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산업동향

기계 분야 생산 및 수출 실적 감소로 성장세 둔화 전망

  • 등록 2017.05.17 14:58:04
URL복사

올해 1월 기계산업 생산, 출하 각각 전년 동월대비 4.2%, 2.3% 감소


올해 1월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3% 감소한 150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3.1% 증가한 79억 9천만 달러였다. 수송기계, 전기기계 업종에서는 생산과 출하도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조선을 제외한 수송기계도 수출이 감소했다. 관련 업계에서는 올해도 저성장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계산업 생산, 출하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4.2%, 2.3% 감소했다. 1월 기계산업 생산은 수송기계(-13.0%), 전기기계(-5.1%) 업종에서 감소했으며 일반기계(10.0%), 정밀기계(8.1%), 금속제품(1.5%)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1월 기계산업 출하는 수송기계(-8.9%), 전기기계(-2.2%) 업종에서 감소세를, 일반기계(11.4%), 정밀기계(5.4%), 금속제품(0.5%)에서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한 1월 기계산업(조선 제외) 생산은 1.4% 감소, 출하는 1.1% 증가했다.


1월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3% 감소한 150억 2천만 달러, 수입은 3.1% 증가한 79억 9천만 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70억 3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1월 기계산업 수출은 정밀기계(30.7%), 일반기계(4.5%), 전기기계(3.7%)에서 증가했고, 금속제품(-8.2%), 수송기계(-7.8%)에서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남미(-24.1%), 북미(-8.5%)로의 수출이 감소했으며, 유럽(25.5%)과 아시아(2.6)로는 수출이 증가했다.


1월 기계산업 수입은 일반기계(27.8%), 정밀기계(9.2%), 전기기계(0.2%) 분야에서 증가세를, 금속제품(-32.8%), 수송기계(-15.5%) 분야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아시아(25.8%), 북미(17.4%)에서 수입이 증가했으며, 유럽(-27.0%)과 중남미(-9.6%)에서는 감소했다.


1월 기계산업(조선 제외)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2.0% 증가한 128억 9천만 달러(2.0%)였고, 수입은 3.2% 증가한 78억 3천만 달러였다. 무역수지는 50억 6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또한 1월 수송기계(조선 제외) 수출은 3.0% 감소한 51억 1천만 달러였고, 수입은 16.9% 감소한 15억 6천만 달러였다. 그리고 무역수지는 35억 4천만 달러 흑자를 달성했다.


일반기계 생산,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


1월 기계산업 생산은 수송기계, 전기기계 업종에서 전년 동월대비 4.2% 감소했다. 그리고 수송기계는 벌크선, 전기기계는 변압기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나타났으며, 일반기계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정밀기계는 적산전력계, 금속제품은 스테인리스 주방용품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기계산업(조선 제외) 생산은 1.4% 감소했다.


업종별 품목 동향을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10.0%가 증가했다. 호조세를 보인 품목으로는 평판디스플레이제조장비, 반도체공정장비, 반도체조립장비, 굴삭기가 있고, 부진한 품목으로는 프레스기, 컨베이어, 열교환기, 선박용내연기관 등이 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5.1% 감소했는데, 변압기, 회로차단기, 소형 2차전지셀,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리튬 2차전지팩, 통신선, 커넥터, 전력선은 호조세를 나타냈다.


또한 정밀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8.1% 증가한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적산전력계, 반도체검사장비, 치과용 임플란트, 온도조절기구가 증가한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시계, 의료처치기구, 광학렌즈, 안경렌즈 등의 분야에서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수송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13.0% 감소했는데, 이는 벌크선, 소형승용차, 유조선, 중형승용차 분야의 생산이 줄었기 때문이다. 소형버스, 소형트럭, 컨테이너선, 차체부품은 소폭이기는 하지만 상승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1.5% 증가했는데 그중 스테인리스 주방용품, 절삭공구, 육상금속구조물, 나사 제품의 생산이 호조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날붙이 제품, 알루미늄제가정용품, 스프링, 단조물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계산업 출하, 전체적으로 감소세


올해 1월의 기계산업 출하는 수송기계, 전기기계 업종에서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대비 2.3% 감소했다. 수송기계는 벌크선, 전기기계는 전기청소기 중심으로 감소했으며, 일반기계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그리고 정밀기계는 적산전력계, 금속 제품은 육상금속구조물 중심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기계산업(조선 제외)은 1.1%로 소폭 증가했다.


업종별 품목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11.4%가 증가했다. 이는 평판디스플레이제조장비, 반도체공정장비, 반도체조립장비, 굴삭기 분야에서 크게 호조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레스기, 컨베이어, 로더, 열교환기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2.2%가 감소했는데, 부진한 품목은 전기청소기, 배전반, 소형 2차전지셀,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였고, 호조세를 보인 품목은 중형냉장고, 대형냉장고, 전력선, 커넥터 등이었다.


정밀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5.4%가 증가했는데, 그중 적산전력계와 반도체 검사장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자계측기, 온도조절기구도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휴대용 시계, 안경렌즈, 광학렌즈, 의료처치기구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수송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8.9%가 감소했다. 자동차용내연기관, 자동차KD세트, 대형승용차, RV승용차 품목은 호조세였지만, 벌크선, 소형승용차, 유조선, 특수선박(비상업용) 등에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금속제품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0.5% 증가했는데, 육상금속구조물, 스테인리스주방용품, 산업용보일러, 절삭공구 등의 출하는 증가했지만, 날붙이제품, 알루미늄제가정용품, 금속패널제품, 단조물 등은 감소했다.


