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미래차 전환, 내연기관 인력 직무 전환 등 포용적인 정책 필요

한자연, “재직자 직무전환 밀착 지원, 교육·사업, 대학 연계 등 다양한 접근 필요”

URL복사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이 국내 미래차 산업 전환 과정에서 AI·SW 등 미래차 분야 신규 인력 양성뿐 아니라 기존 내연기관 인력의 미래차 직무전환 지원 등 포용적인 인적자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친환경차(전기차, 수소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중심의 시장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친환경차는 신차판매의 20~30%를, 자율주행차는 49%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선언’, ‘미래차 확산 전략’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친환경차 누적 보급 785만 대 및 2027년까지 Lv.4 자율주행차 상용화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자동차산업 핵심 부가가치 창출영역은 기존 내연기관 ‘엔진, 구동장치’에서 ‘전장부품, 이차전지, SW, 서비스, 데이터’ 중심의 미래차 산업으로 급속도로 전환 중이다.

 

이처럼 내연기관 중심 자동차 산업구조의 전환이 불가피하지만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대응은 취약하다. 국산화율이 99%에 이르는 내연기관 부품산업과는 달리, 미래차 부품 산업은 국산화율·기술수준이 부족하고 관련 공급망이 미약하다.

 

한자연 측은 자동차 부품업계의 성공적 미래차 사업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미래차 인적자원 육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기업이 미래차 대응 필요성 및 성장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미래차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착수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전문인력 부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작년 말 발표된 자동차부품산업 인력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미래차 분야 육성 발전에 중요한 장애 요인은 전문인력이 부족 답변이 21.0%로 가장 높고, 기술/시장 정보 부족(18.5%), 투자자금 부족(18.5%) 순으로 조사됐다.

 

 

2028년까지 필요한 미래차 산업기술인력 수요는 연평균 5.8% 증가해 8만9069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미래차 인력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해외 자동차 산업 선도기업과 주요국들은 미래차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지만, 국내는 아직 기계·조립 기능 교육을 탈피하지 못해 미래차 전환을 위한 SW, 설계 등 분야의 핵심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자연에 따르면 도요타는 기계·기술 기반 생태계를 SW 기반 생태계로 변경했고, 혼다는 5년 간 미국에서 인력 5만 명에 재교육 및 훈련을 진행해 왔다. 포드의 경우 프로그래머를 현재의 300명에서 4000명 이상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GM크루즈는 미래차 인력을 현재의 40명에서 2000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친환경차 인력은 25만 명이며, 그중 차량용 SW 인력은 최소 2.3만 명으로 추산된다. 독일은 자동차산업 엔지니어만 12.6만 명에 달한다(2019년 기준). 그에 비해 한국의 친환경차 인력은 4.2만 명으로, R&D·설계·디자인·시험평가 인력이 2.1만 명, SW인력이 1000명에 불과하다(2018년 기준).

 

한자연은 미래차 제어·SW 등 분야의 석·박사급 신규 인력 양성, 신성장산업 인재 9만 명 양성과 같은 지원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확장해 미래 인력수급 미스매치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때 미래차 업종 전환을 위한 재직자 직무전환 밀착 지원, 일자리 관련 교육·사업, 대학 연계 등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자동차 자격 및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대부분이 정비 분야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미래차 관련 NCS 교육훈련 과정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자동차 분야의 NCS 기반 자격증은 7개이며, 그 중에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한 자격증 분야는 2개에 불과하다.

 

마지막으로 한자연은 미래차 특성 상 IT·전자·기계 분야에 대한 융합적 이해가 요구되므로 고등교육 학제 개편 추진 및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통해 유기적인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