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산업동향

독일 물류시장, 로봇·AI로 재편하며 리더십 강화

URL복사

 

독일은 유럽 경제의 핵심이자 동서 유럽을 연결하는 주요 물류 허브로 자리 잡고 있다. 2023년 기준 독일 물류 시장의 수익은 약 3,270억 유로로 유럽 1위를 기록하며, 이는 2위 프랑스와 3위 영국의 수익을 합친 것보다 많다. 또한, 세계은행 물류성과지수(LPI)에서 네 차례 1위를 차지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물류 품질을 입증해왔다.

 

독일 물류 산업은 최근 신속 배송 수요 증가와 높은 인건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로봇,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은 물류의 속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실시간 재고 관리와 유연한 물류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도이체포스트(Deutsche Post)는 2012년부터 자동화 솔루션 기업 오토스토어(AutoStore)와 협력해 1,000대 이상의 로봇이 운영되는 물류 창고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물류 프로세스를 효율화했다. 또한, 5,000여 대의 자율이동로봇(AMR)을 도입해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이고 물류 수집량을 최대 180%까지 증가시켰다. 키온 그룹(KION Group)도 자율 팔레트 트럭 기술을 활용해 물류 효율과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물류 자동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 앨리스 프로젝트(ALICE), 자율주행차 상용화 법안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정책은 물류 산업의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지원하며 독일 물류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독일 물류 자동화 트렌드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은 산업용 로봇 밀도 세계 1위를 기록하며 로봇 공학 및 첨단 기술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독일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로봇 기술력과 스마트창고 솔루션을 기반으로 협력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제공, 안전 관리 등 부가가치 창출 분야에서도 협력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독일 물류 자동화 혁신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이 이 흐름에 동참할 경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독일의 물류 자동화는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글로벌 물류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이는 한국과 같은 기술 강국에게도 협력과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임담대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