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을 활용한 RFID 기반 자동화 도입 사례] RFID, 스마트한 물류 관리의 열쇠

2014.10.30 15:47:54

기존 바코드 시스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모바일 RFID 시스템은 특히 의류 산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모바일 RFID의 개념과 그 종류에 대해 세연테크놀로지 개발 1팀 이진동 팀장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모바일 RFID는 기존의 바코드 시스템을 대체하고 업무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도입됐다. 기존 고정형 리더는 무겁고 유동적 업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그 기능에 있어서 한계를 보였다. 이에 반해 모바일 RFID는 RFID 솔루션의 보조 역할뿐 아니라 고정형 리더만으로는 충족시킬 수 없는 유동적 업무들을 담당하며, 인식률과 태깅 속도 등을 증가시켰다. 모바일 RFID는 고정형 리더에 비해 초기 구축 비용도 저렴하다.


모바일 RFID 종류 및 구축 사례


1. PDA Type

PDA 타입의 모바일 RFID 단말은 이동형 리더기 안에 RFID 모듈이 탑재된 형태다. 바코드 시스템은 개별 단위의 물류 이력 추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모바일 RFID 단말이 커버할 수 있다. 모바일 RFID 단말은 멀티 태깅과 개체식별번호 관리가 가능해 개별 단위의 물류 이력을 추적하기 용이하다.

PDA 타입은 반도체 공정에 최초로 적용됐다. 카트, 선반, STK, CST/LOT, 다음 공정, 반송 이력 등의 정보를 조회해 RFID M/W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생산정보시스템(MES)에 전송되어 FAB 내의 물류 관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블루투스 Type

블루투스 타입은 주로 다른 기기와 연계해 정보를 공유한다. UHF/HF 모듈을 탑재했으며 스마트폰(iOS 및 안드로이드) 연동을 지원한다. 이 타입의 단말은 주로 목걸이형으로, 내부에 장착된 블루투스 리더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 관리, 매장 재고 관리, 반품 관리, 제품 이력 조회 등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타입 RFID가 주로 적용되는 곳은 제철소다. 제철소는 설비의 양이 많고 장비가 고장날 시 발생하는 손실이 크기 때문에 점검이 필수적이다. 주요 작업은 설비의 월활한 동작을 확인하고 장애 요소를 감시하는 것이다. 다량의 설비에 대한 작업을 수기로 하기엔 무리가 있으므로, 블루투스 타입의 모바일 RFID를 사용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점검과 피드백이 가능하며 별도의 후 작업이 필요없는 것이 장점이다.


3. 라켓 Type

그러나 PDA 타입과 블루투스 타입은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 원거리 태그가 어렵기 때문에 세연테크놀로지에서는 라켓 타입의 RFID 단말을 개발했다. 이 타입은 고정형 리더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지닌다.


▲ 라켓 Type 모바일 RFID


라켓 타입은 물류 통합 관리 서버의 물류 위치 및 재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 정보를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해 PC나 태블릿, 스마트폰으로 전달한다. 이는 빠른 속도의 멀티 태깅과 장거리 인식을 가능하게 해 효율적인 재고 실사에 도움을 준다.

라켓 타입의 모바일 RFID는 주로 물류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 걸려 있는 옷 위로 라켓 타입의 단말을 대고 지나가면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정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서버에 전송된다. 이를 통해 창고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하검수 관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출하 전에 박스를 개봉하지 않고도 단말을 이용해 박스 안의 정보를 읽어 출하 시점이나 불량 물품을 파악할 수 있다. 출하 이후에도 받아야 할 물류를 파악하고 처리할 수 있다. 라켓 타입은 공간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유동적인 검수 관리가 가능하다.

입고 시에도 마찬가지로 개봉하지 않은 박스에 태그하면 내부 정보를 읽을 수 있어 효율적인 입고 검수 관리가 가능하다. 약 200장 정도를 3초 이내에 모두 태깅할 수 있어 검수 관리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정리 이솔이  기자(npnted@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