRM, HRV, SpO2, 미래형 바이오센싱 기능을 지원하는 유연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지원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Q:마스터플랜을 말해 달라
A:광학 센서 시장이 향후 큰 폭의 성장을 할 것이라 확신합니다. 그 이유는 광학 센서가 스마트폰, 태블릿, TV 및 컴퓨터/랩톱과 같은 소비자 전자기기를 비롯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 센서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죠. 


당사는 광학 센서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35%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웨어러블과 스마트폰에서 광학 바이오센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할 계획이며, 이와 함께 의료, 산업, 자동차 시장 분야에서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창출하려 노력할 것입니다. 


TV 화질 개선 및 전력 절감에 탁월한 ams의 16채널 LED 백라이트 컨트롤러


ams는 화질 개선 및 최대 20∼30%까지 소비전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섹션에서 로컬 디밍(화면분할구동) 성능을 발휘하는 16채널 LED TV 백라이트 컨트롤러(제품명, AS3824)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최근 HD TV 또는 UHD(4K) TV뿐 만 아니라 HDR(high dynamic range) 모니터 및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부분들을 독립적으로 디밍할 수 있도록 16개의 각 채널에 적합한 완전히 유연한
12비트 PWM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PWM 제너레이터는 외부 동기화 신호로 동기화될 수 있다.


16채널의 독립적인 디밍 성능은 각 부분의 백라이트 강도가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연속 프레임의 화면 내용을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의 일부분이 어두워지는 순간, 그 부분을 밝혀주는 LED들은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디밍될 수 있어, TV가 가장 어두운 블랙에서도 충실한 색 재현을 가능하게 하며, 인지된 화질을 향상시킨다. 반대로, 기존에 사용되었던 전역(global) 백라이트 컨트롤러는 블랙으로 처리해야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분에서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블랙이 회색으로 재현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AS3824로 구현되는 로컬 디밍은 전역 백라이트 컨트롤러와 비교해 추가적으로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성능도 제공한다.또한 AS3824 백라이트 컨트롤러는 외부 MOSFET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의 정밀한(±0.5%) 전역 제어를 제공하는 정밀한 10비트 DAC를 내장하고 있다. 이 제품은 LED에 대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제한 없이 모든 LED 백라이트 토폴로지를 지원한다.


임재덕 기자 (eled@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