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Interview - Tyson Tuttle, CEO, Silicon Labs

2014.09.26 14:18:34

IoT SoC 솔루션으로 사물인터넷 시대 앞당긴다


IoT SoC는 최근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IoT 시장에서 기술 혁신과 통합을 이루는 데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기술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IoT 시대를 앞당기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실리콘랩스의 CEO인 Tyson Tuttle로부터 IoT 시장 현황과 기술 전망 등에 대해 들어봤다.




  먼저 실리콘랩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십시오.

  실리콘랩스는 IoT(Internet of Things) 시장에서 애플리케이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 기술력을 갖춘 혼성 신호 설계 전문 업체입니다. 실리콘랩스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역을 단일 칩 솔루션에 집적시키고 있으며, 무선 기술도 함께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혼성신호 통합은 IoT의 중요 과제를 해결하는 열쇠이며, SoC(시스템 온 칩) 솔루션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SoC 솔루션은 커넥티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비용과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단일 모놀리식 다이 부품에서 프로세싱, 커넥티비티, 센서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SoC 솔루션 형태로 맞춰질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실리콘랩스에서는 IoT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까.
  실리콘랩스에서는 커넥티드 기기 시장 규모를 확장시키는 데 필수적인 기술로 IoT SoC를 꼽고 있습니다. 개발자들은 전력 관리, 배터리, 안테나 및 소프트웨어 스택을 간단히 추가하여 새로운 커넥티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히 개발할 수 있습니다. 실리콘랩스의 심플리시티 스튜디오(Simplicity StudioTM) 개발 환경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을 더욱 단순화시켜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장 출시 시점을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합니다.
빠르면 2015년쯤, 시장에서 IoT SoC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SoC는 ARM Cortex-M급 코어,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아날로그/혼성신호 퍼리퍼럴을 비롯해 지그비, 블루투스, 스레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 프로토콜 트랜시버와 센서 인터페이스가 하나로 통합된 것입니다.


 ‌IoT 분야에 적합한 실리콘랩스의 제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실리콘랩스의 센싱 개발 키트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만, 일단 최근에 출시된 센싱 개발 키트(SLSTK 3201A)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IoT 기기의 설계를 가속화시키는 이 환경 센싱 개발 키트의 타깃 애플리케이션은 홈 보안 시스템, 스마트 서모스탯(Smart Thermostat), 기상 감지,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심장박동수 측정 이어폰(Heart-rate Earphone)을 비롯한 다양한 웨어러블 제품입니다.
이 개발 키트는 EFM32TM 제로 게코 마이크로컨트롤러[Zero Gecko Microcontroller(MCU)] 스타터 키트와 센서 확장 보드가 결합된 제품이며, 전체 소스 코드는 실리콘랩스의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개발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단축시켜 줍니다.

  ‌

최근 주요 이슈로 떠오른 IoT의 시장 잠재력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IoT는 컴퓨팅이 차세대로 진화한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즉 센싱, 프로세싱, 통신 기술이 ‘모든 사물’을 전자기기로 연결시켜 우리 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지요. 컴퓨팅 다음 단계로 진화된 IoT 시장은 기존의 컴퓨팅 시장보다 훨씬 규모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IoT 관련 커넥티드 기기는 2015년 150억 대에 달할 것이며, 2020년에는 500억 대가 존재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 커넥티드 기기들은 대부분 기존의 PC나 스마트폰보다 더 소형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될 것이며, 일부 기기들은 자율적으로 동작하고 통신하게 될 것입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PC, 태블릿, 스마트폰이 제외된 커넥티드 기기는 오는 2020년까지 260억 대 정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전문 리서치 업체인 AMI 리서치는 2020년까지 300억 대에 달하여 3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애널리스트를 비롯한 각 업계의 전문가들은 IoT 시장 추정치에서 다른 의견을 제시하지만, IoT가 가진 잠재력이 엄청나다는 점에서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또한 IoT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보다 훨씬 규모가 크며, 우리의 삶과 경제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IoT는 앞으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IoT는 일반 소비자의 생활 방식뿐만 아니라 업체의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데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들은 IoT를 통해 안락함, 보안, 편의성 및 자원 활용 기회를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건강과 피트니스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반도체 업체의 경우, IoT는 새로운 임베디드 시장을 열어 실리콘랩스와 같은 칩 기반 공급 업체에게 새로운 기회를 부여할 것입니다. 또한 업체들이 갖고 있는 세계적인 공급망에 있어서도, IoT는 비용을 감소시키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창출함으로써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IoT는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미터, 보안 시스템, 커넥티드 홈, 빌딩 자동화, 조명 제어, 스마트 액세서리를 비롯해 스마트 워치, 건강 및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IoT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강화되어야 할지 말씀해 주십시오.

전 세계 경제 및 생활에 미칠 영향력 면에서 본다면, IoT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oT 시장은 향후 몇 십 년 동안 장기적 관점에서 혁신적인 흐름에 따라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IoT 커넥티드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해, 특히 에너지 친화적인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무선기기에 적합한 초저전력 부품들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저렴한 비용, 에너지 효율적인 커넥티드 기기를 위한 핵심적인 구현 요소라고 할 수 있지요.
네트워킹 표준과 상호 운영성 또한 IoT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스마트 및 독자적인 서브 GHz 기술을 포함해 모든 무선 접속 옵션에 대해 이야기할 때 특히 중요합니다.
삼성, 실리콘랩스, ARM, Next를 포함한 스레드 그룹(Thread Group)의 경우도 커넥티드 홈에 맞는 차세대 IP 기반의 매시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레드 프로토콜에 기초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솔루션은 내년이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모든 커넥티드 기기에서 완벽한 보안 기능이 구현되기 전까지는 IoT가 급속하게 발전하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그만큼 정교하고 우수한 보안 기술이 차세대 인터넷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커넥티드 기기들은 조명, 온도, 습도, 모션, 사람 근접, 전력 소모와 같은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와 관련, 실리콘랩스는 수많은 커넥티드 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폭넓은 범위의 광센서 및 환경 센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 보안 시스템용 무선 센서 노드와 같은 사용자 사례에 따라 센서는 매우 적은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 데이터는 매우 낮은 전력으로 통신되어 해당 부분에서 처리되고 수집되어야 합니다. 센서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경우에도 커넥티드 기기 엔드 노드에서 부분적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ARM 프로세서 코어에 기초한 MCU는 부분적으로 프로세싱 성능을 실현할 수 있는 모든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통합될 것이므로, MCU는 에너지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커넥티드 기기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된 모든 반도체 부품들은 혼성신호 CMOS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무선 칩과 같은 부품들은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으며, 비용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유연해야 합니다.
그리고 커넥티드 기기들은 지그비뿐 아니라 와이파이, 블루투스, 서브 지그비 기술에 기초한 강력한 무선 네트워크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실리콘랩스는 지그비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서브 GHz 공급업체의 선도적인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희성  기자(eled@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