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요국, 민관 협력 통해 빅데이터 산업 주도권 확보 나선다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세계 주요국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 국가는 빅데이터 활용기술을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인식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EU, 중국, 일본 정부의 빅데이터 관련 정책 동향에 대해 살펴봤다.
미국, 최고데이터과학자 임명 및 오픈 데이터 활용
미국 백악관은 사상 최초로 정부의 데이터 정책을 총괄하는 최고데이터과학자(Chief Data Scientist, CDS)로 DJ 파틸 박사(Dr. DJ Patil)를 임명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Internet&Secuity Biweekly’에 따르면 파틸 박사는 미국 정부의 데이터 관련 정책 방향성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민간 및 공공 단체와의 파트너십 강화, 데이터과학 전문가 확보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파틸 박사의 당면 과제로는 미국 정부가 2억달러(약 2253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 개인별 맞춤 치료 서비스 개발 정책 ‘정밀의학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이 지목되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파틸 박사는 환자 개개인에 특화된 맞춤형 의료 서비스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활용 기술 개발 및 제도 마련을 추진하는 한편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또 대규모 데이터셋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이 추진되고 있다. 오바마(Obama) 정부는 현재까지 약 13만8천개에 달하는 데이터셋을 공공에 개방해 오픈 데이터 활용 촉진을 도모하고 있으며 미국 해양대기국은 개인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를 토대로 즉각적인 기상예보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자 오픈 데이터 정책을 전개하는 등 이미 데이터 활용 방안을 고민 중이다. 특히 데이터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남용 문제 및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EU, 빅데이터 산업 발전 위한 민관 협력 파트너십 체결
유럽연합(EU)은 Horizon 2020 연구혁신(Research and Innovation)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연구에 3조원이 넘는 재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Internet&Secuity Biweekly’에 따르면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는 2015년 10월 노키아, 오렌지, 지멘스 등 25개 기관이 속한 빅데이터 가치연합(BDVA)과의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 협력) 사업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빅데이터 연구를 위한 이번 PPP 사업예산은 약 3조 3819억원(25억유로)으로 EC와 BDVA에서 각각 약 6677억원(5억유로), 약 2조 6710억원(20억유로)를 출자하기로 했다. EU는 이번 PPP 사업을 통해 2020년까지 빅데이터와 관련된 에너지, 제조, 헬스케어 사업 발굴 및 연구를 위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 세계 데이터 시장 30% 점유 ▲유럽 내 데이터 관련 10만개의 신규 직종 창출 ▲에너지 소비율 10% 감소 ▲건강관리 및 산업 생산성 강화 등이다.
특히 빅데이터 파트너십 PPP 사업은 2014년 7월 세계 디지털시장에서 EU의 경제 주도권 탈환을 위한 ‘데이터 주도 경제’ 정책제언 이후 처음으로 도출된 정책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중국, 민간과의 협력 통한 빅데이터 산업 발전 촉진
2014년 이후 매년 10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중국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은 중국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밑거름이 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발간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국의 정책 추진 동향’에 따르면 중앙정부 차원의 빅데이터 산업 정책은 중국과학원, 공업정보화부, 중국 국가통계국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중국 국가통계국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3년 11월 자국 내 주요 기업들과 빅데이터 활용을 목표로 장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국가통계국 협력 기업에는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등 사업 전개 과정에서 직접 대량의 데이터 생성이 가능한 사업자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에 따라 국가통계국은 해당 기업들을 통해 데이터 처리 및 활용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빅데이터 도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도 다양한 빅데이터 활용정책을 펼치고 있다. 베이징의 경우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 빅데이터 기술 도입을 모색 중이다. 또 구이저우성은 빅데이터 산업의 기초 인프라 중 하나인 데이터 과학자 등 인력양성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허브로서의 입지 확보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산업 발전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빅데이터 기업 유치 및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투입하는 자금은 2014년부터 3년간 총 1억위안(약 1630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일본, 오픈 데이터 정책에 민간기업 대거 참여
일본 정부는 빅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오픈 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전략센터가 발간한 ‘BigData Monthly’에 따르면 일본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개해 민간기업이 자유롭게 이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장려함으로써 정부 투명성 확보,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 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본의 민간기업도 오픈 데이터 정책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그 활용책을 마련하고 있다. 2012년 7월 결성된 일본 오픈 데이터 추진 컨소시엄 참가기업은 이미 150개에 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기업의 ICT 투자 확대에 따른 GDP 개선 여지가 크다는 인식 하에, ICT 기술 중에서도 빅데이터의 성장 가능성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오픈 데이터 정책을 공고히 하기 위해 2015년을 목표로 오픈 데이터 관련 법·제도를 준비 중이며 일본 업계에서도 빅데이터와 관련된 H/W, S/W 시장을 유망한 분야로 전망하고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정리 : 유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