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로티]
디지털 콘텐츠 전송 분야의 세계 선도 기업 라임라이트 네트웍스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실시간으로 감지, 중단시켜 웹 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클라우드 기반 웹 보안 서비스인 ‘라임라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Limelight Web Application Firewall, 이하 Limelight WAF)를 출시했다.
라임라이트 WAF는 자사의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Cloud Security Services)’ 포트폴리오에 추가되어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성능을 강화했다. 또한 WAF는 라임라이트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과 통합되어 네트워크 트래픽 분산을 통해 보안 성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비용대비 효율적인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라임라이트 WAF 솔루션은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SQL 인젝션과 같은 일반적 공격을 식별, 방어함으로써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HTTP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을 차단한다.
또한 WAF는 국제 웹 보안 기구인 ‘오픈 웹 애플리케이션 시큐리티 프로젝트’(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OWASP)의 10대 중대 보안 위험 규칙에 기초한 필터링과 분석을 거치며 새로운 취약점이 발견되는 경우 새로운 보안 규칙이 생성되고 이 내용이 전체 WAF 노드에 적용된다. 이러한 매커니즘을 통해 앱 제공업체의 패치가 제공되기 이전에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제로데이’ 사이버 공격까지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 데이터 절도와 손상으로부터 1년 365일 1일 24시간 보호받을 수 있다.
스티브 밀러-존스 라임라이트 네트웍스 제품 관리 담당 수석 이사는 “웹 애플리케이션은 밤낮으로 공격받고 있으며 공격자들은 전 세계에서 웹사이트를 침략해 혼란을 야기할 새로운 수단을 호시 탐탐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라임라이트 WAF는 정교하고 앞선 클라우드 기반 방어를 구현해 고객들에게 항상 안전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각 사 웹 애플리케이션의 무결성을 지켜준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라임라이트 WAF’는 포괄적인 ‘라임라이트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가 제공하는 최신 서비스다. ‘라임라이트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는 웹사이트 가용성을 보장하며 디지털 콘텐츠 접속을 보호, 제어해준다.
라임라이트의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의 주요 기능 ▲DDoS 공격 방어 및 완화, ▲ 디지털 저작권 보호(DRM), ▲ 보안 전송(HTTPS), ▲ URL 토큰화(Tokenization), ▲ 지오펜싱(Geo-Fencing)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DDoS 어택 인터셉터는 엣지에서 이뤄지는 상시 위협 감지와 함께 광범위한 DDoS 공격에 대해 오리진과 웹사이트를 보호하는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동영상 보호와 관련된 복잡성에 대한 우려 없이 모든 기기에 동영상을 배포할 수 있다으며 회사 자체 SSL 인증서를 배포하거나 라임라이트를 이용해 이를 조달, 관리해 안전한 글로벌 전송을 대행한다.
또 1회용 임시 URL 정보를 생성 및 사용하는 URL 토큰화하는 미디어볼트(MediaVault)는 리퀘스트 당사자의 유효 URL 사용 여부를 확인해 허가되지 않은 접근과 콘텐츠에 대한 딥링크(deep linking)를 막아준다.
이외에도 맞춤형 파라미터에 기초해 지역별 또는 IP 범위별 콘텐츠 접근을 제한하고 회사 자산에 대한 접근 제어 기능으로 지오 펜싱 요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워크플로를 지원한다. CORS 지원으로 콘텐츠가 올바르게 동기화됐는지 확인한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







































/smartmap_2_21.png)
/smartmap_2_22.png)
/smartmap_2_23.png)
/smartmap_2_24.png)
/smartmap_2_25.png)
/smartmap_2_26.png)
/smartmap_2_27.jpg)