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상생하는 소통 전략 5] 아무도 몰라주는 관리자의 속마음

  • 등록 2017.02.24 16:14:53
URL복사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자동차 부품 업체에 다니고 있는 D씨는 입사 4년 만에 조장이 되었다. 처음에 조장이 되었을 때는, 회사에서 자신을 인정해 주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았고 자신을 인정해 주는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해보자고 마음 먹었다. 


D씨는 막상 조장직을 맡고 보니 하는 일이 전과 똑같고 직책 수당만 조금 더 얹어 주는데 비해, 해야 할 업무 범위와 책임만 더 커졌다. 이를테면 나 이외에 다른 조원들을 더 챙겨야 하고, 스케줄이 갑자기 비거나 비상시가 되면 무조건 당직을 서는 등, 해야 할 일이 많아 점점 의욕이 떨어진다. 특히 이전에는 조원들과 관계도 좋고 잘 지냈는데, 조장이 되고 나서부터 조원들이 괜히 거리감을 느끼고 관계가 예전같지 않아 D씨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든다. 


D씨는 특히나 자신이 원해서 조장직을 맡은 것도 아니고, 회사에서 부탁해서 맡은 조장직이 자신에게 손해만 끼치는 것 같아 조장직을 그만 두어야 할지 고민이다. D씨가 이런 상황을 생산 관리팀의 김과장한테 이야기했더니 김과장은 난감해하며, 조원들과 관계가 좋고 작업량도 높은 D씨가 아니면 조장직을 맡을 사람이 없다며 다시 생각해 달라고 거듭 말해 어쩔 수 없이 그냥 돌아오고 말았다.


얼마 전 D씨는 일손이 너무 부족한 상황이라 조원들과 함께 바쁘게 작업 중이었다. 바쁘게 일하느라 정신이 없다가 겨우 틈이 나서 잠깐 쉬고 있는데, 마침 생산관리팀의 김과장이 지나가면서 시원한 음료수를 건네고 갔다. 그때 마침 D씨가 쉬면서 음료수를 마시고 있는 모습을 본 한 조원이 ‘D가 조장이 되더니 사람이 변했다. 조장이라고 생색내는 거냐’며 다른 조원들과 뒷담화를 하게 되었고, 이를 D씨가 우연히 듣게 되었다. 


“조장이라고 더 좋아진 건 하나도 없어요. 전에는 사이가 좋았던 동료들도 이젠 저를 감시자 보듯이 하고, 어쩌다가 사무직에 있는 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보면 반감을 보이는데, 정말 미치겠습니다. 도대체 이런 건 왜 시켜서…. 어떻게 하라는건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일이 줄어든 것도 아니구요. 답답합니다 정말.” 


D씨는 조장이라는 자리가 대단한 감투도 아니면서 오히려 의무만 많은 자리인데 정작 친했던 조원들이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못하는 것 같아 더 서운하다고 토로했다. 회사 측에서는 무조건 조장직을 맡아줘야 한다고만 하고 자신의 사정은 제대로 이해를 못해주는 것 같아 억울한 마음까지 든다.


조원들과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신 나게 일하던 때가 그립다. 그때는 서로 손발도 잘 맞고, 작업량도 잘 나왔는데, 이제는 조원들과 일하는 게 즐겁지도 않고 오히려 눈치만 보게 되니 업무 효율성도 떨어진다. 점점 업무 의욕도 떨어지는 요즘 계속 회사를 다녀야 하나 고민이 된다.     


조장이 되기 전, 조원들과 관계가 좋고 작업량도 높으며 회사에 로열티를 가지고 있었던 D씨는 왜 6개월 만에 퇴사까지 고민하게 된 것일까? 무엇이 문제였을까? 조원에서 조장이 되면서 회사에서의 직책은 달라졌으나 D씨의 직책 변화에 따른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리는 그 누구도 명확하게 알려 주지 않았다. 또한 D씨는 직장 내 사람들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 중심’의 사람인데 조원들과 좋지 않은 관계를 형성하게 된 것이 D씨에게는 퇴사를 고민하게 한 가장 힘든 요인이었다. 


<코칭TIP>


D씨는 먼저 리더가 된 사람들이 보기에 리더십이 내재화 되어 있는 사람이었고, 조장 역할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직책을 부여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D씨 본인이 본인의 역할변화에 따른 정체성을 정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장 역할을 부담스러워 하는 D씨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현재 본인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다.


아래의 질문들을 통해 나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진단해 보자.


1. 그 동안 쌓여왔던 고민들 중 가장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무엇입니까?

2. 그렇다면 지금까지는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다루었습니까?

3. 잘 된 것은 무엇입니까?

4. 잘 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5. 앞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힘쓴다면 어떤 부분을 개선해 보시겠습니까?


최영지 _ 인코칭 R&D센터 전문코치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