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메이션 월드 2015 ... 제조업 3.0, 자동화 넘어 스마트공장으로

2015.04.29 16:42:57

국내 제조업이 첨단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될 날이 머지않았다. 3월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 오토메이션 월드 2015에서 느낀 분위기이다. 


자동화업계는 올해가 한국형 스마트공장 구축의 첫걸음을 내딛는 해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그동안 미루어 왔던 신제품들을 대거 선보였다. 스마트공장 국제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과 싱크탱크들이 대거 연사로 참여하며 핫이슈를 쏟아냈다. 


자동화를 넘어 스마트로 


한국형 스마트공장은 어떤 모습일까? 정부가 제조업 3.0을 구현하는 핵심 정책으로 ‘한국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내세울 때만해도 실은 그 정체가 안갯속이었던 게 사실이었다. 그러나 그 모습을 아시아 최대 공장자동화 전문전시회인 오토메이션 월드 2015(Automation World 2015)가 분명하게 보여줬다.


2015년 오토메이션 월드는 ‘자동화를 넘어 스마트로(Beyond Automation Toward Smart)’를 전시회 슬로건으로, ‘한국형 스마트공장’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했다. 


전시장 곳곳에는 제조업에 적용 가능한 IoT·3D 프린팅·빅데이터·CPS 등 인접 기술을 활용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전시회 부대행사로 3월18일과 20일에 열린 스마트공장 국제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과 싱크 탱크들이 스마트공장 우수사례 등 발표와 함께 핫이슈를 쏟아냈고, 행사장에는 한국형 스마트 공장 모델을 찾기 위해 산업자동화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렇듯 3월18일부터 20일까지 사흘간 열린 오토메이션 월드에는 뜨거웠던 현장을 반영하듯 연일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협회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에는 280여 업체가 참가했는데, 800여 부스에 3만여 명의 참관객이 다녀갔다.


스마트공장 신기술 경합 치열


2015년 오토메이션 월드에서는 설계, 생산, 품질 검사에 이르는 스마트공장 신기술과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업 자동화 분야와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결합하며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관련 기업들과 제품들이 전시장을 채웠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어드밴텍, CIMON, 슈나이더 일렉트릭, 후지전기, 한국NI 등 글로벌 기업과 함께 오토닉스, 한영넉스 등 국내 강자 간의 새로운 기술 경합이 치열했다. 그리고 이들이 생산 현장을 컨트롤하고, 관련 업체와 협업하며, 생산 수율을 극대화하는, 말 그대로 스마트 팩토리 시연에 참관객들은 발걸음을 멈췄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는 전시회에서 ‘제조업 혁신 3.0을 실현하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주제로 한 최신 통합 제어와 정보 솔루션을 선보였다. 로크웰은 특히,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IoT 최신 기술 중 하나인 빅데이터, 모빌리티,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클라우드 등을 적용한 IT 기반의 제조 솔루션을 시연함으로써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어드밴텍은 IoT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연결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와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적용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선보였다. 관람객들은 어드밴텍 부스에서 반도체 장비 분야, 식음료 공정, 자동차, 금속, 가전 제조라인 등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었다.


한국NI는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머신제어와 지능형 상태모니터링 솔루션을 공개했다. 한국 NI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공동 제작한 이 데모는 한국N I의 산업용 임베디드 플랫폼인 CompactRIO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다축의 EtherCAT 모션 제어와 비전검사, HMI 그리고 각종 산업용 입출력 채널을 통합으로 관리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녀 관람객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모았다.


오토닉스는 이번 전시회에 클로즈루프 스테핑인 Ai-SERVO와 AiS 시리즈, 컬러마크센서 BC 시리즈, 그리고 PCB 기판 검출에 최적화된 포토센서 B JP 시리즈 등을 주력으로 선보였다. 특히, Ai-SERVO와 AiS 시리즈는 헌팅과 튜닝, 그리고 탈조 없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션 디바이스로, 타사 대비 발열이 적고 동일 사이즈로 고토크를 구현할 수 있어 주목을 받았다.


한영넉스는 모듈 타입 온·습도 컨트롤러 TH510, 기록계 GR200, 슬림형 무접점릴레이 HSR-SLD/R-2SL/3SL, 전원공급장치 TPS/DPS 시리즈, 터치패널 TG 시리즈 등을 더욱 업그레이드된 모델을 출품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또한, 리모트 I/O(LXP-16I, LXP-16R, LXP -10M ) , 핸들형 엔코더( HE60M , HE80M),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SMC-100R2, SMC-100R4), 컨트롤러(SMD-20B, SMD-40B) 등도 새롭게 선보였다. 그 외에도 280여개 업체가 900부스에서 준비한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기기 관련 다양한 신제품과 신기술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 ① 2015년 오토메이션 월드는 ‘자동화를 넘어 스마트로’를 전시회 슬로건으로, ‘한국형 스마트공장’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했다.


▲ ② 3월18일과 20일에 열린 스마트공장 국제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과 싱크탱크들이 스마트 공장우수사례 등 발표와 함께 구현 가능한 한국형스마트 공장의 모델을 제시했다. 


▲ ③ 로이체 일렉트로닉은 스위칭 센서 및 측정 센서부터 데이터 전송 시스템, 지능형 화상 처리 시스템, 작업 안전 관련 솔루션까지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국제컨퍼런스, 한국형 스마트공장 모델 찾다 


정부의 제조업 혁신 3.0 추진의 일환으로 스마트공장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자율적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 국내외 산업자동화 전문가들이 코엑스에 모였다. 그 뜨거운 현장이 스마트 공장 국제컨퍼런스이다. 


이번 국제컨퍼런스는 산업통상자원부 강성천 국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4개 트랙 23개 세션으로 진행됐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업과 싱크 탱크 수뇌들이 대거 연사로 참여하며, 현장을 달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연구소 Carmon Constantinescu IAO 부원장이 독일의 인더스트리4.0과 R&D 현황에 대해, 서울대 손욱 원장은 국내 제조기업의 제조혁신 방향을, 로크웰 오토메이션 John Nesi 부사장은 초연결을 통한 고효율의 매뉴팩처링, PLM 컨소시엄 김태환 회장은 PLM을 통한 스마트 공장 도입 및 생산성 향상, 이플랜 Maximilian Brandl 대표는 독일의 스마트공장 도입 사례에 대해 강의하는 등 연일 핫이슈를 쏟아냈다. 포스코ICT, LS산전, 현대제철 등에서는 국내 스마트공장 우수사례 등을 발표했다. 


머신비전 컨퍼런스에서는 머신비전 검사 솔루 션 구축 요건 및 신제품 신기술을, 기계 안전 세 미나에서는 기계 안전의 새로운 접근법 등을 집중 다뤘다. 


그 외에도 PLC OPEN 컨퍼런스, 스마트센서 컨퍼런스 등 산업자동화 관련 다양한 행사가 동시에 열려, 제조업 종사자들에게 심도 있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됐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