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산업동향

韓 제조기업이 꼽은 상반기 투자 회복의 걸림돌은?

URL복사

국내 제조기업, ‘상반기 투자회복 지연’ 34%…‘계획대로 진행중’ 61%

투자 회복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국제유가·원자재가 등 ‘높은 원자재가’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2,23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투자 동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61.1%는 올 상반기에 계획했던 투자를 예정대로 진행하고 있지만, 34.2%는 투자가 축소되거나 지연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투자 축소의 주된 원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생산비용 증가가 지목됐다.

 

 

국제유가는 올해 초 대비 19.4% 상승했고, 구리, 아연, 니켈 등 주요 원자재 가격도 큰 폭으로 인상됐다. 또한 고환율 및 경쟁국의 수요 증가가 원자재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 외에도 수요 및 판매 부진, 고금리 지속, 경기 불확실성 등이 투자 지연의 다른 요인으로 꼽혔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장비와 이차전지, 의료정밀, 화장품 업종은 투자 회복이 양호한 반면, 비금속광물과 철강 업종은 전방 산업의 위축과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 제조기업들은 투자 계획을 수립할 때 투자비용 대비 수익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경쟁업체 간 시장 상황, 자금 사정, 기술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투자 활성화를 위해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 확대, 기회발전 특구 및 규제특례 도입,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촉진, 임시투자세액공제 기간 연장 등의 정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현수 경제정책팀장은 “경제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기업들이 안심하고 투자에 매진할 수 있도록 기업 친화적 환경을 더욱 적극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판매 부진 등이 기업들의 투자 의사결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상의는 정부에 보다 과감한 정책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첨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지원 체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첨단산업 보조금, Direct Pay, R-BTL 등의 제도 도입을 통해 투자비용과 실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규제의 특례를 도입하고 기회 발전 특구를 설정하여 지방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며, 수도권의 노후 산업단지 기업들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자산 매각에 대한 차익 양도세를 면제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이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은 현재 진행 중인 임시투자세액공제 기간의 연장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원책을 아우르고 있다. 이는 투자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러한 정책들이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경제정책팀장 김현수는 “투자를 활성화하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현재의 경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업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와 정책 제안은 국내외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도 기업들이 계획한 대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 한국 경제의 중장기적인 안정과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투자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정책 지원을 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토메이션월드 임근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