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데이터

기업 73% 올해 수출 플러스 전환 전망

URL복사

호조 업종은 자동차부품·바이오헬스·전기전자

수출 동력 확보 위해서는 정책 지원 확대 필요

 

올해 전체 수출은 전년도 부진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동반 불황,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철강, 석유화학 등의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내외 여건에서도 위기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출 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책지원이 중요할 것이란 의견 또한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업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2024년 수출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수출이 전년에 비해 증가·비슷(73.3%)할 것이라는 응답이 감소(26.7%)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수출이 2023년 대비 증가·비슷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0% 이상 ~ 5% 미만’이 41.3%로 가장 높았고, ▷5% 이상 ~ 10% 미만 15.3%, ▷10% 이상 ~ 15% 미만 7.3%, ▷15% 이상 ~ 20% 미만 4.7%, ▷20% 이상 4.7%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수출이 2023년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5%~0%가 15.3%로 가장 많았고, ▷10%~5%가 5.3%, ▷15%~10%가 4.7%, ▷20%~15%가 0.7%, ▷20% 미만이 0.7%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이 꼽은 주요 이유는 수출대상국의 수요개선(39.1%),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변화 효과(20.9%)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높은 원자재가격 지속으로 수출경쟁력 약화(40.0%), 미·중 등 주요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37.5%) 등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올해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부품(5.8%), ▷바이오·헬스(5.0%), ▷전기·전자(4.2%), ▷자동차(3.9%), ▷일반기계(3.5%) 순으로 나타나 자동차부품의 수출이 가장 약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올해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업종은 철강(-0.7%), 석유제품(-0.6%), 석유화학(-0.2%)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철강,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주력산업으로, 관련 업종 수출 부진 시 국내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초래될 수 있다면서, 중국 중심의 공급과잉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세계경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국내산업의 구조조정과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 마련과 첨단기술산업 중심의 수출 동력 확보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국내 대기업의 수출 채산성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수출 채산성이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보다 채산성이 개선(17.3%)될 것이라는 응답과 악화(16.6%)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25.0%), ▷바이오·헬스(24.0%), ▷전기·전자(20.7%) 순이었다.

 

기업들은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입관세 인하 또는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2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법인세 감세 및 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24.6%), ▷환율 안정(19.1%), ▷통상영역 확대를 통한 해외 신수요 창출(12.0%)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자국중심주의 확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통상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므로 기업의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은 올해 가장 우려되는 수출 리스크로 ‘세계 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 감소’(42.0%)라고 답했다. 또한 ▷원부자재 가격 상승(20.7%), ▷러·우, 이·팔 전쟁 장기화(11.3%), ▷미·중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불안정성(10.7%)을 수출 환경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오토메이션월드 임담대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