▲ 기계산업 수출·수입 동향


▲ 기계산업 생산·출하·재고 추이


정밀, 전기, 금속 제품 재고 소폭 상승


2017년 1월 기계산업 재고는 정밀기계, 전기기계, 금속제품 업종에서 증가해 전년 동월대비 1.5% 증가했다. 정밀기계 환경분석기기, 전기기계는 축전지를 중심으로, 그리고 금속제품은 철제문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일반기계는 밀링기, 수송기계는 자동차 KD 세트를 중심으로 감소했다. 기계산업(조선 제외)의 재고는 1.5% 증가했다.


업종별 품목 동향을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4.9%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수기, 포장 및 충진기, 프레스기, 로더는 증가했지만 밀링기, 지게차, 기계용 내연기관, 굴삭기 등은 감소했다.


전기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9.7%가 증가했다. 축전지, 소형 2차전지셀, 변압기, 전력선 등이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전기용접기, 스위치, 회로차단기,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는 감소했다.


또한 정밀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12.6%가 증가했는데, 환경분석기기, 의료용 방사선기기, 치과용 임플란트, 초음파 의료기기 등의 품목이 증가세를, 리모컨, 광학렌즈, 전자계측기, 의료처치기구 등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수송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0.3% 감소했는데, 자동차KD세트, 자동차용내연기관, 중형버스, 대형승용차 품목은 감소, 대형트럭, 차체부품, 소형승용차, 동력전달장치 품목은 증가했다.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9.1%가 증가했다. 이 중 철제문, 금속패널제품, 나사제품, 단조물은 증가세였으며 새시문 및 창틀, 용접봉, 음식료캔, 스프링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계산업 수출, 약 150억 달러 기록


올해 1월의 기계산업 수출은 금속제품, 수송기계 업종에서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대비 1.3% 줄어든 150억 2천만 달러를 나타냈다. 기계산업 (조선 제외) 수출은 2.0% 증가한 128억 9천만 달러였다. 국가별로는 영국(-15.4%), 미국(9.7%)에서, 지역별로는 중남미(-24.1%), 북미(-8.5%)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업종별 품목 동향을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4.5% 증가했는데, 이 중 기타 일반 목적용 기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기타 특수 산업용 기계는 증가세를, 증류기와 열교환기, 가스발생기, 기타 기관 및 터빈, 액체여과기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또한 전기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3.7% 증가했다. 수출이 늘어난 품목은 절연코드 및 기타 도체, 배전반, 전기자동제어반, 기타 전기장비 등이었고, 감소한 품목은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 기타 가정용 전기기기 등이었다.


정밀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30.7%나 증가했는데 이는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 장비, 물질 검사, 측정 및 분석기구, 기타 광학기기의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시계, 방사선 장치, 치과용 기기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수송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7.8% 감소했는데 여기에는 전투용 차량 및 부품,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선박 등이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동력전달장치, 자동차용엔진, 운송용 컨테이너 등의 품목의 수출은 증가했다.


금속제품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8.2% 감소했다. 구조용 금속판제품 및 금속공작물, 무기 및 총포탄, 비동력식 수공구 등의 품목은 감소세를,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중앙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일반철물 등의 품목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 기계산업 수출·수입 추이


기계산업 수입, 전년 동월대비 소폭 증가


2017년 1월 기계산업 수입은 금속제품, 수송기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월대비 3.1% 증가한 79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계산업(조선 제외)의 수입은 3.2% 증가한 78억 3천만 달러였다. 국가별로는 일본(34.3%), 미국(18.6%), 중국(8.0%)에서 증가했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25.8%), 북미(17.4%)가 증가세를 보였다.


업종별 품목 동향을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27.8% 증가했다. 이는 평판디스플레이제조용기계, 반도체제조용기계, 증류기, 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의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액체여과기, 기타 물품 취급 장비, 기타 특수 산업용 기계 관련 품목은 수입이 감소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0.2% 증가했는데, 기타 가정용전기기기, 기타 전기장비, 전기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장치 등은 증가세를, 교통 신호장치, 광섬유 케이블, 변압기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또한 정밀기계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9.2%가 증가했다. 증가세를 나타낸 품목은 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기기, 기타광학기기, 전자기 측정, 시험 및 분석기구 등이었고, 감소세를 나타낸 품목은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 장비, 속도계 및 적산계기, 항행용 무선기기 및 측량기구 등이었다.


수송기계업종의 경우에는 전년 동월대비 15.5%가 감소했는데, 이는 선박 구성 부분품, 자전거 및 환자용 차량, 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의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화물자동차 및 특수목적용 자동차, 항공기 부품, 자동차용 엔진의 수입은 증가했다.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은 전년 동월대비 32.8%가 감소했다. 중앙난방 보일러 및 방열기, 금속조립 구조재, 일반 철물 관련 품목은 수입이 증가했고,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구조용 금속판 제품 및 금속공작물, 금속 문, 창, 셔터 및 관련 제품은 수입이 감소했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