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카메라 기술 이용한 시야 확보 장치 특허 출원 증가

  • 등록 2017.05.15 08:31:37
URL복사

[첨단 헬로티]

특허청에 따르면 차량 시계(시야 확보)장치 분야 국내 특허출원은 2013년까지 매년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3년간 카메라 기술을 이용한 시계장치 출원이 평균 55건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출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도별 출원 현황을 보면 2014년 52건, 2015년 66건, 2016년 48건으로, 2013년을 기점으로 카메라 기술을 이용한 시계장치 출원 건은 증가했다.


카메라 기술을 이용한 시계장치의 출원인별 출원 현황(‘07년 ~ ’16년)은 대기업 144건(28%), 개인 110건(22%), 중견기업 75건(15%), 중소기업 75건(15%), 대학·연구기관 등 44건(9%), 외국인이 58건(11%)을 출원한 것으로 조사됐다.


출원 업체별로는 현대자동차 51건, 현대모비스 41건, 에스엘(주) 21건, 엘지이노텍 16건, 삼성전기 13건, 엘지전자 12건 순이었다.


특허청에 따르면 카메라 기술을 이용한 시계장치 분야 출원이 최근 증가한 것과 관련해 우선 첨단 카메라·디스플레이 및 IT 기술이 빠르게 차량에 융합되고 있고 최근 자동차 업체는 물론 IT 업체까지 차량용 카메라와 영상처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자동차 국제 안전 기준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유엔 자동차기준세계포럼(UNECE/WP29)이 이미 카메라와 모니터가 거울과 같은 수준의 영상을 제공하면 사이드 미러 설치 의무를 없애도록 안전 기준을 완화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일본도 2016년에 미러리스 차량 도로주행을 합법화했고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맞춰 한국도 올해 1월 거울 방식의 사이드 미러를 카메라모니터 시스템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자동차 관련 규칙을 개정했다.


카메라 기술을 이용한 시계장치 출원 기술분야는 크게 △기존 미러장치 보조·지원 기술(사각지대 해소) △카메라 제어 기술(차량 기기와의 연동 제어 등)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영상 합성, 표시 등) △장애물 인식·경보 기술 △기존 미러장치 대체 기술 등으로 나뉜다. 


완성차 업체는 이같은 기술을 활용해 미러리스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콘셉트카를 선보이고 있다. 


카메라모니터 시스템은 그동안 대략 100년 정도 운전자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미러(거울)가 제외됨에 따라 △풍절음 감소로 차량의 정숙성에 도움이 되며 △공기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연비효율이 높아지며 △시야각이 확대되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안전 사고에도 효과적이다.


특허청 김성남 자동차심사과장은 “미러리스 카는 장점도 많으나 카메라에 빗물 등 이물질이 묻을 경우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고 전기부품의 증가로 고장 확률이 증가되는 등 단점도 있다“며 ”카메라모니터 시스템의 안전성과 내구성 확보가 대중화의 관건으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허출원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